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Ⅱ. 신석기문화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일본
          • 3) 시베리아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아직 확실한 유적에서의 출토된 예가 없는 短斜線文系 아가리무늬토기를 설정하여 중·서부지방 초창기토기로 명명한 바 있다. 따라서 口緣短斜線文·胴部魚骨文·底部放射線文의 고전식 토기인 암사동 Ⅰ식토기를 전기 전반에 편년하고, 이 시기의 늦은 시기에 이 토기양식이 중부 동해안지방과 남부지방으로 널리 퍼져 나가 두 지역의 토기문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때 중부 동해안지방은 덧무늬토기문화권에서 벗어나 지역적 특징을 보여주는 오산리 평저 Ⅱ식에, 남해안지방은 刺突文·押引文·沈線文이 베풀어지는 영선동식토기가 전단계의 토기양식인 덧무늬와 침선문이 결합된 말기형덧무늬토기와 병존하는 시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 시기는 중·서부지방의 신석기시대 전기 중반인 BC4,500∼4,000년 무렵으로 생각된다(<표 1> 참조).

시 기 초 창 기 전 기 중 기 후 기 민무늬토기시대
지 역
대 동 강

재 령 강
短斜線文系口緣

文樣土器(未發見)
岩寺洞Ⅰ式

   岩寺洞Ⅱ式
 

岩寺洞Ⅱ式·金灘里Ⅰ式
金灘里Ⅱ式 팽이形土器
한 강   〃

      〃
       岩寺洞Ⅱ式 岩寺洞Ⅲ式

內坪式(?)
팽이形土器

紅陶

孔列土器
서해도서

 

서 해 안
  〃

      〃
        矢島式

      岩寺洞Ⅱ式

 

 
矢島式

岩寺洞Ⅲ式

栗里式

北村里式
漢江式無文土器
중 부

동 해 안
隆起文土器

-鰲山里平底Ⅰ式
鰲山里平底Ⅱ式

 -岩寺洞Ⅰ式
岩寺洞Ⅱ式(?)

      鰲山里Ⅲ式
?

?
孔列土器

紅陶
금 강 隆起文土器(?) 岩寺洞Ⅰ式   岩寺洞Ⅱ式 錦江式 漢江式無文土器

<표 1>한반도 중·서부지방 토기편년

韓永熙,<新石器時代 中·西部地方 土器文化의 再認識>(≪韓國의 農耕文化≫5, 京畿大 博物館, 1996), 140∼145쪽.

 영선동식토기는 목단지·바리·둥근바닥 깊은바리형의 기형을 갖추고 있는데 남해안 일대는 물론 서해안의 부안 界火島, 군산 앞바다의 모래섬을 비롯한 서해 중부지방과 동해안의 경주 하서리799)·양양 오산리를 비롯한 중부 동해안지방에까지 널리 분포하는 토기양식으로, 처음에는 덧무늬토기와 공존하나 후기가 되면 독립된 지역토기로 성립되는 한 시기를 긋는 토기양식이다. 이러한 영선동식토기가 남해안 일대에서 제작되고 있을 때 규슈지방으로의 진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니시가라츠(西唐津)토기라는 새로운 양식의 토기를 성립시킨다.800) 한편 토도로키 B식토기는 단순한 깊은바리형의 전통을 갖는 여러 줄의 橫隆帶文토기로의 변천과 함께 자돌문·압인문·침선문과 덧무늬가 결합되는 토기, 이들 무늬 중 덧무늬가 생략되는 토기, 민무늬토기 등이 같이 출토되는 토기양식인 후카호리(深堀)식·노구치(野口)식토기로 변화해 간다.801) 이러한 양식의 토기들이 서북규슈에 존재하고 있을 때 남해안으로부터 세 부위 무늬에 기본을 두고 있는 빗살무늬토기가 전해져 새로운 토기양식인 소바타식(曾畑式)토기로 성립되는데 그 연대는 BC4,000년 전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소바타식토기는 빗살무늬토기와 마찬가지로 구연부·동부·저부의 세 부위에 서로 다른 내용의 무늬가 베풀어져 기본적으로 빗살무늬토기의 한 지역양식으로 여겨지나 貝殼條痕文에 의한 기면 조정이 토기제작의 기본적인 방향이 되며 한편 동부에 횡문양구획대를 돌리고 그 안에 무늬를 채우고 있어 토도로키 B식토기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출되는 석기와 골각기에도 규슈지역 이른 시기 이래의 문화전통을 갖고 있어 지역적 특성을 지니면서 변화하였음이 인지된다.

 이제까지 남해안 덧무늬토기와 규슈지역 토도로키식토기가 각각 영선동식토기와 침선문계빗살무늬토기로, 니시가라츠식토기·후카호리식·노구치식토기와 소바타식토기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덧무늬토기와 규슈지방 덧무늬 및 토도로키식토기는 서로 유사한 문화내용을 가지고 있으면서 계통을 달리하는 지역적 토기양식인 것으로 보았으나 규슈의 니시가라츠식토기는 남해안의 영선동식토기의, 소바타식토기는 침선문계빗살무늬토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성립된 규슈지역의 토기양식인 것으로 밝혀 보았다. 그렇다면 전시기 깊은 교류 속에도 서로의 독자적 문화를 유지해 온 두 지역 주민들이 영선동식토기를 사용하는 시기에 왜 남해안계의 문화가 갑자기 규슈에 대거로 흘러 들어가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의문을 풀어주는 것이 아카호야화산재설이 아닐까. 아카호야화산재설은 BC4,500∼4,000년 사이에 가고시마(鹿兒島)縣 三島村의 硫黃島에서 화산이 폭발할 때 쌓인 화산재로 인해 서북규슈의 내륙부와 먼 섬지역을 제외한 규슈 전역의 인간과 동·식물이 사멸되었고 이후 식생이 회복되는 시기에 한반도 남해안 쪽에서 대거 주민의 유입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내용이다. 이러한 주장은 우선 영선동식토기와 빗살무늬토기의 전래시기가 화산폭발시기와 멀지 않다는 점에서 논리적 뒷받침이 주어진다. 한편 규슈에 인간이 살아 남아 있던 서북규슈에서는 가장 오랜 소바타식토기가 출토되는 반면, 화산재의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가고시마현과 그 주변 섬들에서 가장 늦게 소바타식토기가 등장하는 점, 그리고 일단 성립된 소바타식토기가 빠른 속도로 남진하는 모습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하겠다.

<韓永熙>

799)洪鎭根,<慶州市 陽南面 下西里 新石器時代遺蹟>(≪國立慶州博物館年譜≫, 1995), 133∼146쪽.
800)李相均,<東아시아 속에서의 韓國 新石器時代文化>(≪第9回 韓國古代學會 學術發表要旨≫, 1996), 66∼67쪽.
801)水ノ江和同,<曾畑式土器の成立>(≪季刊考古學≫38, 雄山閣出版, 1992), 75∼7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