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Ⅳ. 대외관계3. 해상활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해외무역

 奈勿王 시대(356∼401)는 신라정치사에서 뿐만 아니라 무역사에 있어서도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시대이다. 신라가 비록 고구려의 도움을 받기는 하였지만 두 차례(내물왕 22년·26년, 377·381)나 前秦에 사신을 보내어 이른바 조공의 형식을 통한 官貿易의 길을 열었던 까닭이다. 그러나 전진의 멸망(394)과 중국대륙의 혼란, 그리고 고구려와의 관계 악화로 더 이상 북중국 諸國과의 교역은 계속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법흥왕 8년(梁 普通 2년, 521) 이번에는 백제사신을 따라 남조의 梁(502∼556)에 入貢하였다. 이 일은 그 후의 중국대륙과의 무역확대에 있어서 획기적 계기가 되었다.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었던 신라는 중국대륙과 끊임없이 접촉할 수 있었던 고구려나 백제에 비하여 발전과정도 완만하였다. 이제 신라는 남조의 중심국이던 梁과 직접 교류함으로써 동아시아 세계의 문화·경제의 큰 흐름속에 동참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당시 양으로부터 의복과 향을 받은 신라조정이 그 이름과 그것의 쓰임을 알지 못하여 향을 가지고 국내를 돌아다녔던 일0825)을 미루어 생각하면 후진국 신라에 던져진 문화충격이 어떠하였던가를 알 만하다. 신라가 중국대륙과의 무역을 본격적으로 행하게 된 것은 陳(557∼589)과의 교역에서이다. 진흥왕 28년(567)부터 시작된 이 교역0826)은 진흥왕대만 해도 전후 4차례에 이르며, 진지왕 3년(578)에도 方物을 바쳐 교역하고 있다.0827)

 그런데 진평왕대(579∼631)에는 조공형식의 공무역만이 아니라 상인들에 의한 상거래도 행해지고 있었던 흔적이 곳곳에 나타난다. 고승 智明과 圓光法師의 入陳은 비록 불법을 구하러 간 승려에 관한 기사이지만 선박의 왕래가 빈번하였다는 반증이며 특히 남해안에서 배를 타고 남중국으로 들어간 大世와 仇柒의 이야기는 그 당시 민간인들의 중국 내왕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증거이다.

 이 당시 중국과 교역된 무역품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는 알 길이 없다. 중국에서 보내온 回賜品目도 현존사료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것은 진 멸망 이후 더욱 빈번하게 교빈하였던(7회) 隋(581∼617)와의 교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른바 조공무역이 전성기를 이루었던 당대(618∼907)에도 國使의 왕래는 매우 빈번하였지만 貢物·회사품의 품목을 전해주는 자료는 그렇게 많지 않다. 당이 건국되고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까지 반세기간, 양국의 교빈은 기록상 34回나 되지만0828) 교역품목을 명기한 자료는 찾기 어렵다. 다만 이 시기 왕이 승하하거나 왕족이 사망하였을 때 부의로 보낸 물품이나 답례품이 이때의 주요한 교역품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될 뿐이다. 진평왕이 승하하였을 때(632) 당 太宗은 비단 200필을 보내어 부의하였고0829) 伊湌 文王(文武王 3弟)이 죽었을 때(665) 당 高宗은 紫衣·腰帶를 비롯하여 彩綾羅 100필, 生綃 200필을 부의하였다. 신라는 답례로 金帛을 더욱 두터이 보냈다.0830) 당초부터 이 기간 동안 신라는 금·비단 등 원료적인 토산품을 진공하였고, 당은 羅·綾·綵·錦 등 고급직물과 의복·금은세공품을 보내왔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무역량의 비약적인 성장으로 신라의 경제생활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통일전에는 그 수출품이 원료적 토산품인데 반하여 통일 이후에는 朝霞紬·魚牙紬·鏤鷹鈴 등의 고급직물과 금은세공품 등의 수출이 늘어나고 있다.0831) 聖德王 22년(당 玄宗 11년, 723) 당에 進貢된 물품은 ‘果下馬一匹·半黃·人蔘·美髢·朝霞紬·魚牙紬·鏤鷹鈴·海豹皮·金銀’ 등 주로 고급기술품이 포함되어 있다.0832) 당은 그 답례품으로 ‘金袍·金帶·綵絹·素絹 共二千匹’을 보내왔다.0833)

 신라 수출품의 이와 같은 질적 변화는 성덕왕·경덕왕대를 중심으로 공예품 생산과 관계된 직관의 변혁에서도 알 수 있다.≪삼국사기≫에 보면 ‘陵色典 大舍一人 史一人’, ‘朝霞房 母二十三人’, ‘染宮 母十一人’ 등 20여에 이르는 직관이 명기되어 있다.0834) 고급물품의 생산을 위한 관영공장의 설립과 무관하지 않다. 이와 같이 세분화되고 분업화된 신라의 관영공장이 수출품만을 생산하기 위하여 설립된 것은 아니다. 신라 전성기의 ‘京中十七萬八千九百三十六戶’와 ‘三十五金入宅’으로 상징되는 부유귀족층0835)의 물품수요 증대에 따른 공장설립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관영공장의 건설이 당과의 조공형식의 무역을 위한 것이었는지 혹은 부유귀족충의 물품수요의 충당을 위한 것이었는지 간에 관공장의 고급기술은 널리 보급되고, 그것은 다시 민영의 가내공장 설립으로 발전되어 간 것만은 분명하다.

 성덕왕 29년(730) 2월부터 전후 4회에 걸쳐 교역된 무역품이나 景德王 7년(748) 3월과 惠恭王 9년(773) 4월에 送貢된 교역품들은 모두 그 질과 양에 있어서도 현저한 변화가 있었다.0836) 특히 景文王 5년(865)에 당 懿宗(860∼873)이 보내온 물품과 경문왕 9년 신라가 당에 수출한 물품들은 그 당시 관무역의 내용과 크게 발달한 신라 금속공예산업의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0837)≪삼국사기≫를 비록하여≪冊府元龜≫·≪당회요≫등에 보이는 자료를 바탕으로 나당 양국 간에 교역된 물품을 간추려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0825)≪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법흥왕 15년.
0826)≪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흥왕 28년 3월.
0827)≪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지왕 3년 7월.
0828)申瀅植,≪韓國古代史의 新硏究≫(一潮閣, 1984), 315쪽.
0829)≪三國史記≫권 4, 新羅本紀 4, 진평왕 54년 정월.
0830)≪三國史記≫권 6, 新羅本紀 6, 문무왕 5년 2월.
0831)申瀅植, 앞의 책, 336쪽.
0832)≪三國史記≫권 8, 新羅本紀 8, 성덕왕 22년.
0833)≪三國史記≫권 8, 新羅本紀 8, 성덕왕 23년 2월.
0834)≪三國史記≫권 39, 雜志 8 職官 中.
0835)≪三國遺事≫권 1, 紀異 2, 辰韓.
0836)≪三國史記≫권 8 新羅本紀 8, 성덕왕 29년.

≪唐會要≫권 95, 신라

≪三國史記≫권 9, 新羅本紀 9, 혜공왕 9년.
0837)≪三國史記≫권 11, 新羅本紀 11, 경문왕 9년.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