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연표)
이전 검색 다음
2006년 서울대학교 출원 복제개 스너피 상표권 최종 등록
2005년 노무현 대통령, 여소야대 정국 타개 위해 연합 정부 제안
2002년 리언 라포트 주한 미군 사령관, 미군 장갑차 여중생 사망 사건에 사과
1997년 서울 강동경찰서, 〈청소년 보호법〉에 의거 고등학생에 소주 판매한 슈퍼마켓 주인 첫 불구속 입건
1989년 최저 임금제 적용 범위를 상시 근로자 10인 이상의 전 산업으로 확대
1982년 나가사키 재일한 국인 인권 수호회, 나가사키 원폭 투하 당시 한국인 피해자 1만 명 이상 사망 발표
1980년 부산, ‘일본 텔레비전 안보기 운동’ 시작
1972년 남·북한, 자주·평화·민족 대단결 통일 등 공동 성명 7개 항 동시 발표(7·4 남북 공동 성명)
1966년 아시아 영화제에서 일본 좌파 감독에 찬성표 던진 신상옥·송재홍에 대해 검찰 내사
1953년 미 8군 사령부, 용산으로 정식 이전
1952년 국회, 〈발췌개헌안〉 통과, 이승만 독재 기반 구축
1950년 미군 스미드부대, 오산 북방 죽미령서 북한군과 첫 교전, 미군 170여 명 전사·행불
1946년 〈외국과의 무역 통제에 관한 건〉 공포 평양·원산 간 직통 전화 개통
1931년 평양 등지에서 만보산 사건 보복 폭행 발생, 중국인 127명 사망·393명 부상
1922년 대동단 총재 동농 김가진(1846~1922), 상해에서 사망
1921년 〈자동차 취체 규칙〉 반포
1912년 신규식·박은식 등, 동제사 조직
1899년 〈표훈원 관제〉 반포
1823년 [음] 포삼에 대한 세액을 증액함
1800년 [음] 순조가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함 [음] 정순 왕후의 수렴청정 반교문이 반포됨
1795년 [음] 성균관과 이조는 상호 의망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을 다시 밝힘
1793년 [음] 정조가 부스럼과 종기를 치료하기 위해 소양·독맥·사죽혈에 침을 맞음
1783년 [음] 금란법의 폐단을 시정함
1772년 [음] 영조가 탕평이 무너졌다고 하교함
1770년 [음] 정몽주의 봉사손을 등용하게 함
1745년 [음] 비총제의 문제를 논의함
1623년 [음] 동래 왜관의 잠상(潛商) 임소를 효시함
1567년 [음] 이황 등에게 명종의 행장을 짓게 함
1539년 [윤] 종계(宗系) 개정 요청 문제를 논의함
1507년 [음] 의신부정(義新副正) 이징원(李澄源)을 원종공신 1등에 올림
1457년 [음] 총통위를 혁파함
1433년 [음] 하경복(河敬復) 등이 《진서(陣書)》를 편찬함
1429년 [음] 예조에서 삼국 시조에게 제사 지낼 것을 건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