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산하, 대북 제재 위원회 출범
|
2002년
|
서울시, 성동구·성북구·은평구 일부 지역 강북 뉴타운 개발 지역 선정
|
1996년
|
김구 암살범 안두희, 인천시 자택에서 부천시 버스운전사 박기서에 피살
|
1990년
|
남북 통일 축구 대회 2차전, 서울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려 1:1 무승부 기록
|
1987년
|
김유순 북한 올림픽 위원장, 남한 정부와 서울 올림픽 공동 주최 불가 입장 발표
|
1974년
|
동아일보 송건호 편집국장·박원근 사회부장·한우석 지방부장, 서울대 데모 기사로 중앙정보부에 연행
|
1968년
|
서울 광장시장·남대문시장 상인들, 세금 과다 부과에 항의. 사상 첫 조세 저항 데모
|
1966년
|
박정희 대통령·존슨 미 대통령, 필리핀 마닐라에서 단독 회담
|
1950년
|
미 1군단, 북한 청천강 도착
|
1946년
|
미 군정청, 미곡 이중 가격 실시 발표, 매상 118원·배급 85원
|
1945년
|
좌익계 전국 신문 기자 대회, 서울 YMCA 회관에서 개최
|
1942년
|
이인·이은상·윤병호·안재홍 등 29명,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구속
|
1936년
|
한강 인도교, 두 번째 개통
|
1932년
|
의열단 외 8개 단체, 반일 전선 통일 동맹 조직
|
1923년
|
김약수 등 사회주의자 160여 명, 서울에서 건설사 조직
|
1919년
|
대한정의단 임시 군정부, 대한 정의군 정부로 개칭(총재 이규)
|
1911년
|
일본 국왕, 〈교육에 관한 칙어〉를 조선 총독에게 내림
|
1906년
|
황족·귀족 교육 기관인 수학원 설치
|
1894년
|
[음] 일본공사 이노우에[井上馨], 조선 정부에 20개조 〈내정 개혁안 강령〉 제안
|
1846년
|
[음] 중궁전의 문후를 옛 예에 의거하여 바로잡음
|
1793년
|
[음] 호조가 양향(糧餉) 이정 절목을 아룀
|
1789년
|
[음] 완성군 이의행이 은언군 이인에게 죄 주라는 자전의 교서를 이행할 것을 청함
|
1784년
|
[음] 공노비의 공납 폐단을 시정하게 함
[음] 유문(留門) 출입 시 임금 친필 칙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게 함
|
1783년
|
[음] 문과에서 33인, 무과에서 47인을 선발함
|
1778년
|
[음] 백골징포와 황구징포를 엄금하게 함
|
1764년
|
[음] 경상도 창원에서 불이 나 5,000여 호가 불타니 휼전을 행하게 함
|
1752년
|
[음] 왕세자빈(혜경궁 홍씨)이 홍진을 앓음
|
1744년
|
[음] 영조가 여러 신하를 인견하여 《속대전》을 강론함
|
1732년
|
[음] 동래 부사가 대마 도주의 승습에 대해 보고함
|
1697년
|
[음] 팔도에 대기근이 일어남
|
1601년
|
[음] 건주위(建州衛) 추장 노을가적(老乙可赤, 누르하치)이 직첩(職帖) 받기를 청함
|
1537년
|
[음] 소윤의 정치적 공격으로 윤원로가 유배됨
[음] 소윤의 정치적 공세로 윤원형이 유배됨
|
1530년
|
[음] 대사간 심언광이 대비 정현 왕후의 애책문(哀冊文)을 지음
|
1524년
|
[음] 한성부에 호랑이가 나타남
|
1515년
|
[음] 혼인할 때 친영례(親迎禮)를 행하도록 함
|
1473년
|
[음] 전라·경상도의 해적 소탕에 관한 사목을 마련함
|
1457년
|
[음] 지돈녕부사 김점이 죽음
|
1083년
|
[음] 왕(순종)이 문종의 거상 중 훙서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