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2. 지방·군사제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군사제도

 발해의 군사조직에 대하여는≪신당서≫발해전에 아주 간단히 언급되어 있다. 즉 “그 武員으로는 左右猛賁衛·左右熊衛·左右羆衛·南左右衛·北左右衛가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 기사의 해석을 둘러싸고 발해의 군사제도에 대해서 몇 가지의 다른 견해가 제시되었다. 즉 발해의 군사제도는 좌맹분위·우맹분위·좌웅위·우웅위·좌비위·우비위·남좌위·남우위·북좌위·북우위의 10衛制를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는 설과,273) 남좌우위와 북좌우위를 각각 하나로 보고 8위제였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있다.274) 10위제설이 일반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8위제설의 논거는 고려초에 발해가 멸망하기 직전 고려로 망명해 왔던 발해인 가운데 大審理라는 사람의 관직이 左右衛將軍이었다는275) 데 있다. 즉 남좌우위장군 및 북좌우위장군은 하나의 위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좌우위장군이 좌위장군과 우위장군의 겸임일 개연성도 있고 이러한 사례를 다른 데서 찾아볼 수 없으므로 발해의 군사제도는 10위제였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 한다.

 그리고 발해는 각 위에 대장군 1인과 장군 1인을 두는 군사조직을 갖고 있었다. 대현석시기에 일본에 파견된 발해 사신 李興晟은 우맹분위 소장이었고, 康王시기에 일본에 파견된 大昌泰는 좌웅위 郎將이었다. 이를 보면 우맹분위 장군 아래에 소장이 있었고, 좌웅위에는 낭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발해 멸망 직전에도 이러한 관직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발해의 군사제도는 발해가 멸망할 때까지 줄곧 유지되었으리라 여겨진다.

 군사조직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을 이들 10위(또는 8위)가 같은 중앙군으로서 그 맡은 바 임무가 어떻게 달랐는가 하는 점은 잘 알 수 없다. 단지 맹분위·웅위·비위가 궁성의 宿衛를 담당하는 데 대해서, 남북의 좌우위가 각기 南衛禁兵·北衛禁兵을 관장했으리라고 추측되는 정도이다.276) 이들 중앙군이 어떤 방법으로 병력을 충당했을까 하는 것도 잘 알 수가 없다.

 당의 지방 折衝府의 군직인 果毅都尉가 기록에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하여 발해에도 지방에 절충부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277) 그렇다면 발해도 당과 같은 府兵制를 실시하였다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또 수령의 군사적 지휘권·병역징발권을 기초로 하여 부병제가 실시되었을 것으로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278) 그렇다면 15부의 각 부에는 折衝都尉 1인, 左右果毅都尉 각 1인, 別將 각 1인, 長史 각 1인, 兵曹參軍事 각 1인, 校尉 5인 등을 두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한편 과의도위와 별장은 모두 절충부에 속하는 관직이므로 발해가 당의 부병제와 유사한 제도를 채택하여, 전국 각지에 절충부를 두고 10위(또는 8위) 아래에 예속시켰을 가능성도 크다.279)

 그리고 발해의 사회구성에 있어서 수령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지방의 군사조직은 촌장인 수령을 지휘관으로 하고 촌락민을 兵員으로 하는 병농일치의 군사조직이 촌락을 단위로 조직되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촌장인 수령을 金代의 千夫長인 猛安 혹은 百夫長인 謀克의 선구적인 존재로 보는 견해가280) 이런 점에서 나올 수 있었다고 여겨진다. 반드시 그것이 직접적인 선구가 아니었다 하더라도 서로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을 것임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서 촌락민도 군사적인 목적으로 동원이 되었을 것이다. 특히 수령과 같은 존재는 외국에 파견되는 사절단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다만 그들이 교대로 상경하여 宿衛하는 부병제에 의하여 군사적 의무를 짊어지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발해 관제표281)

1. 3省 6部 (〔 〕는 당의 제도, 숫자는 사람수, 이하 동일)

 1) 政堂省

  〔尙書省〕

 2) 宣詔省   左相 ①──左平章事──侍中──左常侍──諫議

  〔門下省〕 〔侍中〕

 3) 中臺省   右相 ①──右平章事──內史──詔誥舍人

  〔中書省〕 〔令〕

2. 기타관서 (1臺, 7寺, 1院, 1監, 1局)

 1) 中正臺   大中正 ①──少正

  〔御使臺〕 〔御史大夫〕〔御史中丞〕

 2) 殿中寺   大令 ①──少令

  〔殿中省〕 〔監〕  〔少監〕

 3) 宗屬寺   大令 ①──少令

  〔宗正寺〕 〔卿〕  〔少卿〕

 4) 太常寺   卿 ①

  〔太常寺〕 〔卿〕

 5) 司賓寺   卿 ①

  〔鴻臚寺〕 〔卿〕

 6) 大農寺   卿 ①

  〔司農寺〕 〔卿〕

 7) 司藏寺   令 ①──丞

  〔太府寺〕 〔卿〕 〔少卿〕

 8) 司膳寺   令 ①──丞

  〔光祿寺〕 〔卿〕 〔少卿〕

 9) 文籍院   監 ①──少監

  〔秘書省〕 〔監〕 〔少監〕

 10) 冑子監  監 ①──長

  〔國子監〕 〔祭酒〕〔司業〕

 11) 巷伯局  常侍 ①

  〔內侍省〕 〔監〕

3. 군사조직 (10衛)

 1) 左猛賁衛 大將軍 將軍

 2) 右猛賁衛 大將軍 將軍

 3) 左熊衛  大將軍 將軍

 4) 右熊衛  大將軍 將軍

 5) 左羆衛  大將軍 將軍

 6) 右羆衛  大將軍 將軍

 7) 南左衛  大將軍 將軍

 8) 南右衛  大將軍 將軍

 9) 北左衛  大將軍 將軍

 10) 北右衛  大將軍 將軍

4. 지방조직

 府─都督, 州─刺史, 縣─丞

5. 官階 조직

品 階 1 2 3 4 5 6 7 8 9

服 飾

紫 衣

牙 笏

金魚袋
緋 衣

牙 笏

銀魚袋
緋 衣

木 笏

綠 衣

木 笏

273)南左右衛를 南左衛·南右衛로, 北左右衛를 北左衛·北右衛 등으로 나누어서 볼 것이냐, 아니면 남좌우위와 북좌우위를 각각 하나로 볼 것이냐에 따라 견해가 달라지는데 전자의 견해는 金毓黻,<職官考>(≪渤海國志長編≫권 15, 華文書局, 1934) 및 鳥山喜一,<渤海王國の制度と文化>(≪東亞硏究≫3­8, 1913 ;≪渤海史上の諸問題≫), 82쪽 참조.
274)李基白·李基東, 앞의 책, 357∼358쪽.
275)≪高麗史≫권 1, 世家 1, 태조 8년 9월 경자.
276)金毓黻,<職官考>(앞의 책).
277)鳥山喜一, 앞의 글, 83쪽.
278)鈴木靖民,<渤海の首領に關する豫備的考察>(≪朝鮮歷史論集≫上, 龍溪書舍, 1979), 302쪽. 그러나 발해의 부병제 징집방식은 이원적으로 구성된 발해사회로서는 좀처럼 믿어지지 않는다고 하면서, 이들 중앙군은 고구려계든 말갈계든간에 일정한 조건을 갖춘 사람을 뽑아서 조직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李基白·李基東, 앞의 책, 358쪽). 즉 지배층은 고구려유민이었고 피지배층은 말갈인이었던 발해는 당연히 민족적 차별이 있었을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여기서 하나의 군사조직으로 이들을 징집한다는 것은 어려웠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생각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발해의 사회구성은 지배층과 피지배층을 막론하고 대체로 고구려유민 중심의 일원적 사회였다는 논리에서는 이와 같은 군사조직은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韓圭哲,≪渤海의 對外關係史-南北國의 形成과 展開-≫, 신서원, 1994, 35∼92쪽 참조).
279)王承禮 저, 宋基豪 역, 앞의 책, 147∼148쪽.
280)金毓黻,<職官考>首領(앞의 책).
281)王承禮 저, 宋基豪 역, 앞의 책, 153∼154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