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서 용어해설
  • 유형별
  • 전체

광작

제목 광작
한자명 廣作
유형 개념용어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광작 농업(廣作農業)
별칭•이칭
정의
조선 후기 넓은 경작지를 경작하는 농업 경영 형태.
내용

고려 말 조선 초기에 중국에서 새로 도입된 농법 덕택에 조선에서는 농업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대표적으로 이앙법을 통해 수전 농업(水田農業)에서 제초 작업을 감소시켜 노동력 투입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또한 시비(施肥)에 있어 분(糞)을 활용하여 생산력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대규모로 토지를 경작하는 농민들이 나타났다.

광작은 기존 연구에서 1결 이상 토지를 경작하는 자를 기준으로 삼았지만, 명확한 정의는 내리기 힘들다. 자급할 수 있는 토지 이상으로 경작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조선 후기의 농장 경영을 광작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광작을 하는 농민은 자급자족을 넘어 농업 경영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였으므로 수전 농업에 한정되지 않고 상품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한전(旱田) 경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한두 세대 안에 농업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경작지를 확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기 때문에 이미 부를 축적하고 있던 부농층이 새로운 농업 기술을 수용하여 광작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았다.

광작의 등장은 소규모 토지를 소유하고 경작을 하는 자작농을 소작농으로 전락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토지는 한정되어 있고 일부 계층이 광작을 하는 경우 나머지 농민들은 소규모 경작이나 소작농으로 전락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광작의 확대는 토지의 불균등한 소유를 심화시켰으며 토지를 소유하지 못한 소작농들의 불만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한 빈부의 격차는 과중한 조세와 더불어 민란으로 이어질 정도였다. 즉, 광작은 조선 후기 토지 소유 형태의 변화라는 외형적 측면뿐 아니라, 봉건 사회의 내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 관련자료
광작 농업(廣作農業) 광작(廣作)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