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선사 시대
 

2. 구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1. 시기 : 약 70만 년 전
2. 시대 구분 :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구분

특징

종류

전기

 한 개의 큰 석기를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

주먹도끼, 찍개

중기

 큰 몸돌에서 떼어 낸 돌 조각인 격지를 잔손질을 하여 석기 만듦 → 한 개의 석기가 하나의 쓰임새를 지니게 됨

밀개, 긁개, 찌르개

후기

 쐐기 같은 것을 대고 형태가 같은 여러 개의 돌날격지 만듦

슴베찌르개

   
3. 구석기 시대의 생활
 
1. 도구 : 뼈 도구, 뗀석기(사냥 도구 - 주먹도끼·찍개·팔매돌, 조리 도구 - 긁개 ·밀개)
2. 생활 : 사냥과 채집 → 이동생활
3. 주거 : 동굴, 막집(바위 그늘, 강가 - 기둥 자리, 담 자리, 불 땐 자리)
4. 사회 : 무리 생활, 평등한 공동체적 생활
5. 예술 : 고래와 물고기 등을 새긴 조각품 제작 → 주술적 의미(사냥감의 번성을 기원)
6. 환경과 생활의 변화 → 중석기 시대(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기)

(1) 기후 변화 : 빙하기가 지나고 기후가 따뜻해져 동식물이 번성 → 식물 채집과 고기잡이의 비중이 늘고 작고 빠른 짐승을 잡기

  위해 활 사용
(2) 도구 변화 : 잔석기로 만든 이음 도구 사용(활, 창, 작살, 톱)

4.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1. 시기 :기원전 8천 년경부터 시작
2.. 도구
 
(1) 간석기
  ① 돌을 갈아서 여러 가지 형태와 용도를 가진 간석기 제작
② 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2) 토기

  ① 음식물 저장과 조리에 사용, 바닷가나 강가에 널리 분포
② 초기의 토기 :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눌러찍기무늬 토기
③ 대표적 토기 : 빗살무늬 토기

 

(3) 뼈바늘, 가락바퀴 → 원시적인 수공업(옷, 그물)

 

    5. 신석기 시대의 생활
   
    1.경제
      (1)농경시작
 

 

① 탄화된 좁쌀 발견(황해도 벙산 지탑리, 평양 남경)
② 돌괭이, 돌삽, 돌보습, 돌낫 등 사용
③ 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2) 사냥과 고기잡이 : 여전히 식량을 얻는 중요한 수단
(3) 원시적 수공업 : 가락바퀴, 뼈바늘 → 옷과 그물 제작

     

2. 주거 : 움집

     

(1) 바닷가나 강가
(2)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네모 바닥, 화덕(중앙), 출입문(남쪽), 저장 구덩
(3) 한 가족 거주 크기(4~5명)

     

3. 사회 : 씨족을 바탕으로 한 부족 사회 형성(족외혼), 평등 사회
4. 예술 : 흙으로 빚어 구운 얼굴 모습, 동물의 모양을 새긴 조각품, 조개껍데기 가면, 치레걸이
5. 신앙 : 농경과 정착생활로 인해 자연의 섭리 생각 → 원시 신앙 발생

      (1) 영혼 숭배 · 조상 숭배 : 사람이 죽어도 영혼은 없어지지 않는다고 생각
(2) 애니미즘 : 농사에 큰 영향을 끼치는 자연 현상이나 자연물에도 정령이 있다고 믿는 신앙 → 풍요로운 생산 기원, 태양과 물에
      대한 숭배가 으뜸
     

(3) 샤머니즘 : 영혼이나 하늘을 인간과 연결시켜 주는 존재인 무당과 그 주술을 믿는 신앙
(4) 토테미즘 : 자기 부족의 기원을 특정한 동식물과 연결시켜 그것을 숭배하는 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