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1. 인구동향
          • 1) 편호방식
          • 2) 인구동향과 인구추계
          • 3) 인구이동과 그 영향
        • 2. 신분의 구분
          • 1) 신분제의 개편
          • 2) 4분설
          • 3) 양분설
        • 3. 양반
          • 1) 양반의 개념
          • 2) 양반의 성립과정
          • 3) 양반의 특권
            • (1) 문음의 특전
            • (2) 과거의 특전
            • (3) 관직의 특권
            • (4) 군역의 특전
              • 가. 수전패와 무수전패
              • 나. 양반 직업군
              • 다. 귀족 숙위군
            • (5) 토지소유의 특전
              • 가. 양반의 수조지
              • 나. 양반 사유지에의 특전
          • 4) 양반의 신분적 지위
        • 4. 중인
          • 1) 중인의 개념
          • 2) 중인의 성립과정
          • 3) 기술관
          • 4) 서얼
          • 5) 중앙서리
          • 6) 향리
          • 7) 토관
          • 8) 군교
        • 5. 양인
          • 1) 양인의 개념
            • (1) 양인의 범주
            • (2) 양인의 용례와 범위
            • (3) 양인 규범의 확립과정
              • 가. 고대·고려시대
              • 나. 여말 선초
          • 2) 양인의 신분적 특성
            • (1) 천인에 대한 양인의 상대적 신분 특성
              • 가. 권리상의 특성
              • 나. 의무상의 특성
            • (2) 양인 내부의 권리·의무상의 차등관계
          • 3) 양인의 존재양태
            • (1) 농민
              • 가. 양인 농민의 호칭
              • 나. 의무
              • 다. 사환권
            • (2) 신량역천과 칭간칭척자
              • 가. 칭간칭척자와 그 권리·의무
              • 나. 신량역천 규범과 칭간칭척자
            • (3) 공상인 및 기타 특수 부류
              • 가. 공상인
              • 나. 기타의 특수 부류
        • 6. 천인
          • 1) 천인의 구성
          • 2) 노비의 존재양태
            • (1) 공노비의 존재양태
            • (2) 사노비의 존재양태
          • 3) 노비의 입역과 신공
            • (1) 공노비의 입역과 신공
            • (2) 사노비의 입역과 신공
          • 4) 노비의 신분적 성격
          • 5) 백정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1. 가족제도
          • 1) 혼인제도와 가족유형
            • (1) 조선 초기의 혼인제도
              • 가. 동성혼
              • 나. 일부다처제도
              • 다. 혼인 거주규칙
              • 라. 부녀자의 재혼
            • (2) 조선 초기의 가족유형
          • 2) 상속제와 양자제도
            • (1) 조선 초기의 상속제
              • 가. 조상전래의 재산에 대한 의식
              • 나.≪분재기≫에 나타난 자녀의 호칭
              • 다. 노비의 상속
              • 라. 토지의 상속
              • 마. 제사의 상속
            • (2) 조선 초기의 양자제도
          • 3) 장례와 제사
            • (1) 법제로서의 상·제
            • (2) 조선 초기 상·제의 실제
            • (3) 5복제의 변화
          • 4) 족보
          • 5) 종법제도와 친족
            • (1) 조선 초기의 종법제도
            • (2) 조선 초기 친족구성
        • 2.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조선 초기 복식문화의 역사적 배경
            • (2) 조선 초기 복식구조
              • 가. 왕실 복식
              • 나. 백관 복식
              • 다. 일반 복식
          • 2) 식생활
            • (1) 조선 초기 주요식품
              • 가. 곡류와 채소·과일
              • 나. 어패류와 육류 및 기타 식품
            • (2) 일상식의 관행
            • (3) 조선 초기의 주요음식
              • 가. 국수와 만두·떡·한과
              • 나. 찬물요리
              • 다. 발효식품
            • (4) 구황식품
          • 3) 주생활
            • (1) 취락의 입지조건
            • (2) 조선 초기 살림집의 모습
            • (3) 살림집의 구조와 생활
              • 가. 산골짜기집의 구조와 생활
              • 나. 농촌의 집 구조와 생활
              • 다. 도시의 집 구조와 생활
            • (4) 살림집의 개선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1. 가족제도
          • 1) 진휼정책
            • (1) 재해상황
            • (2) 일반대책
              • 가. 진대
              • 나. 진휼
              • 다. 시식
              • 라. 구료
              • 마. 상장
            • (3) 특별대책
          • 2) 진휼기구
            • (1) 구황청
            • (2) 상평창
            • (3) 의창
            • (4) 사창
            • (5) 혜민서
            • (6) 활인서
            • (7) 진제장
        • 2. 의료제도
          • 1) 의료시책
            • (1) 의학교육의 강화
            • (2) 의녀제도의 창설
            • (3) 향약의 개발과 보급
            • (4) 의서의 편찬
            • (5) 전문의의 양성
          • 2) 의료기구
            • (1) 3의사
              • 가. 내의원
              • 나. 전의감
              • 다. 혜민서
            • (2) 제생원
            • (3) 활인서
            • (4) 지방의 의료기구
              • 가. 의료기구의 설치와 운영
              • 나. 민간의료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의료제도

 조선 초기의 의료제도는 개국 당시에는 고려의 것을 그대로 답습하였으나, 태종에서 성종 때까지 개편과 정비를 거듭하여 고려시대보다 훨씬 확충된 제도를 갖추게 되었다. 즉 三醫司는 물론 濟生院과 東西活人院(活人署)의 기능을 정비·강화하였고, 의정부·육조·종친부·충훈부·도총부 등 각사에 도 의원을 배치하였으며, 경성 5부와 성균관에도 月令醫를 파견하였다. 또 한 전옥서에는 獄醫를, 삼군에는 軍醫를, 그리고 수군영에는 海道醫員을 배정하였고, 각 계수관마다 醫院을 설치하여 지방민의 치료를 담당하게 하였는데, 지방민에 대한 구료는 각 도에 파견된 審藥·醫學敎援와 지방의 의생이 모두 함께 담당하였다.623)

 한편 의약활인법을 제정하여 의원을 발탁하였고, 우수한 의원을 보다 많이 양성하기 위해 의원과 의생의 교육을 강화하였으며, 세종 때에는 醫書習讀官制를 신설하여 양반 자제에게도 의학을 공부하도록 권장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도 外科醫·鍼灸醫·獸醫 등 전문의가 존재하였지만, 조선시대에는 세종대부터 침구의 등 전문의를 양성하였다. 따라서 조선 초기에 침구의·瘰癧醫·治朣醫(외과의) 등이 전문의로서 각 醫司에 배치되어 활동함으로써 의술의 전문화에 큰 진전이 있었다. 선초에 편찬된 여러 우수한 의학서적도 이러한 의학의 학문적·기술적·발전을 토대로 한 것이다. 특히≪鄕藥集成方≫과≪醫方類聚≫는 조선 초기 의학의 결정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고려시대부터 개발과 보급을 위해 노력해 온 향약은 조선 초기, 특히 세종대에 이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즉 전국의 향약 재배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채취 시기와 방법 및 乾正法 등을 하달하였으며, 중국에 의원을 파견하여 약성을 감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학문적으로 향약을 연구·개발하기 위해≪鄕藥濟生集成方≫·≪鄕藥採取月令≫·≪鄕藥集成方≫등 우수한 의서를 편찬하였다.

 태종대에는 한국 의학사상 최초로 의녀제도를 창설하여 부녀자의 질병을 돌보게 하였다. 의녀제도의 실시는 부녀자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었다는 것 이외에 비록 官婢 출신이기는 하였지만, 여성의 사회참여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었으며, 이후 産婆라는 새로운 여성 직업인이 탄생하여 사회에 기여한 것 또한 매우 흥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여성의 사회참 여는 생각도 할 수 없었던 당시에 이들의 활동이 지니고 있는 의미는 매우 큰 것이었다. 이와 같이 조선 초기의 의학은 학문적으로나 기술적으로 크게 발달하여 한국 의학의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의료제도 또한 전보다 더욱 발전하여 국민에 대한 의료혜택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조선시대 의료제도의 기반을 조성하였던 것이다.

623) 三醫司는 처음에는 典醫監·惠民局·濟生院을 지칭하는 것이었으나, 세조 때 제생원이 혜민국에 합속된 뒤로는 內醫院·典醫監·惠民署를 지칭하는 것이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