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서 용어해설
  • 유형별
  • 전체

승과

제목 승과
한자명 僧科
유형 제도
시대 고려 시대
관련국가 고려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고려 시기에 승려를 선발하기 위해 실시했던 과거 시험.
내용

고려 시기에 시작되어 조선 초까지 행해진 과거 시험으로, 승려들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교종선(敎宗選)과 선종선(禪宗選)의 두 종류가 있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958년(광종 9) 쌍기(雙冀)의 건의에 따라 과거제가 실시되었을 때 함께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부정기적으로 실시되다가 11세기 후반부터 제술과(製述科)나 명경과(明經科)처럼 3년에 한 번씩 실시하도록 규정되었다.

교종선은 교종의 도회소(都會所)인 개경(開京)의 왕륜사(王輪寺)에서, 선종선은 선종의 도회소인 개경의 광명사(廣明寺)에서 각각 실시되었다. 승과 합격자에게는 교⋅선종 구별 없이 일정한 법계(法階)를 주어 대선(大選)을 시작으로 대덕(大德), 대사(大師), 중대사(重大師), 삼중대사(三重大師)까지 승진하게 하였으며, 그 위로는 교종과 선종에 따라 법계를 나누었다. 교종은 승통(僧統), 선종은 대선사(大禪師)가 각 종파별 최고 법계였다. 이보다 상위로는 국사(國師)와 왕사(王師) 직위를 받을 수 있었는데, 이는 교종과 선종의 구별이 없었고 승려로서 국가에서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영예직이었다.

승과는 조선 초에도 계승되어 3년에 한 번씩 실시되다가 연산군(燕山君, 재위 1494∼1506) 대에 폐지되었다. 명종(明宗, 재위 1545∼1567) 대 문정 왕후(文定王后, 1501~1565)의 호불 정책에 따라 잠시 복구되어 실시된 적이 있었으나 문정 왕후 사후 폐지되었다.

의의

고려의 승과는 국가적으로 불교계를 관리하며 이를 통치 체계로 포섭하는 제도였다.

▶ 관련자료
승과(僧科)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