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서 용어해설
  • 유형별
  • 전체

현량과

제목 현량과
한자명 賢良科
유형 제도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기묘천과(己卯薦科), 천거과(薦擧科), 천과(薦科), 현량방정과(賢良方正科)
별칭•이칭
정의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선발한 과거 시험.
내용

조선 시대 관리 임용 시험인 과거는 경서의 내용을 강론하는 강경(講經)과 글짓기인 제술(製述) 과목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만으로는 학문과 덕행을 두루 갖춘 인재를 뽑기 어렵다는 비판이 항상 제기되었다. 조선 중종(中宗, 재위 1506~1544) 대 조광조(趙光祖, 1482~1519)가 국왕의 신임을 얻고 난 이후 이와 같은 사실을 열거하고, 새롭게 천거를 통한 인재 등용 방식을 제기하였는데, 그것이 현량과이다. 현량과라는 명칭은 중국 한나라 때 추천을 통한 인재 선발 방식인 현량방정과(賢良方正科)에서 따 온 것이다.

중종은 조광조의 건의를 받아들여 1519년(중종 14) 경서에 밝고 품행이 단정한 인재를 천거하게 한 후 현재 조정의 시무(時務)에 대한 책문만을 시험하여 관리로 임용하도록 하였다. 이리하여 120명의 후보 중 김식(金湜), 박훈(朴薰) 등 28인을 선발하였는데, 이들 중 다수가 조광조 등과 인연이 있는 사람들이었다.

이후 조광조가 기묘사화로 사사되고 기묘사림이 실각하면서, 현량과 역시 파방(罷榜)되었다. 선조(宣祖, 재위 1567~1608) 대 이후 사림파가 정국을 장악하면서 이들에 대한 파방 조처가 철회되었다. 이후 추천을 통한 인재 선발의 필요성이 여러 차례 건의되었으나, 결국 현량과는 복설되지 못하고 중종 대 단 1회만 시행된 것으로 그치게 되었다. 다만 조선 후기에는 현량과와 산림(山林) 등용의 제도가 운영되기도 하였다.

▶ 관련자료
현량과(賢良科)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