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유행 스타일은 누가 어떻게 만들었을까
유행의 본질은 인간의 양면성에 따른 추구 가치의 변화에서부터 출발한다. 양면성이란 개인의 내부에서 갈등을 일으키고 긴장을 유발시키는 두 가지의 갈등적 방향이나 모순적 열망 또는 감정으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심리적 특성이다. 즉, 우리는 자신을 과시하려는 한편 부끄러움을 감추려 하는 두 가지의 대립되는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데이비스(Davis)는 유행의 본질을 인간의 내적인 심리 요인뿐만 아니라 외적인 환경 요인의 끊임없는 영향에 의해 유동하는 것으로 유행의 양면성을 지적하고 있다. 그는 양면성에 대한 예로 남성성과 여성성, 젊음과 노화, 양성성과 단성성, 포괄성과 독점성, 노동과 유희, 국제화와 개별화, 노출과 은폐, 동조와 반항 등을 들고 있다. 다시 말해 인간 개인의 양면성에 따른 추구 가치의 변화는 개인적 요구 및 사회적 환경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영향으로 형성된 추구 가치는 구체적인 추구 스타일을 형성한다. 또한, 형성된 스타일은 채택 과정을 거치고 다시 양면성이 변화함에 따라 스타일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는 반복적인 의복 행동으로 이어져 끊임없이 유행 스타일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265)
그렇다면 우리의 전통 사회에서 새로운 유행 스타일을 추구하게 만든
인간의 내면적 심리와 사회적 환경은 과연 어떠하였을까?
의복을 착용하는 동기는 극히 개인적인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주로 신체 장식(身體裝飾), 정숙성(貞淑性), 보호(保護)의 세 가지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동기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먼저 일어났으며, 가장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정답이 없는 것 같다.
다음으로 의복 착용 동기는 의복이 수행하는 기능과 관련 있다. 로치(M.E Roach) 및 아이커(J.B Eicher)266)는 의복의 기능을 도구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으로 구분하였다. 도구적 기능은 목적 지향적인 행동에서의 합리적인 의복 사용을 의미한다. 즉,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안락감이나 안전감을 느낄 수 있고, 한 계층에서 다른 계층으로 신분을 이동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복식의 착용은 신분 변화를 알리는 동시에 이에 따른 권리와 특권을 나타낸다.
표현적 기능은 의복이 지닌 감정적(emotional) 측면과 전달적(communi-cative) 측면을 포함한다. 즉, 의복으로 개성이 표현되며 독특한 신체적 특성을 강조하거나 특유한 심미성이 발휘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표현적인 의미로서의 의복은 개인의 신념, 감정, 신분, 지위 등을 나타냄과 동시에 그가 소속되어 있는 사회 집단을 상징한다.267) 그러나 의복에 따라서는 도구적 기능과 표현적 기능을 동시에 보일 수도 있다.
흔히 유행은 싫증이나 무료함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원인을 기본으로 하면서, 타인과의 구별 욕구와 같은 사회적 이유가 서로 상반되기도 하고 공존하기도 하면서 변화한다. 그러나 실제 패션 스타일은 무분별하게 변화하지는 않는다. 패션 스타일이 무작위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근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맥짐시(H.T McJimsey)268)에 의하면 우리가 입는 의복의 형태는 시대(time)라는 디자이너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우리의 복식은 시대 배경을 외면하고는 존재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유행은 시대를 반영하기 때
문에 사회나 환경에 적합한 의복이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시대란 당시의 사회적·환경적 요인을 말한다. 결국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패션 스타일을 결정짓게 되고 그 사회 안에서 입을 수 있는 의복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 265) | 김선숙·이은영, 「유행 스타일의 결정과 확산에 대한 설명 모형 연구-추구 가치의 양면성을 중심으로-」, 『한국 의류학회지』 Vol.19, No.4, 1995, 638∼640쪽. |
|---|---|
| 266) | Roach, M.E. & Eicher, J.B. Dress, adornment and social order, N.Y.: John Wiley & Sons, 1965. |
| 267) | 강혜원, 앞의 책, 22∼23쪽. |
| 268) | McJimsey, H.T. Art and fashion in clothing selection,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7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