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Ⅰ. 중앙의 정치조직1. 중앙의 통치기구2) 중서문하성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1. 중앙의 통치기구
          • 1) 고려 초기의 정치제도
            • (1) 건국 초기의 정치기구
            • (2) 건국 초기 정치기구의 기능과 권력관계
            • (3) 고려 초기 정치기구의 변화
            • (4) 새 정치기구의 성립
          • 2) 중서문하성
            • (1) 3성의 성립
            • (2) 중서문하성의 단일기구화
            • (3) 중서문하성의 구성
            • (4) 중서문하성의 기능
            • (5) 중서문하성의 변화
          • 3) 상서성
            • (1) 상서성의 조직
            • (2) 상서성의 관원 구성
            • (3) 상서성의 기능
          • 4) 중추원
            • (1) 중추원의 설치
            • (2) 중추원의 구성
            • (3) 승선의 기능
            • (4) 추신의 기능
          • 5) 삼사
            • (1) 삼사의 설치
            • (2) 삼사의 기구 조직
            • (3) 삼사의 기능
            • (4) 삼사의 변질
          • 6) 도병마사
            • (1) 도병마사의 설치
            • (2) 도병마사의 구성
            • (3) 도병마사의 기능
            • (4) 도평의사사로의 개편
            • (5) 도평의사사 기구의 확대
            • (6) 도평의사사의 기능 확충
          • 7) 식목도감
            • (1) 식목도감의 설치와 구성
            • (2) 식목도감의 기능
            • (3) 식목도감의 변질
          • 8) 어사대와 낭사
            • (1) 대간의 설치
            • (2) 대간의 조직
            • (3) 대간의 직능
            • (4) 대간의 정치적 지위
          • 9) 한림원과 문한관
            • (1) 한림원의 설치와 조직
            • (2) 한림원의 기능
            • (3) 한림원의 지위
          • 10) 사와 도감
            • (1) 제사의 조직
            • (2) 도감의 구성과 기능
        • 2. 관직과 관계
          • 1) 관직의 구조
            • (1) 관직의 설치와 구분
            • (2) 재추직과 참상직·참외직
            • (3) 서리직과 권무직
            • (4) 실직과 산직
          • 2) 국초의 관계와 문산계
            • (1) 국초의 관계
            • (2) 문산계
          • 3) 무산계와 향직
            • (1) 무산계
            • (2) 향직
        • 3. 중앙 정치체제의 권력구조와 그 성격
          • 1) 중앙 정치체제의 권력구조
            • (1) 국왕과 재추와 상서 6부
            • (2) 국왕과 재추와 대간
            • (3) 문무양반과 대간
          • 2) 중앙 정치체제의 성격
            • (1) 귀족적 성격
            • (2) 고려 제도의 독자성
            • (3) 조직의 미분화성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1.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와 그 구조
          • 1) 지방 통치조직의 정비
            • (1) 국초(태조-경종대)
            • (2) 성종대의 지방제도 정비
            • (3) 현종대의 지방제도 정비
            • (4) 예종대의 지방제도 정비
            • (5) 명종대 이후의 지방제도 운영실태
            • (6) 공민왕대 이후의 지방제도 정비
          • 2) 지방 통치조직의 구조
            • (1) 영속관계
            • (2) 계수관과 영현
            • (3) 주목 중심의 도와 안찰사
            • (4) 일원적 지방 통치조직의 진전
        • 2. 군현제도
          • 1) 경·도호부·목과 군현
          • 2) 특수행정조직-향·부곡·소·장·처·역-
          • 3) 촌락의 구조
          • 4) 향리와 기인 및 사심관
        • 3. 지방의 중간 통치기구
          • 1) 고려 지방 중간기구의 구조
          • 2) 경기
            • (1) 경기의 성립
            • (2) 경기의 통치제도
            • (3) 경기 통치기구의 개편
          • 3) 5 도
            • (1) 5도안찰사제의 성립
            • (2) 5도안찰사의 통치제도
            • (3) 5도안찰사제의 변화
          • 4) 양계
            • (1) 양계병마사제의 성립
            • (2) 양계병마사의 통치제도
            • (3) 양계병마사의 변동
      • Ⅲ. 군사조직
        • 1. 경군
          • 1) 태조대의 경군
            • (1) 태조대 경군의 규모
            • (2) 태조대 경군의 편제
          • 2) 2군 6위제의 성립
            • (1) 6위와 2군의 설치
            • (2) 2군 6위의 임무와 병력편제
          • 3)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관한 제설
            • (1) 부병제설
            • (2) 군반씨족제설
            • (3) 경·외군 혼성제설
        • 2. 주현군과 주진군
          • 1) 주현군과 농민
            • (1) 주현군의 성립
              • 가. 광군
              • 나. 진수군
            • (2) 주현군의 성격
              • 가. 병종과 배치
              • 나. 보승군과 정용군
              • 다. 1 품군과 2·3품군
          • 2) 주진군과 국방체제
            • (1) 양계의 주진과 주진군
            • (2) 주진군의 조직과 지휘계통
            • (3) 주진군의 임무
            • (4) 주진군 소속의 군인
        • 3. 고려 전기 군제의 붕괴-경군을 중심으로-
          • 1) 경군 붕괴의 원인
          • 2) 별무반의 설치와 그 의의
      • Ⅳ. 관리 등용제도
        • 1. 관리 등용의 여러 방식
        • 2. 과거제
          • 1) 과거제의 도입
          • 2) 과거제의 정비와 변천
            • (1) 예비고시와 본고시의 분화
              • 가. 예비고시=국자감시의 설치
              • 나. 본고시=예부시(동당시)의 설행
            • (2) 복시·친시의 설행
            • (3) 과거 3층제의 성립
            • (4) 무과와 승과 및 제과
          • 3) 고시과목과 고시방법
            • (1) 제술과
            • (2) 명경과
            • (3) 잡과
              • 가. 명법업
              • 나. 명산업
              • 다. 명서업
              • 라. 의업
              • 마. 주금업과 복업
              • 바. 지리업
              • 사. 하론업
              • 아. 3례업·3전업·정요업
          • 4) 응시자격
          • 5) 급제등급과 급제자수
          • 6) 급제자의 초직과 승진
            • (1) 제술과
            • (2) 명경과
            • (3) 잡과
          • 7) 고시관
          • 8) 과거제의 역사적 의의
        • 3. 음서제
          • 1) 음서제도의 성립
          • 2) 음서의 종류와 유형별 분석
          • 3) 음서의 시행시기
          • 4) 음서제도의 운영
            • (1) 음서의 연령
            • (2) 초음관직
            • (3) 탁음자의 관품
            • (4) 음서의 시행 원리와 수혜 인원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중서문하성

(1) 3성의 성립

 고려는 당나라제도를 채용하여 3省·6部의 제도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3성·6부제는 처음부터 실시한 것이 아니라 고려 왕조의 기반이 확립된 成宗 때에 이르러 비로소 성립되었다. 그 때까지는 국초부터 채택한 廣評省體制의 임시적 제도를 실시하고 있었다.

 ≪高麗史≫세가에는 太祖 2년(919) 정월에 송악 남쪽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지으며 3省·6尙書官·9寺를 설치하였다고 하였다.0027) 여기의 3성·6상서·9시의 제도는 바로 당제를 말하는 것으로 이미 태조 초에 3성·6부제가 실시되었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이런 사실이 옳지 못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어떤 사람은 이 때의 3성은 앞에서 살핀 국초의 廣評省·內奉省·內議省을 지칭한다 하여 이 기사에 틀림이 없다는 의견도 있는 모양이지만, 그것은 온당치 못한 해석으로 생각된다. 첫째 내의성은 태조 초에는 없었고 10년대에 이르러서야 설치되었기 때문에 사실과 다르며, 무엇보다도 3성 외에 6상서관·9시는 바로 당제였기 때문에 3성도 역시 中書省·門下省·尙書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태조 2년에 3성·6부·9시의 제도가 마련되었다는 기록은 잘못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0028) 이 때의 관직명에 있어서도 중서성·문하성·상서성이나 6부의 명칭은 보이지 않고 廣評省·內奉省·徇軍部·兵部 등의 고려 초기 관직명만이 기록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해 준다.

 그러면 정식으로 당제에 따른 3성제가 실시된 것은 언제일까. 성종 이전부터 이미 「內史」라는 관직명이 나타난다. 내사란 3성의 하나인 중서성의 전신인 內史省으로 볼 수 있다. 光宗 16년(965)에 왕자 伷를 왕태자로 세우고 內史·諸軍事·內議令·正胤으로 삼은 것과 景宗 원년(976)에 荀質과 申質을 左右執政·兼內史令으로 삼았다는 것이 그 예이다.0029) 그렇다고 이 내사, 내사령의 명칭으로 정식 당제의 3성이 성립되었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그것은 성종 때 명확하게 3성이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高麗史節要≫에는 성종 원년(982)에 백관의 호를 개정하여 내의성을 內史門下, 광평성을 御事都省으로 바꾸었다 한다.0030) 그리고≪高麗史≫백관지도 역시 똑같은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0031) 과연 내사문하성의 전신이 내의성이고 어사도성의 전신이 광평성이었느냐에 대하여는 문제가 있지만, 이 때 당제에 따른 3성인 내사문하성·어사도성이 설치된 것만은 사실이다. 어사도성이란 御事 6官이 딸려 있는 곳으로 성종 14년(995)에 정식 尙書都省 및 尙書 6部로 이름이 바뀌었다. 문종 15년(1061) 내사문하성이 中書門下省으로 개정되었지만 역시 3성제는 성종 원년에 성립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高麗史≫세가와≪高麗史節要≫에는 성종 2년 5월에 처음으로 3省·6曹·7寺가 제정되었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3성·6부제의 완성과 모든 관원의 충당을 뜻한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0027)≪高麗史≫권 1, 世家 1, 태조 2년 정월.
0028)≪高麗史≫태조 2년의 기사 중 「置三省·六尙書官·九寺」가 잘못 삽입되었음은 다음 기록으로 증명된다.

즉, 태조 2년 기사는 “定都于松嶽之陽 創宮闕 置三省·六尙書官·九寺 立市廛辨坊里 分五部 置六衛”인데 비하여,≪高麗史≫권 56, 志 10, 地理 1, 王京 開城府조에는 “太祖二年 定都于松嶽之陽 爲開州 創宮闕 立市廛 辨坊里 分五部”라 하여 바로 3성·6상서관·9시만 빠져 있으며,≪高麗史節要≫권 1, 태조 2년 정월에도 역시 “定都于松嶽之陽 陞其郡 爲開州 立市廛 辨坊里 分五部 置六衛”라 하여 3성·6부의 설치를 기록하지 않고 있다. 아마 태조 세가의 기사는 태조 2년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세웠다는 데서 후대의 관부인 3성·6부·9시의 건물도 지었다고 잘못 이해한 데서 나온 오류로 보인다.
0029)≪高麗史≫권 1, 世家 1, 광종 16년 2월.

≪高麗史≫권 1, 世家 1, 경종 원년 11월.
0030)≪高麗史節要≫권 2, 성종 원년 3월.
0031)≪高麗史≫권 76, 志 30, 百官 1, 門下府·尙書省.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