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1) 조선 후기 성리학의 양상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1) 인물성론의 발단과 쟁점
            • (2) 인물성상이론(호론)의 전개
            • (3) 인물성구동론(낙론)의 전개
          • 3) 경학의 심화
            • (1) 영남학파의 경학
            • (2) 기호학파의 경학
            • (3) 탈주자학적 경학의 성장과 고증학의 정착
          • 4) 의리론의 전개
            • (1) 척화론의 저항의리
            • (2) 화이론의 의리론적 전개
            • (3) 의리론의 역사의식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1) 임성주의 유기론
            • (2) 화서학파의 심주리주기론의 대립
            • (3) 한주학파의 심즉리설과 노사학파의 유리론
            • (4) 간재학파의 심주기론과 한말 주리론의 논쟁
          • 6) 성리학의 사회적 기능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1) 중국양명학과 조선양명학
            • (2) 조선양명학의 성립
            • (3) 조선양명학의 전개
          • 2) 강화학파의 활동
          • 3) 양명학과 소론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1) 천주신앙의 동류
            • (2) 천주교서와 조선인의 만남
            • (3) 북경에 간 북학론자의「천주학」관
            • (4) 국내 실학지식인들의 천주학연구
            • (5)「보유론적 천주신앙」의 깨우침
            • (6) 이벽·정약용의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1)「신앙공동체」의 형성과 그 특성
            • (2) 초기교회의 발전과 시련
            • (3) 중인층의 천주신앙 수용과 활동
            • (4) 진산사건과 조상제사문제의 의의
            • (5) 서민·부녀자층의 천주신앙
            • (6) 성직자 영입과 교회활동의 조직화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1) 천주교박해의 역사적 배경
            • (2) 박해 받는 조선천주교회
            • (3) 박해정책과 교회의 성장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1) 천주신앙 수용의 사회성
            • (2) 조선교회의 역사적 기능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1) 삼학수행의 일반화
            • (2) 이력과정의 확립
          • 2) 강경의 성행
          • 3) 승려문집의 성행
          • 4) 삼종선 논쟁
          • 5) 국가적 활동
            • (1) 승정의 추이
            • (2) 승역의 추세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1) 국가도교의 쇠퇴
            • (2) 새로운 도교신앙의 형성
            • (3) 도교의 민간신앙화
            • (4) 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1) 군·현제의
            • (2) 마을신앙·개인신앙
            • (3) 무속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1) 고전의 정리
          • 2) 인쇄문화의 발달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가. 설치
              • 나. 조직
            • (2) 학술활동
              • 가. 교육활동
              • 나. 서적의 수집과 편찬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가. 실학사상의 존재
              • 나. 실학사상의 특성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가. 내재적 배경
              • 나. 외래적 요인
            • (3) 실학의 연구방법과 분야
          • 2) 실학사상의 전개
            • (1) 실학적 왕도정치론
            • (2) 정치개혁론
              • 가. 권력구조 개편론
              • 나. 관료제도 개혁론
              • 다. 과거제도 개혁론
              • 라. 군사제도 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가. 대외인식의 변화
              • 나. 역사관의 발전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가. 토지개혁론
              • 나. 상공업진흥론
              • 다. 사회개혁론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가. 실학연구의 전개
              • 나. 실학개념의 모색
            • (2) 학파의 유형화 작업에 대한 검토
            • (3) 역사적 의미와 연구의 전망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1) 학문적 배경과 정음연구
            • (2) 사역원의 외국어연구
            • (3) 실증적 학풍의 국어연구
          • 2) 언어학
            • (1) 조선 후기의 한글문헌
            • (2) 근대국어의 표기법
            • (3) 근대국어의 변화
              • 가. 자음체계
              • 나. 모음체계
              • 다. 성조체계
              • 라. 문법체계
              • 마. 어휘체계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가. 국토의 재발견
              • 나. 새로운 학풍의 성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가. 공간관의 변화
              • 나.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가. 지역연구
              • 나. 계통지리학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가. 자연지리학의 발달
              • 나. 환경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1) 정통론의 발달
            • (2) 중세적 화이관의 변화
            • (3) 국사의 체계화와 개별 왕조에 대한 인식
            • (4) 역사지리학의 연구
            • (5) 사회경제사의 연구
            • (6) 역사학 방법과 역사이론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1) 유서편찬의 시작
            • (2) 개혁사상적 백과전서
            • (3) 관찬 백과전서
            • (4) 박물학적 백과전서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1) 과학기술의 제도와 기관
            • (2) 과거와 자격시험
            • (3) 중인의 과학과 천민의 기술
            • (4) 과학기술의 특징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1) 새로운 우주관과 서양식 천문도
            • (2) 천문·기상기구의 제작
            • (3) 역법과 시법-시헌력 도입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1) 연행사들의 서양과학 접촉
            • (2) 이익의 서양과학 이해
            • (3) 홍대용의 과학사상
            • (4) 박제가의 서양기술 도입론
            • (5) 정약용의 과학기술론
            • (6) 이규경의 과학기술론
            • (7) 최한기의 종합적 과학기술 수용
            • (8) 대원군의 군사기술 맛보기
            • (9) 실학의 서양과학 수용의 한계성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가. 평시조
              • 나. 사설시조
            • (2) 가사
              • 가. 유배·기행가사
              • 나. 규방가사
              • 다. 평민가사
              • 라. 잡가
            • (3) 한시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가. 전계 한문소설
              • 나. 야담계 한문소설
              • 다. 한문 장편소설
            • (2) 국문소설
              • 가. 영웅소설과 역사군담소설
              • 나. 환몽소설과 애정소설
              • 다. 장편 가문소설과 가정소설
              • 라.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 3) 기록문학
          • 4) 문학사상과 비평
        • 2. 미술
          • 1) 회화
            • (1) 회화활동의 확대와 창작태도의 변모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가. 남종화법의 파급
              • 나. 서양화법의 도입
            • (3) 진경산수화의 확립과 발흥
            • (4) 풍속화의 확대와 발전
            • (5) 기복호사 풍조와 민화류의 범람
          • 2) 서예
            • (1) 고법의 다양한 전개
            • (2) 금석학과 전예의 진흥
            • (3) 추사체의 출현과 유행
            • (4) 개화기의 서예
            • (5) 한글서체의 극성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가. 효종∼숙종기(1636년경∼1725년경)
              • 나. 영조·정조기(1725년경∼1800년경)
            • (2) 말기의 조각(순조∼고종기=1800년경∼1910년경)
          • 4) 공예
            • (1) 도자공예
              • 가. 숙종·영조시기(18세기 전반)
              • 나. 영조·정조시기(18세기 후반)
              • 다. 순조·헌종시기(19세기 전반)
            • (2) 목칠공예
              • 가. 조선 후기의 목공예
              • 나. 칠기
          • 5) 건축
            • (1) 일반건축
            • (2) 도성과 궁궐
            • (3) 읍성과 관아·객사
            • (4) 유교건축
            • (5) 사찰건축
            • (6) 주택건축
            • (7) 양식건축의 도입과 양식건물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1) 양란 이후의 장악원
            • (2) 아악의 명맥과 종묘제례악
            • (3) 향악·당악 및 궁중정재의 새 경향
            • (4) 고취악의 변천 및 세악·내취의 등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가. 가곡의 성장과정
              • 나. 가사와 시조의 등장
              • 다. 판소리의 역사적 발전
              • 라. 범패 및 기타 성악의 갈래
            • (2) 기악의 발전
              • 가. 합주곡의 등장
              • 나. 독주곡의 등장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1) 악조의 역사적 변천
            • (2) 음악양식의 새 경향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가. 악보의 편찬과 종류
              • 나. 기보법의 역사적 변천
              • 다. 생황자보와 연음표의 등장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가. 정재무
              • 나. 일무
            • (2) 산대잡희의 폐지
            • (3) 민속무
              • 가. 풍물굿
              • 나. 탈춤
              • 다. 강강술래
              • 라. 승무
              • 마. 작법·범패
          • 2) 체육
            • (1) 편사
              • 가. 사정의 유래
              • 나. 사정의 조직 및 규칙
            • (2) 각저
            • (3) 수박
            • (4) 장치기
            • (5) 유상·등고 기타
          • 3) 연극
            • (1) 산대나희
              • 가. 규식지희와 음악
              • 나. 소학지희
            • (2) 조선시대의 재인과 광대
            • (3) 판소리
            • (4) 민속극
              • 가. 서낭제 탈놀이
              • 나. 산대도감계통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6) 성직자 영입과 교회활동의 조직화

 천주교 신앙생활은 복음의 믿음과 천주에 대한 제사인「미사」를 중심으로 실천되는 것이다. 미사의 집전자는 그리스도가 친히 후계자로 권능을 보장한 사도 이래의 사제들, 즉 성직자는 천주교회에 있어서 필수의 제도적 존재이며 영적 구령의 인도자로 불가결의 제도적 요소인 것이다. 자학자습에 의해 보유론적으로 천주신앙을 깨우쳐 교회를 창설하고 이끌고 나오던 초기교회의 지도자들은 성직제도에 대한 교리적 이해가 부족했었다.

 그러나 몇 차례 시련을 겪으면서, 한역교리서를 더 가까이하는 가운데「성직제」에 관한 이해를 얻고, 정조 13년(1789) 마침내 그들 스스로 이른바「假聖職組織」을 편제하게 되었다. 지도적 교인 스스로 주교와 신부가 되는 성직단을 조직하고 聖務를 담당하게 된 것이다. 이 성직조직은 명백한 교회법위반의 불법조직이었다.182) 그러나 1년 후 이 제도에 대해 柳恒儉이 의혹을 제기하자 교회는 북경주교에 밀사 尹有一을 파견하여 가성직조직에 대한 교회의 유권적 해석을 구하였다. 북경주교의 조직해산과 성무금지 지시에 따라 이 조직은 정조 14년에 해산했다. 이후 조선교회는 다시금 윤유일을 북경에 파견하여 조선교인들을 위해 적법한 성직자의 파송을 간청하게 되었다. 북경주교의 배려에 의하여 정조 19년 초에야 조선천주교회를 위한 최초의 사목담당자가 되는 周文謨신부를 맞이해 들일 수 있었다.183)

 중국인 주문모신부의 입국과 조선교회의 사목주관으로, 종래 신자만의 교회가 이제 성직자와 신자로 된「성직교회」로의 새로운 출발을 뜻하는 일이기에, 어느모로는 한국천주교회「제3의 출발」이라 할 수 있다.184)

 주문모신부가 역관출신의 교인 최인길의 집에 은신하면서 활동한다는 비밀은 곧 박해자에 알려져 그를 체포하려는 소동인 乙卯失捕事件이 일어났다.185) 교인들의 긴밀한 대책으로 주문모신부는 양반여성교인인 姜完淑 집에 은신할 수 있었다. 그는 강완숙 집의 은신처를 근거로 순조 원년(1801)의 신유박해로 체포되어 순교하기까지 6년간 조선교회를 영도하며 성무를 담당할 수 있었다. 이 사건으로 윤유일·池璜·최인길 등은 순교하였다.186)

 주문모신부는 은신중에도 교회활동의 조직화를 꾀하였다. 그는 교회조직을 이원체제화하여, 신도를 영도하며 교회활동을 돕는 신자조직으로 총회장·회장제도를 실시하여 중인출신 최창현을 총회장으로, 몇몇 지도적 교인을 회장으로 임명하는 한편, 여성회장으로 강완숙을 선임하여 유교적 폐쇄사회의 여성교인들의 신앙생활을 관장케 했다. 한편 전도와 신자의 교리학습과 신앙집회의 비밀조직으로「明道會」를 조직하였다. 명도회장에 정약종을 임명하고 그 하부조직으로 신임할 수 있는 교인을 중심으로 교인 5·6세대로 이루어지는 세포적 점조직인 六會를 이루게 하여 교인들의 신심활동을 관리하게 되었다. 박해정책 아래서 비밀을 철저히 유지하며 교인의 신심생활을 실제와 포교활동을 위한 세포조직으로 편성한 것이다. 명도회의 하부조직인 육회의 비밀집회 장소로는 의약계 중인들의 약방이 주로 이용되었다.187)

 주문모신부는<告解要理>·<告解聖餐>·<聖禮問答>등을 저술하여 신심생활을 돕는 가운데 지도적 교인들에게 간추린 한글교리서의 제작을 권장했다.188) 정약종의≪主敎要旨≫가 그 대표적 사례이다.189)

 이렇게 조선교회가 비밀조직을 가다듬고 전교에 힘쓴 결과 그의 입국 당시 교인이 4천여 명이던 교세가 1만명 가까운 숫자로 늘어났다. 정조 13년에 黃沁을 북경주교에게 파견하여 조선교회의 탄생경위와 그 후의 기적적 발전을 공식적으로 보고하였다. 북경교구장 구베아주교가 그 사실을 로마교황청에 보고하게 됨으로써 한국천주교회 탄생과 발전의 사실이 유럽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190)

182)정조 10년(1786) 봄에 告解聖事의 제도를 시작하였고(Dallet, 앞의 책, 324∼325쪽), 그 해 가을에 10명의 신부를 지명하여 미사聖祭를 거행했다 한다(정조 13년 李承薰이 北京主敎에 올린 서한). 이런 행위는 교회법 1,380조를 어기는 瀆聖行爲였다. 그러기에 뒷날 周文謨신부는「乙巳後妄稱神父行諸聖事」(≪李基讓推案≫신유 3월 15일 周文謨供草) 또한 黃嗣永은「妄行聖事」로 이 일을 규정하고 있다(黃嗣永帛書 48행).
183)假聖職組織의 시말과 聖職者迎入運動은 李承薰과 그 밖의 몇몇 신도들에 의하여 주도된 것이었다(崔奭祐,<韓國敎會의 創設과 初創期 李承薰의 敎會活動>,≪韓國敎會史의 探究≫ Ⅱ,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61∼68쪽 참조).
184)천주교회는 그리스도신앙을 만든 하느님 백성의 신앙공동체로 그 인적 구성요건은 신자(평신도)와 더불어 그들 신자들의 靈身의 현세적 관리자로 성직자가 필수적인 것이다.
185)이 사건의 경위는 Dallet, 앞의 책, 378∼380쪽에 자세하나, 丁若鏞의 自撰墓誌銘(≪與猶堂全書≫1-16권, 詩文集 수록),≪闢衛編≫,≪邪學懲義≫, 王朝實錄, 黃嗣永의<帛書>등을 통해서도 그 전모를 파악할 수 있다.
186)李晩采,≪闢衛編≫권 3, 捕廳三賊徑斃事.

Dallet, 앞의 책, 381쪽.
187)黃嗣永은 明道會에 관해 법정에서 다음과 같이 공술하고 있다.「洋敎有明道會 或三四人或五六人爲一會 先以名報于神父 後爲神工 神工卽察洋學以敎人也 一年之內 神工之勤者 許入於會中 其不勤者拔之」(≪邪學罪人黃嗣永等推案≫). 한편 六會는 洪文甲·洪翼萬·金勵行·玄啓欽과 黃嗣永 자신의 집 등에 있었다고 공술하고 있다.
188)崔奭祐,<邪學懲義를 통해서 본 初期天主敎會>(≪敎會史硏究≫2, 韓國敎會史硏究所, 1979), 41쪽.
189)金 澈,<丁若鐘의 주교요지>(가톨릭大 碩士學位論文, 1974).
190)Gouvea(湯士選)주교는 1790년 10월 6일자로 布敎聖省長官 Antonelli樞機卿에게 두 통의 보고서를 올려 朝鮮敎會의 탄생을 통보하였다. 한편 1797년 8월 15일자로 中國四川省敎區管區長 Calendro주교 de Saint-Martin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내어 조선왕국에서의 특이한 천주신앙수용, 교회창설과 박해와 수난에 대해 알렸다. 이 편지가 葡萄牙語(1808)로 佛蘭西語(1820)로 번역되어 유럽에 살포되었다(山口正之,≪朝鮮西敎史≫, 209∼231쪽에 전문이 日語로 번역되어 수록). 한편 崔奭祐 역본이 Dallet의≪한국교회사≫에도 부분적으로 초역 수록되어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