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9권 통일신라Ⅴ. 문화3. 과학과 기술의 발달1) 하늘의 과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1. 삼국통일 과정
          • 1) 7세기 신라의 내정변화
          • 2) 대여제항쟁과 나당군사동맹
            • (1) 대여제항쟁
            • (2) 나당군사동맹
          • 3) 백제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백제의 패망
            • (2) 백제국 부흥운동의 진압
            • (3) 새로운 나제관계
          • 4) 고구려의 패망과 부흥운동
            • (1) 고구려의 패망
            • (2) 고구려국 부흥운동
          • 5) 대당전쟁
            • (1) 대당전쟁의 원인
            • (2) 대당전쟁의 승리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1) 민족융합의 문제
          • 2)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1. 무열왕계의 왕권확립
          • 1) 문무왕의 왕권강화
          • 2) 김흠돌란의 발생
          • 3) 신문왕의 개혁정치
        • 2. 전제왕권과 귀족
        • 3. 중앙통치조직의 정비
          • 1) 중앙통치조직의 정비과정
          • 2) 중앙통치조직
          • 3) 내정기관의 정비
          • 4) 재상제도의 운영
        • 4. 지방·군사제도의 재편성
          • 1) 9주 5소경
          • 2) 군사조직
            • (1) 중앙의 군사조직
            • (2) 지방의 군사조직
          • 3) 진과 성곽시설
        • 5. 토지제도의 정비와 조세제도
          • 1) 토지제도
            • (1) 관료전
            • (2) 녹읍
            • (3) 정전·연수유전답
          • 2) 조세제도
            • (1) 전조
            • (2) 호조
            • (3) 부역
      • Ⅲ. 경제와 사회
        • 1. 수공업과 상업의 발달
          • 1) 수공업의 발달
            • (1) 궁중수공업과 관영수공업
              • 가. 궁중수공업
              • 나. 관영수공업
              • 다. 궁중ㆍ관영수공업관사의 변화
            • (2) 민간수공업
              • 가. 농민수공업
              • 나. 귀족의 수공업 경영
              • 다. 사원의 수공업 경영
            • (3) 각종 수공업 기술의 발달
          • 2) 상업의 발달
            • (1) 국내 상업
            • (2) 대외교역
        • 2. 귀족의 경제기반
          • 1) 사유지와 목장
          • 2) 식읍
          • 3) 녹읍과 녹봉
          • 4) 문무관료전
        • 3. 농민의 생활
          • 1) 신라장적
            • (1) 문서의 성격과 작성연도
            • (2) 신라장적과 농민생활
          • 2) 촌락과 농민의 지위
        • 4. 천민의 생활
          • 1) 향·부곡
          • 2) 노비
        • 5.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머리장식
              • 가. 남자
              • 나. 여자
            • (2) 의복
              • 가. 포
              • 나. 바지
              • 다. 저고리(단의와 내의)
              • 라. 치마, 허리끈과 옷끈
              • 마. 반비
              • 바. 배당
              • 사. 표
              • 아. 요대
              • 자. 버선·버선목
              • 차. 화·화대·이
          • 2) 식생활
          • 3) 주생활
      • Ⅳ. 대외관계
        • 1. 당과의 관계
          • 1) 친당외교의 추진
          • 2) 나당 친선외교의 확립
        • 2. 일본과의 관계
          • 1) 7세기 후반∼8세기 일본과의 국가간 교섭
          • 2) 9세기 전반 일본의 사신파견
          • 3) 신라상인에 의한 무역의 전개
          • 4) 9세기 후반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계강화
        • 3. 해상활동
          • 1) 항로의 개척과 항해술의 발전
            • (1) 북방해로(노철산항로)
            • (2) 황해횡단항로
            • (3) 남방해로
            • (4) 선박과 항해술
          • 2) 해외무역
            • (1) 수출품
            • (2) 수입품
            • (3) 일본과의 교역
            • (4) 이슬람과의 교역
          • 3) 당에서의 활동
            • (1) 유학생과 문인의 교유
            • (2) 구법승의 순례
            • (3) 재당신라인과 무역상
      • Ⅴ. 문화
        • 1. 유학과 역사편찬
          • 1) 유학의 발달
            • (1) 성격
            • (2) 유학의 발달
            • (3) 도당유학생의 활동
          • 2) 역사의 편찬
        • 2. 불교철학의 확립
          • 1) 교학의 발달
            • (1) 유식사상
              • 가. 원측의 유식학
              • 나. 서명학파
              • 다. 법상종 승려들의 유식학
            • (2) 원효 교학
              • 가. 생애와 활동
              • 나. 기신론 철학
              • 다. 교판
            • (3) 화엄교학
              • 가. 의상의 생애와 활동
              • 나. 의상의 화엄사상
              • 다. 화엄종과 의상 화엄의 계승
            • (4) 계율학
          • 2) 불교신앙의 일반화
            • (1) 미타신앙
            • (2) 관음신앙
            • (3) 미륵신앙
            • (4) 지장신앙
          • 3) 승려들의 국가적 활동
        • 3. 과학과 기술의 발달
          • 1) 하늘의 과학
            • (1) 첨성대와 천문현상의 기록
            • (2) 천문도의 도입과 천문기관의 발달
            • (3) 해시계와 물시계
            • (4) 역법과 연호
            • (5) 수학과 도량형
          • 2) 땅의 과학과 기술
            • (1) 풍수지리와 지리학
            • (2) 농업기술과 생물 지식
            • (3) 풀·나무·흙의 기술:종이·직물·유리·도자기
            • (4) 쇠붙이의 기술
          • 3) 사람의 과학과 기술
            • (1) 의약학
            • (2) 빙고-얼음의 저장 이용
            • (3) 인쇄술
            • (4) 간단한 기계와 자동 장치
            • (5) 탑과 건축
            • (6) 선박 기술
        • 4. 언어와 문학
          • 1) 이두와 언어
            • (1) 고대국어의 자료와 표기법
            • (2) 차용어
            • (3) 문법
          • 2) 향가
          • 3) 한문학
            • (1) 한문학의 전개
              • 가. 신라 통일 이전의 한문학
              • 나. 8세기 승려들의 시문
              • 다. 9세기 신라 한문학
            • (2) 한문학의 의의
        • 5. 예술
          • 1) 회화
          • 2) 서예
            • (1) 초기의 서풍
            • (2) 서풍의 발전
            • (3) 후기의 선풍 글씨
          • 3) 조각
            • (1) 불교조각
              • 가. 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나.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 다. 8세기 후반의 불교조각
              • 라. 9세기의 불교조각
            • (2) 탑과 부도의 조각
            • (3) 일반 조각
          • 4) 공예
            • (1) 금속공예
              • 가. 시대개관
              • 나. 범종
              • 다. 사리장엄구
              • 라. 장신구 및 생활용구
            • (2) 토기 및 와당과 전
              • 가. 토기
              • 나. 와당과 전
          • 5) 건축
            • (1) 사원 건축(목조)
            • (2) 궁실 및 연못
            • (3) 고분
            • (4) 석조건축
              • 가. 탑파
              • 나. 부도
              • 다. 석등
              • 라. 당간과 당간지주
              • 마. 석련지와 석련대
              • 바. 석비와 탑비
              • 사. 석교
            • (5) 성곽
              • 가. 왕경의 성곽과 구성문제
              • 나. 소경과 주성
              • 다. 축성기법의 예
          • 6) 음악
            • (1) 역사적 배경
            • (2) 향악과 향악기
              • 가. 삼현과 삼죽의 기원
              • 나. 거문고의 수용과 옥보고
              • 다. 삼현과 삼죽의 악조 및 악곡
              • 라. 옥보고의 창작곡과 악가무
            • (3) 당악과 불교음악의 대두
              • 가. 당악과 당악기의 등장
              • 나. 불교음악
            • (4) 일본에서의 고려악
          • 7) 무용·체육
            • (1) 무용
            • (2) 체육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3) 해시계와 물시계

 통일신라시대에 사용된 시계 가운데에는 분명히 해시계와 물시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시계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던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경주국립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화강석 유물은 흔히 신라의 해시계라 여겨진다.1149) 원래 둥그런 원판 모양이었을 것으로 보이는 이 화강석은 지금 원판의 4분의 1 정도만 남아 있는 파편인데, 반지름이 33.4cm이고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깨가 16.8cm라 밝혀져 있다. 子에서 卯까지의 글자가 새겨져 있는 부분이 남아 있다. 만약 이것이 해시계라면 원래 둥글게 모든 부분이 있어서 그 가운데 바늘을 세워두고 그 그림자가 떨어지는 방향이 시각을 나타내게 만든 것이라는 가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 유물이 신라의 해시계였던가는 지금 단정하기 어렵다. 어떤 종류의 占치는 데 사용하던 기구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1930년 경주의 성곽에서 발견된 이 돌파편에는 시간의 단위로도 사용되었던 12지의 일부 글자가 새겨져 남아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꼭 시간을 나타내려던 것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왜냐하면 12지란 방향을 나타내고, 그 밖에도 여러 가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 이것이 경주 성곽에서 발견되었다 하여 신라시대의 것이었다는 결정적 증거가 될 수도 없다.

 이처럼 통일신라시대의 해시계의 모습을 알려주는 증거는 절대로 부족하다. 그러나 당시 해시계가 사용되었을 것은 너무나 분명하다. 그리고 그것은 몇 가지 형태의 것이었으나, 다만 그 구체적 증거를 발견할 수 없을 뿐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겠다.

 물시계 역시 구체적으로는 그 모양을 알기 어렵다. 물론 물시계야말로 더 정확한 시계로 사용되었을 것도 사실이다. 낮 시간에만, 그것도 해가 비칠 때만 사용할 수 있는 해시계와 달리 물시계는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같은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을 재어 주기 때문에 어느 문명에서나 기준시계로 사용되었다. 신라에서는 문헌에 드러난 것으로는 성덕왕 17년(718) 6월에 처음 물시계(漏刻)를 만들었고, 역시 같은 시기에 漏刻典이란 관청을 둔 것으로 되어 있다.1150) 여기에는 博士가 6명, 史가 1명 배치되었다. 앞에서 이미 소개한 것처럼 경덕왕 8년(749)에 천문박사 1명과 누각박사 6명을 두었다는 기록은 조금 잘못된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누각박사가 6명은 아니었다 해도 몇 명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이것을 이 땅에 처음 물시계가 사용된 경우였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물시계의 사용은 그보다는 훨씬 앞서부터였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 그 확실한 증거를 찾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일본만 해도 첫 물시계의 기록은 무열왕 7년(660)에 기록되어 있다. 그 해에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황태자가 물시계를 만들어 백성에게 시간을 알게 했고, 天智 10년(671)에는 그 물시계를 위해 새로운 대를 만들어 그 위에 시계를 세웠으며, 시각을 알리기 위해서는 종과 북을 처음으로 쳤다고까지 기록되어 있다.1151) 보다 구체적 내용이라는 점에서도 무시하기 어려운 기록이다. 그런데 당시 일본의 천문학 등의 수준이란 삼국의 학자 지식인들에 의해 완전히 주도되고 있던 때였음이 밝혀져 있다. 일본에서 이런 물시계가 무열왕 7년경에 사용되었다면 한반도에서는 그보다 앞서 비슷한 물시계가 사용되었을 것이 틀림없다고 할 수 있다.

 불행히도 우리 역사에는 삼국시대부터 고려 때까지 구체적으로 어떤 시간측정 장치가 사용되었는지 기록이나 유물이 확실하게 남아 있지 않다. 조선 초 세종 때에 가서야 그런 기록이 분명하게 많아진다. 그러나 삼국시대 이후 고려시대까지 여러 가지 해시계와 물시계들이 사용되었을 것은 확실하다. 예를 들면 무열왕 2년(655) 10월 月城 안에 鼓樓를 세웠다는 기록이 보인다.1152) 고루란 분명히 북을 달고 시각을 알려주는 시설로 만든 것이므로 여기 사용된 시보장치인 북을 울리기 위해서는 그 표준시간을 알려주는 시계가 근처에 있었을 것이 분명하다. 재미있는 사실은 일본에서도 天智 10년(671) 4월 물시계를 새로운 대에 세우고, 처음으로 시각을 알릴 때 종과 북을 쳤다는 기록이 보인다는 점이다.1153) 일본보다 약간 앞서 신라가 비슷한 고루 또는 종각을 세우고 물시계로 시각을 측정하여 북과 종을 쳐 시각을 알렸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로 보인다.

1149)全相運≪韓國科學技術史≫(正音社, 1975), 61∼63쪽.
1150)≪三國史記≫권 8, 新羅本紀 8, 성덕왕 17년 6월·권 9, 新羅本紀 9, 경덕왕 8년 3월·권 38, 志 7, 漏刻典·권 39 志 8, 天文博士.
1151)≪日本書紀≫권 26, 齋明 6년 5월·권 27, 天智 10년 4월.

영어 번역판(Aston·Nihongi·Tuttle, 1972, 265쪽)에는 古制蓮漏圖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 5단계 물시계 상상도가 있다.
1152)≪三國史記≫권 5, 新羅本紀 5, 태종무렬왕 2년 10월.
1153)≪日本書紀≫권 27, 天智 10년 4월.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