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2 토기 제작전통의 형성과 발전01. 기술혁신과 공방의 발전, 원삼국시대토기 생산의 지역 전통

진한·변한 지역(辰韓)·(弁韓地域)

원삼국시대 직전까지 남한 지역의 토기는 점토대토기였으나 변화가 진·변한 지역에서 가장 먼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1세기 변·진한 지역의 목관묘에서 회색의 승문타날단경호가 등장하면서 와질토기가 시작된다. 처음 승문타날단경호 한 종류밖에 없었던 와질토기에 종래 무덤의 부장품으로 주로 제작되었던 점토대토기 파수부장경호와 주머니호가 회백색, 회흑색 연질에 타날수법으로 제작되면서 새로운 와질토기의 기종이 되었다.

이어 원삼국시대 전기의 목관묘가 후기의 목곽묘로 넘어갈 무렵 점토대토기 옹과 발 등에 타날수법이 적용되면서 적갈색연질토기로 바뀌었다. 목곽묘 단계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분묘에 부장되는 와질토기가 크게 발전하여 그릇의 종류도 크게 늘고, 기술의 정교함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지만 그 기술은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이 아니라 장식이 더욱 정교해진 와질토기를 제작하기 위한 노동집약적 기술이었다. 원삼국시대 말 낙동강하류에서 도질토기인 단경호가 처음 출현하는데 처음에는 단경호 하나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출현한 기술이었지만 곧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기술로 생산 체계를 구성한다.

[필자] 이성주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