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품종
새마을 운동 시기 농민들의 실질 소득을 뒷받침한 것은 통일벼와 증산 체제였다. 1974년 통일벼 재배 면적의 확대와 증산 분량의 정부 수매 체제는 1970년대 농민들의 실질 소득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반이었다. 통일벼는 일반 벼에 비해서 수확량이 많았던 반면, 밥맛이 좋지 않아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았으므로 농민들은 재배를 기피하였다. 식량 증산에 박차를 가하던 정부에서는 통일벼 재배 면적의 확대를 강요하는 한편, 생산된 전량을 높은 가격에 수매함으로써 재배 면적의 확대를 유도하였다. 통일벼는 1960년대 중반 서울 대학교 농학 대학 허문회 교수가 필리핀의 국제 미작 연구소(IRRI)에서 개발한 인디카와 자포니카를 교잡한, 생산성이 높고 한국의 병충해에 강한 새 벼 ‘IR667(이후 ‘통일’로 명명)’이었다. 1960년대 말 국내에 정식으로 도입되어 실용화를 목표로 육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