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Ⅱ. 신석기문화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2) 사회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일본
          • 3) 시베리아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교역

 신석기시대에는 아직 씨족사회내에서 자급자족에 의한 생활이 기본적이나 후기에 농경이 시작되고 생활내용이 다양해짐에 따라 생활에 필요한 물자들을 다른 씨족과의 교류를 통하여 얻었으며 이러한 행위를 물물교환이라 한다. 또한 이러한 교역행위는 생각보다 광범위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교역은 첫단계로서 물물교환을 통해서도 가능하였지만 식량·재료 등을 구입해 옴으로써 현지에서 제작하여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서의 물물교환도 이루어졌던 바, 이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지역에서 시작되어 외국으로까지 확대된 것으로 보여진다.

 즉 점판암이나 기타 특수한 석재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물교환에 의한 교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면 꾸미개류인 옥제품이나 옥의 원석은 반드시 교역을 통해서만이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옥제품의 경우 한반도 신석기시대에는 두만강유역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옥의 원석은 지리적으로 시베리아·만주지방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두만강유역과 이들 지방과의 교역활동이 있었음을 생각할 수 있는 자료로 중요하다.706)

 또한 춘천 교동유적707)에서도 백색의 대롱옥(管玉)이 출토되고 있는데 대롱옥과 함께 납작바닥〔밑〕의 빗살무늬토기는 당시 이 지역과 두만강유역의 함경도지방과의 교역활동을 알 수 있는 자료로서 함경도지방에서 재료를 구해 와서 스스로 가공했던 제품으로 생각되어진다.

 단양 상시바위그늘유적708)은 내륙 깊숙한 남한강안에 위치하고 있는 유적으로 여기에서는 동남해안의 깊은 바다 모래땅에서만 서식하는 전복과 투박조개가 출토되었다. 이들 조개류는 여기에서 출토된 덧무늬(隆起文)토기와 함께 이 내륙지방과 동남해안지역과의 교역활동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서울 암사동유적709)에서의 물결점줄무늬(波狀點線文)가 새겨진 토기의 바탕흙(胎土)은 활석이나 석면이 섞인 점토질로서, 이는 운모가 섞인 사질계의 바탕흙으로 만들어진 빗살무늬토기가 우세한 이 지역에서는 다른 전통의 토기제작기술이 유입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는데, 이 기술은 주로 대동강유역에서 유행했던 것이다. 이로 미루어 보아 이 곳과 대동강유역과의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암사동유적에서는 강안유적이지만 담수산과 바닷산의 조개가 함께 출토되고 있는데, 이는 한강을 통하여 서해안 도서지방의 주민들과도 접촉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710)

 미사리유적711)은 한강 중류지역에 위치하는 유적이지만, 여기에서 두만강유역의 동북지방에서 유행했던 번개무늬(雷文)토기가 출토된다는 사실은 이 지역과 동북지방이 서로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오산리712)와 동삼동유적713)을 비롯하여 한반도 동북부와 남해안지역 각 유적에서는 흑요석제 석기가 다량 출토되고 있는데 흑요석은 한반도 남부에서는 생산되는 곳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이 석기의 원석을 어느 다른 지역으로부터 교역을 통하여 구입하였음을 짐작하게 된다.

 흑요석의 산지로 밝혀진 곳은 백두산·시베리아·일본 五島諸島 등으로서 남해안지역의 흑요석기는 한반도 동북부지방과의 교류를 통하여 구하였을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도 있다. 한편으로는 남해안지역의 유적에서는 흑요석기와 함께 간혹 일본 죠몬(繩文)토기조각도 출토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 북규슈지방과의 교역활동을 통해 이키섬(壹岐島) 등에서 흑요석의 원석 자체를 가져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신석기시대의 활발한 교역이나 물물교환은 특히 남해안지역과 일본의 규슈지방과의 사이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는 사실은 흑요석 외에도 남해안지역의 빗살무늬토기가 북규슈지방에 전해져 일본 죠몬시대의 토도로키식(轟式)토기 또는 소바타식(曾畑式)토기의 성립에 영향을 미친 것을 미루어 보아도 알 수 있다.

 흑요석과 같은 희귀한 광물 등은 교역이나 문화전파의 경로 등을 추정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교역활동 등에 사용된 물자로는 모피·건어·특수석기·목기·꾸미개·뼈 또는 뿔제품 등이었을 것이고 그물이나 직물 따위도 포함되었을 것이다. 농경이 시작된 이후에는 고기잡이 위주의 집단과 농경 위주의 집단이 분리되어 상호간 필요한 물품을 교역활동을 통해 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706)金元龍,<新石器文化-生業經濟>(≪한국사≫ 1, 국사편찬위원회, 1973).
707)金元龍,<春川 校洞穴居遺蹟과 出土遺物>(≪歷史學報≫ 20, 1963), 1∼27쪽.
708)손보기,<단양 상시유적 발굴중간보고>(≪韓國古代史照明≫, 忠北大, 1981).

홍현선,<상시 3바위그늘의 문화연구>(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7).
709)金元龍,<岩寺里遺蹟의 土器·石器>(≪歷史學報≫ 17·18, 1983).

―――,<岩寺洞江岸遺蹟 發掘報告>(≪歷史敎育≫ 13, 1970).

金光洙,<岩寺洞櫛文土器遺蹟 發掘槪要>(≪考古美術≫ 9-11, 1968).

金鍾徹,<서울 성동구 암사동 선사시대 유적발굴>(≪박물관뉴우스≫ 18, 1971).

―――,<서울 岩寺洞先史聚落址>(≪韓國考古學年報≫ 2, 1975).

―――,<岩寺洞新石器時代 住居址調査>(≪韓國考古學年報≫ 3, 1976).

李白圭,<岩寺洞新石器時代 住居址調査>(≪박물관신문≫ 51, 1975).

任孝宰,≪岩寺洞≫(서울대 고고인류학총간 11, 1985).

―――,≪岩寺洞遺蹟 緊急發掘調査報告≫(1983).

이기길·황선옥,<암사동유적의 신석기시대 뾰족밑토기연구>(≪孫寶基博士停年紀念 考古人類學論叢≫, 知識産業社, 1988).
710)金元龍, 앞의 글.

島津義昭,<日本の文物交流>(≪季刊考古學≫ 38, 1992), 54∼58쪽.
711)金元龍,<廣州 渼沙里櫛文土器遺蹟>(≪歷史學報≫ 14, 1961).

崔淑卿,<渼沙里遺蹟의 一磨石器>(≪考古美術≫ 4-6, 1963).

金鍾徹,<廣州 渼沙里櫛文土器遺蹟에 對한 小考>(≪韓國考古≫ 1, 1967).

任孝宰,<渼沙里緊急發掘調査>(≪韓國考古學年報≫ 8, 1981).

尹世英,<渼沙里住居址>(≪史叢≫ 25, 1981).

渼沙里遺蹟은 1988∼1992년에 걸쳐 숭실대를 주관으로 하여 경희대·고려대·서울대·성균관대·한양대가 합동으로 발굴하여 보고서가 출간되었다.

渼沙里先史遺蹟發掘調査團,≪渼沙里≫Ⅰ∼Ⅳ(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 1994).
712)서울대박물관,≪鰲山里遺蹟≫(서울대 考古人類學叢刊 9, 1984).

―――,≪鰲山里遺蹟≫Ⅱ(서울대 考古人類學叢刊 10, 1985).

―――,≪鰲山里遺蹟≫Ⅲ(서울대 考古人類學叢刊 13, 1988).
713)金元龍,<新石器文化-各地方의 土器·石器·骨角器>(≪한국사≫ 1, 1973).

及川民次郞,<南朝鮮牧ノ島東三洞貝塚>(≪考古學≫ 4-5, 1931).

橫山將三郞,<釜山府絶影島東三洞貝塚報告>(≪史前學雜誌≫ 5-4, 1933).

Sample, L. L., Tongsamdong : A Contribution to Korean Neolithic Culture History, Arctic Anthropology Ⅺ-2, 1974.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