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Ⅳ. 대외관계3. 해상활동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남방해로

 신라가 통일 이전에 당은포를 이용하여 중국에 이르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었다. 비단 백제나 고구려의 방해0781)라는 정치적인 이유만이 아니라, 王都인 경주가 한반도 동남쪽에 위치하여 당과의 교통이 매우 불편하였다. 가탐이≪도리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당에서 남양만에 이르러 다시 경주까지 가려면「陸行七百里」라는 노정에다 험준한 추풍령도 넘어야 하는 고통이 따랐다. 적지 않은「國信物」을 지닌 사신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교역을 주업으로 하는 상인들도 험한 육로를 통한 수송에는 상당한 부담을 느꼈을 것이다.

 이와 같은 羅唐 양국간의 교통불편을 해결하는 방편으로 행로와 수송능력면에서 월등히 나은 선편이 자연스럽게 이용될 수밖에 없었다. 경주에서 가까운 감포·영일만이나 울산만에서 출발하여 남해안을 지나 흑산도 부근에서 뱃길을 서북쪽으로 돌려 산동반도로 항해하거나0782) 서남쪽으로 바다를 건너 長江口나 남중국으로 직항하는 해로가 이용되었다. 이 강남에 이르는 항로의 중국측 중심 해항은 明州 定海縣, 台州 黃岩縣, 揚州, 泉州, 廣州 등이며 우리 나라측에서는 武州(光州)·羅州·全州·康州(晋州)가 이용되었다. 徐兢의≪宣和奉使高麗圖經≫과≪宋史≫高麗傳에 나오는 노정이 곧 이 해로에 해당된다. 명주 정해현을 출발하여 梅岑(昌國縣)에서 白水洋(浙江沿岸 海中)·黃水洋(長江口의 濁水바다)·黑水洋(黑潮해역)을 지나 夾界山(小黑山島)·排島(珍島 동쪽바다 섬)·黑山(黑山島)에 도착하여 서해안을 따라 북상하여 나주·群山·인천·강화도를 지나 禮成江에서 開京에 이르는 항로를 말한다. 서긍 일행은 5월 28일에 매잠을 출발하여 3일 뒤인 6월 2일에「華夷」의 경계라던 협계산에 도착하였고, 3일 오후에는 흑산도에 이르고 있었다. 이와 같이 계절풍을 이용하면 명주에서 불과 5일 만에 흑산도에 도달한다.≪續資治通鑑長編≫에도 고려사행로를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명주를 출발하여 4일 만에 흑산도에 이르고 있다.0783) 建炎 2년(고려 仁宗 6년, 1128) 楊應誠 등의 사행길은 5일째 되던 날 명주 정해에 도착하고 있다.≪송사≫고려전에도 명주 정해를 출발하여 순풍을 만나면 5일 만에 흑산도에 이르며, 7일째에는 예성강에 이른다고 했다. 이 항로가 대체로 통일신라 이후 고려초에 이르는 기간동안 많이 이용되었던 이유도 알 만한다.

 ≪南齊書≫권 58, 東夷傳에 보면 加羅國王 荷知(鉗知)가 建元 원년(479)에 남제(479∼501)로 사신을 보낸 기록이 있다. 金海지방의 나라가 백제(484)에 앞서서 단독으로 남제와 통교하였다는 사실로 보아 황해를 직접 횡단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승 覺德이 梁(502∼556)으로 건너갔을 때나 또 그가 진흥왕 10년(549)에 양의 사신과 함께 佛舍利를 가지고 왔을 때도 이 남방항로를 이용했음이 분명하다.0784) 진흥왕 26년에 남조 陳(557∼589)의 사신 劉思와 함께 經論 1,700여 권을 가지고 온「入學僧」 明觀도 필경 이 항로를 따라왔을 것이다.0785)

 신라가 중국 제왕조에 대한 이른바 조공무역을 활발하게 전개한 것이 남조의 진부터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시기의 신라는 남방항로를 보다 많이 활용하였을 것이다. 진과의 교역은 진흥왕대만 해도 전후 4차나 되었으며 眞智王(576∼578)·진평왕(579∼631)대에 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였다. 진평왕 7년(585)의 고승 智明의 入陳이나 9년의 大世와 仇柒의 이야기0786)도 남방해로로 남중국의 吳·越에 이르렀던 당시 신라사람들의 정황을 반증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이 밖에도 圓光法師가 선편으로 金陵(南京)에 직항한 기록은0787) 신라가 통일 이전에 이미 남방항로를 통하여 남조와 왕래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다.

 통일 이후에도 이 뱃길이 활발히 이용되었던 것은 물론이다. 그것은 조선술과 항해술의 발달에서 온 결과이기도 하지만 安史의 난(755∼763) 이후 江南지역의 경제성장과 揚州를 비롯한 남중국의 廣州·福州·杭州·明州·泉州 등 제항구가 국제항으로 크게 번창한 까닭이기도 하다. 중세기의 이슬람·아라비아 상인들이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를 거쳐 남중국과 양주까지 무역시장을 개척하고 서방의 문물을 다량으로 가지고 온 데에서도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여파는 당과 정치·경제·문화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던 신라에 미쳤고,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이 지역에 쏠릴 수밖에 없었다. 憲德王 8년(816) 흉년이 들자 신라인 170명이 당의 浙東(남중국 절강 동쪽)에 건너가 먹을 것을 구하였던 사실0788)은 이의 반증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 남방항로는 이미 많은 사람들에 의해 이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唐會要≫에는 望海鎭(명주 정해현)이 일찍부터 신라 원항선박의 중요한 발착항구였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0789) 뿐만 아니라≪輿地紀勝≫에는 명주 창국현의 梅岑山은 고려·신라·발해·일본 등의 선박이 바람을 기다리던 곳이라 하고 있다.0790) 그리고≪續日本後紀≫에 보면 신라상인들이 康州(廣州)에 표류한 일본인 50여 명을 일본으로 데리고 왔다는 기록이 있다.0791) 신라인들이 남방항로를 따라 중국에 진출하였던 좋은 예라 하겠다.

 신라말에 오면 이 남방항로는 더 많이 이용된다. 그것은 북중국에 契丹족이 등장한 데에도 한 원인이 있었겠지만 이 항로를 이용하는 선원들은 이미 계절풍과 해조의 흐름을 잘 이용할 줄 알았기 때문이다. 많은 신라승의 入唐과 귀국의 기록을 보면 서북풍이 부는 10월∼2월에 중국으로 출발하여 서남풍이 부는 3월∼8월에 귀국하고 있다. 여주 高達寺 元宗大師도 眞聖王 6년(892) 늦겨울에 상선으로 남중국의 舒州 桐城縣(安徽省 桐城縣)에 도착하였고 景明王 5년(921) 7월에 강주(진주) 德安浦를 거쳐 귀국했다.0792) 항해기간도 놀라울 정도로 단축되었다. 앞서 본≪고려도경≫이나≪송사≫고려전의 기록처럼 5∼6일이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眞澈大師(利儼, 866∼932)의 탑비에는 그가 진성왕 10년(896) 入浙使 崔藝熙와 함께 ‘不銷數日’에 鄞江(寧波)에 도착하였고 孝恭王 15년(911)년에 나주 會津으로 환국하였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0793) 계절풍을 잘 이용한 항해였음을 입증하고 있다. 聞慶 鳳巖寺의 靜眞大師도 효공왕 4년(900)에 상선을 타고 江淮부근에 도착하였고 景明王 8년(924) 7월에 전주 喜安縣 포구로 귀환하였다.0794) 光陽 天龍寺 洞眞大師는 眞聖王 6년(892) 늦겨울에 출항하여 경명왕 5년 여름철(7월)에 전주 臨海郡에 귀착하였다.0795)

 五龍寺의 法鏡大師는 효공왕 12년 7월에, 砥平 菩提寺의 大鏡大師는 같은 왕 13년 7월에 武州(광주)의 會津과 昇平에 귀한하고 있다. 많은 승려들이 약속이나 한듯이 늦겨울에 중국으로 가서 여름철(7월)에 무주·전주·강주나 나주 방면으로 돌아오고 있다. 물론 계절풍과 관계있는 결과이다. 後百濟王 甄萱과 吳越 등 제국과의 빈번한 왕래는 이 항로의 계속적인 이용을 웅변으로 증명하고 있는 예라 하겠다.0796)

0781)≪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권 4., 眞平王 47년 11월 및 권 5, 新羅本紀 5, 善德王 11년.
0782)≪唐國使補≫下, 元義方使新羅.
0783)≪續資治通鑑長編≫권 339, 元豊 6년 9월 경술.
0784)≪海東高僧傳≫권 2, 覺德.
0785)≪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흥왕 26년.
0786)≪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평왕 7년·9년.
0787)≪續高僧傳≫권 13, 釋圓光.
0788)≪三國史記≫권 10, 新羅本紀 10, 헌덕왕 8년.
0789)≪唐會要≫권 78, 諸使 雜錄 上 元和 14년(819).
0790)≪輿地紀勝≫권 11, 兩浙東路 慶元府 明州 景物 下.
0791)≪續日本後紀≫권 15, 承和 12년(845) 12월 5일.
0792)≪朝鮮金石總覽≫上
0793)≪朝鮮金石總覽≫上.

≪海東金石苑≫권 3.
0794)≪朝鮮金石總覽≫上.

≪海東金石苑≫권 4.
0795)위와 같음.
0796)金庠基,<羅末地方群雄의 對中交通 -特히 王逢規를 중심으로->(≪東方史論叢≫, 서울大 出版部, 1984), 434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