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Ⅱ. 신라의 융성2. 정치체제의 정비1) 배경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1. 건국신화와 시조신화
        • 2. 성립과 발전
          • 2) 성립
          • 3)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1. 나제동맹의 결성과 정치적 발전
          • 2) 나제동맹의 결성
          • 3) 마립간시대의 정치적 발전
        • 2. 정치체제의 정비
          • 1) 배경
          • 2) 부체제
          • 3) 지증왕대
          • 4) 법흥왕대
        • 3. 영토의 확장과 왕권강화
          • 1) 영토의 확장
          • 2) 왕권의 강화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1. 중국과의 관계
        • 2. 왜국과의 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경제
          • 1) 농업
          • 4) 토지제도와 조세·요역제도
        • 4. 사회구조
          • 2) 골품제도의 형성 배경
          • 3) 골품제도의 계층 구성
          • 4) 골품제사회의 권력구조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1. 가야사 연구의 개관
          • 2) 임나 문제의 제학설
          • 3) 가야관계의 제학설
        • 2. 가야사의 범위
      • Ⅵ. 가야의 성립
        • 2. 가야의 건국 설화
        • 3. 가야 제국의 성립
        • 4. 가야연맹의 형성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1. 가야연맹의 발전
        • 2. 가야연맹의 약화
        • 3. 가야의 멸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1. 백제·야마토왜의 접근과 중개외교
        • 2. 대백제관계의 심화와 부용외교
        • 3. 백제·신라의 각축과 분열외교
      • Ⅸ. 가야인의 생활
        • 1. 산업의 발달
        • 2. 종교와 풍속
          • 1) 문헌에 보이는 가야의 종교
          • 2) 가야의 신앙과 풍속
          • 3) 유물자료에 보이는 신앙과 풍속
            • (1) 장례 풍속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사회의 변동

 이상에서 신라사회가 4∼6세기에 들어가면 광범위한 철제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 수리시설의 확충 그리고 새로운 작물의 재배 등을 통해 농업생산력이 급격히 발달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농업생산력의 발달은 생산물의 증가와 함께 여러 가지로 사회적인 변화를 유발하였다고 생각된다.

 먼저 1차산업인 농업의 발달은 잉여생산물의 증가로 상업과 수공업의 발달을 유발하였을 것이다. 소지마립간 12년(490)에 처음으로 경주에 시장을 개설하여 사방의 물화를 유통하게 하였으며,156) 지증왕 10년(509)에는 東市를 개설하고 아울러 이를 관할하는 東市典이라는 관청을 설치하고 있다.157) 시장이 개설되고 이를 관리하는 관청이 신설된다는 것은 상업이 발전하여 국가에서 관리하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그 규모가 커졌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상업의 발달과 아울러 도로망과 운송수단의 정비도 필요하였을 것인데, 눌지마립간대에 牛車의 사용법을 널리 알려 물자의 수송을 편하게 하였다는158) 기록을 통해 당시 인력에만 의존하던 운송수단이 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바뀌지 않으면 안될 정도로 유통물량이 증가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 지증왕 6년에 선박의 이로움을 권장하였다는159)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운송수단의 변화에는 반드시 도로망의 정비가 필요하였을 것인데, 소지마립간 9년(487)에 사방에 郵驛을 설치하였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160)

 그리고 이렇게 상업과 운송이 발전하면서 자연히 수공업도 함께 발전하였을 것이다. 당시의 수공업의 발전상은 4∼6세기의 적석목곽분의 화려한 부장품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비단 왕실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분업화가 진행되면서 보다 전문적으로 농기구 제작 등을 비롯한 수공업에 종사하는 계층이 증가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161)≪삼국유사≫에 전하는 석탈해의 설화에서 그가 대대로 冶匠집안의 출신임을 말하고 있음으로 보아162) 야철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등장하였으며, 광범위한 철제 농기구의 보급은 더욱 이러한 추세를 부추겼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발전과 함께 당시 수도인 경주의 인구도 상당한 증가를 보여 수도의 규모가 확장되었다. 자비마립간 12년(469)에 서울의 坊里 이름을 제정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163) 경주의 도시화가 이 시기에 급격한 진전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지방에도 지증왕 15년에 阿尸村에 처음으로 小京이 설치되었는데,164) 아시촌의 위치는 확실치 않으나 지방도시의 성장을 보여 주는 자료임에는 틀림없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경주와 지방도시의 성장은 사회적 분업이 진전되면서 농촌사회에서 이탈한 계층들이 수공업 등에 흡수된 결과로 보이지만, 여기에는 자연적인 인구증가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당시의 인구 변동에 대하여는 이를 구체적으로 증명할 만한 자료는 없으나, 농업생산력의 획기적 발전은 당연히 절대인구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며, 많은 인력 동원이 필요한 대규모의 고총고분의 등장은 이를 간접적으로나 증명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전반적인 사회상황의 변화로 인해 읍락사회도 적잖은 변화의 과정을 겪었을 것임은 쉽게 추측된다. 우선 철제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은 이전의 집체적인 농업경영을 점차 개별적이고 家戶를 단위로 한 방식으로 전환시켜, 기존의 농촌공동체가 급속히 와해되었을 것이다.165) 그리고 철제 농기구가 일부 계층에 독점됨으로 인해, 새로운 농업기술과 우수한 철제 농기구나 소 등을 보유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농민들 사이에 빈부의 차가 확대되어 계층분화가 확대되었을 것이다.166) 일부 계층 중에는 스스로 몸을 팔아 노비로 전락하는 자도 있었을 것이고, 더러는 수공업에 흡수되기도 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농촌사회의 계층분화는 이전의 공동체적 결속력을 현저히 약화시켜 중앙의 권력이 지방사회에 침투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주었을 것이다. 5세기 이후 경상도지역의 소국의 수장들이 사용하던 금동관이 신라국가의 금관과 똑같은 出字形 立飾으로 획일화되는 것은 바로 신라세력이 이들 소국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한 결과일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충분한 것이다.167) 그리고<迎日 冷水里碑>에 節居利라는 외위를 소지하지 않은 개인에게 갈문왕 이하의 중앙 고위관직자들이 함께 판결을 내려 특정한 재산의 소유를 증명하고 있는 것은 부의 축적을 통한 계층분화와 새로운 지배계층의 등장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신라의 중앙집권력은 더욱 공고히 되었으며 과거 소국의 지배자들은 신라의 중앙집권체제에 편입되고 그 지역들은 주나 군으로 재편되었던 것이다.

156)≪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소지마립간 12년.
157)≪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10년 정월.
158)≪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눌지마립간 22년.
159)≪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6년.
160)≪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소지마립간 9년 3월.
161)朴南守,<신라의 성장과 수공업경영형태>(≪新羅手工業史≫, 신서원, 1996), 31∼60쪽.
162)≪三國遺事≫권 1, 紀異 2, 第四脫解王.
163)≪三國史記≫권 3, 新羅本紀 3, 자비마립간 12년 정월.
164)≪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지증마립간 15년 정월.
165)全德在, 앞의 글, 16∼50쪽.
166)全德在, 위의 글, 33∼40쪽.

李賢惠, 앞의 글, 69∼77쪽.
167)全德在,<新羅 州郡制의 成立背景 硏究>(≪韓國史論≫22, 서울大, 1990), 37∼4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