•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3편 근세 (이씨 조선)
  • 근세의 중기(국기 3901-4057년, 선조 원년-경종 말년)
  • 제1장 동서의 분당

제1장 동서의 분당

【유자(儒者)의 세 경향】 앞서도 말한 바이지만 4대 사화가 연달아 일어나는 동안에 유자들의 동향은 대개 산림을 근거지로 하여 관장(정계)에 출입하는 것을 대단히 삼갔지만 그래도 사람이란 소위 정치적 동물인 까닭에 호화스러운 욕망을 영원히 억제하지 못하고 나아가 활약하기를 좋아하는 파도 있었다.

그리하여 이때 유자들 가운데는 대개 세 가지 경향이 있었다. (1) 하나는 벼슬을 전연 단념하고 산림에 들어앉아 오로지 학문과 행실을 닦는 파 (2) 또 하나는 가끔 나아가 벼슬은 하되 본심은 산림에 있어 형편을 보아 자주 물러와 학행에 힘쓰는 파 (3) 하나는 이름은 산림에 두고 뜻은 정계에 있어 기틀을 보아 나아가 벼슬자리를 노리는 파이었다. 대곡 성혼, 화담 서경덕 및 남명 조식과 같은 이는 첫 번째에 속하고, 퇴계 이황,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율곡 이이와 같은 이는 두 번째의 경우에 속하나 공부와 지조가 이들만 못한 유자들은 대개 세 번째의 경우에 속하였다.

이 세 번째에 속한 유자들은 원래 벼슬 야심이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는 암암리에 자리다툼 즉 권력 다툼이 일어나게 되고 또 이해관계 혹은 정의 관계로 한편을 두호하고 다른 편을 미워하는 일이 생기었다. 유자들의 이 습성이 점점 커져서 분당의 염려가 있게 되자 선조 초의 원로인 이준경 같은 이는 이를 매우 걱정하였다. 과연 선조 8년에 이르러 동서의 분당이 일어나니 심의겸을 두호하는 일파는 서인이라 지목하고 김효원을 두호하는 일파는 동인이라 지목하였다. 그것은 심의겸의 집이 서울 서편에 있고 김효원의 집이 동편에 있었던 까닭이라고 한다. 이렇게 당파가 동서로 나뉘어 동인은 서인을 공격하고 서인은 동인을 헐어 말하여 싸움이 벌어지자 율곡 이이와 같은 이는 이를 크게 염려하여 각각 두 파를 달래어 나라일에 동심협력하도록 무한 애를 써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아니하였다. 싸움은 그대로 격렬해져 후에는 당에서 당이 나뉘고 파에서 파가 갈리었다. 즉 동인 중에서 남인, 북인이 생기고 북인 중에서 또 대북, 소북, 기타 여러 갈래의 파가 생기었다. 이 당쟁의 풍이 자꾸 계속되어 수백 년 동안 우리의 정치를 그르치고 우리의 마음자리와 풍속을 나쁘게 하여 왔지만 이런 버릇은 우리가 이를 악물고서라도 고치지 아니하면 아니 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