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10권 발해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3. 예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 1)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과 말갈족의 동향
        • 2. 발해의 발전
        • 3. 발해국의 주민구성
      • Ⅱ. 발해의 변천
        • 1. 발해의 융성
        • 2. 발해의 쇠퇴와 멸망
        • 3. 발해유민의 부흥운동
          • 1) 발해유민의 의미
          • 3) 후기 부흥운동-흥요국과 대발해국-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1. 신라와의 관계
        • 2. 당과의 관계
        • 3. 일본과의 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군사제도
        • 3. 사회·경제구조
          • 1) 사회구조
          • 2) 경제구조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2. 유학과 한문학
        • 3. 예술
          • 1) 건축
          • 2) 미술
        • 4.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음악과 무용

 발해의 중앙 관청에 禮儀와 祭祀를 관장하던 太常寺가 있다. 이곳에서 음악과 무용을 관장하였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알 길이 없다.482) 다만 정효공주무덤의 서쪽 벽에는 3명의 樂師(樂伎)가 그려져 있어서 발해 악사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발해 음악은 일본 기록에 많이 보인다. 사신으로 갔던 己珍蒙 일행이 740년 정월에 聖武天皇 앞에서 ‘본국의 음악’을 연주한 것이 발해 음악에 관한 최초의 기록이다.483) 사신 일행이 음악을 연주한 것으로 보아서 일행 중에 악사들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 연주를 계기로 발해 음악이 일본에 처음으로 알려졌을 것이다. 발해 음악이 일본 조정에 전해져 최초로 연주된 것은 749년에 東大寺에서 개최된 법회에서 大唐樂·吳樂과 함께 渤海樂이 연주되었을 때이다. 이 무렵에 발해 음악이 정식으로 일본 궁중 음악의 하나에 속하게 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 뒤로 일본 조정에서는 발해 음악을 직접 배워올 필요성을 느끼게 됨에 따라 유학생 內雄을 파견하여 音聲(음악)을 배워오도록 하였는데,484) 이 사람은 763년에 귀국한 高內弓과 같은 인물로 추측된다.485) 이로부터 발해 음악은 일본 궁중음악에 포함되어 발해 사신들을 접대할 때에 수시로 연주되었다. 발해 사신을 위해서 763년에 東國樂을 연주하고, 772년에 ‘세 가지 음악’을 연주하였고, 777년에는 발해 사신들이 ‘본국의 음악’을 연주하였다. 그렇지만 기록에는 제대로 나타나 있지 않지만, 발해 사신들이 파견되었을 때마다 아마 발해 음악이 연주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731년 7월에 雅樂寮의 雜樂生 인원수를 정할 때에 백제·고려·신라 음악은 있으나 발해 음악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809년 3월에도 역시 그러하였던 사실로 보아, 아악료에 있던 高麗樂師와 樂生들이 발해 음악을 연주한 것으로 짐작된다. 일본 平安시대 중기에 외래 음악을 개편할 때에 중국과 인도 계통의 음악을 左方의 樂, 삼국과 발해 음악을 右方의 樂으로 편제하여 앞의 것을 唐樂, 뒤의 것을 高麗樂(狛樂)이라고 불렀는데,486) 여기서의 고려악은 한반도 계통의 음악을 총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861년 3월에 개최된 동대사 법회와 874년 3월에 개최된 貞觀寺 大齋會에서 연주된 고려악이나 863년 5월에 개최된 神泉苑 靈會에서 춘 高麗舞에는 발해 음악과 춤이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928년(延長 6)에 太平樂의 답무로서 渤海樂이 연주되었다고 하는데,487) 이것도 역시 이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지금까지 일본에서 연주되고 있는 雅樂曲에 들어 있는 新靺鞨은 발해에서 전래된 것이라고 한다.488)

 발해가 멸망한 뒤에 발해 음악은 중국의 宋나라와 金나라에도 이어졌다. 송나라에서는 孝宗 12년(1185) 3월에 발해 음악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린 예가 있고, 송나라 陳暘이 지은≪樂書≫胡部에 나오는 靺鞨舞란 것도 발해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또 금나라 때에는 渤海敎坊이 있어서 발해 음악이 제도적으로 계속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발해 악기로는 송나라 때에도 사용된 渤海琴이 있지만 실물은 전해지지 않는다. 정효공주무덤의 서쪽 벽에 그려진 3명의 악사 그림을 보면 각기 보자기에 싼 악기를 들고 있다. 보자기에 들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악기인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지만, 대체적인 외형으로 보아서 앞에서부터 拍板, 箜篌, 琵琶를 들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공후의 경우에는 보자기 밖으로 갈색의 길다란 자루가 나와 있고, 자루 위에는 꽃잎 모양의 매듭이 져 있으며 두 개의 매듭 끈이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발해 음악은 고구려 음악과 말갈 음악을 모두 흡수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음악이 연주될 때에는 춤과 노래도 함께 따르기 때문에 음악과 무용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발해 음악에는 노래 및 악기 연주와 함께 춤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 밖에 발해인들 사이에는 踏鎚라고 하는 춤이 유행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거란의 柳河館 근처에서 발해유민들이 춤을 추는 모습을 묘사한 다음과 같은 기록에 보인다.

발해 풍속에 歲時 때마다 사람들이 모여 노래를 부르며 논다. 먼저 노래와 춤을 잘 하는 사람을 여러 명 앞에 내세우고 그 뒤를 남녀가 따르면서 서로 화답하여 노래부르며 빙빙 돌고 구르고 하는데 이를 踏鎚라 한다(≪契丹國志≫권 24, 王沂公行程錄).

 이는 발해에서 일반인들 사이에 춤추고 노래부르는 일종의 집단 무용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宋基豪>

482)발해 음악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이 참조된다.

宋芳松,<渤海樂 小考>(≪東洋學≫14, 檀國大, 1984).

宋芳松,<渤海樂의 音樂史學的 再照明-日本 六國史를 중심으로->(≪韓國學報≫53, 一志社, 1988).
483)≪續日本紀≫권 13, 聖武天皇 天平 12년 정월 정사.
484)≪續日本紀≫권 32, 光仁天皇 寶龜 4년 6월 병진.
485)≪續日本紀≫권 24, 淳仁天皇 天平寶字 7년 10월 을해.
486)吉川英史,≪日本音樂の歷史≫(創元社, 1965), 66∼67쪽.
487)≪歌儛品目≫권 1, 異域樂名.
488)酒寄雅志,<雅樂“新靺鞨”與渤海國>(≪走向國際化的日本≫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天津人民出版社, 1995).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