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1. 근대 학문의 수용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가. 국가자강주의
              • 나. 국민자강주의
              • 다. 민족자강주의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가. 사인 중심의 사학발전
              • 나. 학회중심의 사학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가. 민립대학의 설치운동
              • 나. 식민지 통제를 위한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가. 이화학당의 연합기독교여자대학안
              • 나. 연희전문학교 중심의 종합대학안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가. 통감부의 교과서 편찬 방향
              • 나. 교과서사용규정의 제정
              • 다. 교과용도서검정의 실시
              • 라. 교과서검정의 성격과 교과서검정의 실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가. ‘신소설’이란 명칭과 그 개념
              • 나. 신소설의 정신적 바탕과 소설 미학
              • 다. 신소설의 중요 작가와 작품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가. 제1기
              • 나. 제2기
              • 다. 제3기
              • 라. 제4기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가. 제1기:근대체육의 태동기(1876∼1884)
              • 나. 제2기:근대체육의 수용기(1885∼1904)
              • 다. 제3기:근대체육의 정립기(1905∼1910)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가. 육상경기
              • 나. 축구
              • 다. 야구
              • 라. 농구
              • 마. 테니스
              • 바. 수영
              • 사. 빙상
              • 아. 사이클
              • 자. 골프
            • (3) 체육단체 결성
              • 가. 대한체육구락부
              • 나. 황성기독청년회 운동부
              • 다. 대한국민체육회
              • 라. 대동체육구락부
              • 마. 대한흥학회 운동부
              • 바. 소년광창체육회
              • 사. 체조연구회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4) 사회과학의 수용

 개항 이후 사회과학의 수용에 대한 연구들은 개별과학 분야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국의 근대정치학은 그 시작에서부터 대상 없는 정치학이었다. 왜냐하면 근대정치학은 일본을 경유하여 그리고 도일유학생을 매개로 하여 주체적 연구대상이 없이 이루어졌다. 유길준의≪정치학≫은 전문적인 정치학 교과서로 기획된 것으로 국가론, 정치사상사 등 다방면에서 정치이론적으로 체계화한 한국 최초의 정치학 저술로 평가될 수 있다.342) 근대정치학은 주로 일본을 통해서 수용되었는데 유길준·안국선 등의 정치학은 초기에는 다원주의적 학문의 경향을 볼 수 있으며 1900년 초에 정치학을 전공한 김상연의4≪국가학≫(1906)의 경우는 블룬칠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이후에 수용된 정치학은 국가학이 주류가 된다.343)

 다음으로 우리 나라에 사회학이 소개된 것은 20세기 초였다. ‘사회’라는 단어는 19세기 말에야 우리 나라에 처음 소개된 번역어이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인 文史哲과 달리 사회학은 20세기 들어와서야 우리에게 소개된 대표적인 서양학문이라 할 수 있다. 사회학도 중국과 일본이라는 두 통로를 거쳐 들어왔다. 일본에서 공부한 이인직은 1906년에 월간잡지인≪소년한반도≫에 1호부터 5회에 걸쳐서 사회나 사회학의 제목으로 사회 및 사회학의 정의, 사회의 종류, 사회이론의 중요성, 스펜서의 진화론 등을 소개하였다. 일본에서 Sociology를 사회학으로 번역했으므로 이인직도 사회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또한 당시 일본에서는 사회학이 세태학으로도 불렸다고 한다.344)

 한편 사회학이 중국을 통해 ‘群學’의 이름으로 우리 나라에 처음 소개된 것도 1905∼1906년 무렵인 것으로 보인다. ‘군학’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활자화된 것은 1909년에 나온 장지연의≪萬國事物紀原歷史≫였다. 장지연은 이 책에서 ‘군학’이라는 새 학문의 역사와 꽁트, 스펜서의 사상을 소개하였다.345) 처음에 이렇게 두 낱말로 우리에게 알려졌던 새 학문은 얼마 가지 않아 ‘사회학’이라는 낱말로 쓰여지게 되었다.346)

 경제학의 경우, 서구의 체계적인 경제학이 수용되기 이전에 ‘경제학(economics)’이라는 용어가 활자화되어 지식사회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884년≪한성순보≫를 통해서였다. 이기준은 서구 경제학 도입사를 초창기(1881∼1893), 중기(1894∼1903), 말기(1904∼1909)로 나누어 다루고 있다. 초창기에는 유길준·권동진·이종일 등이 일본에 유학하여 경제학에 대해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단계이며 중기는 이 기간에 많은 도일유학생이 경제학을 연구하여 몇 권의 저서와 역서를 출간하고 경제학교육에 종사할 뿐만 아니라 귀국 후에도 계속 경제학에 관한 글을 발표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말기는 상당수의 도일유학생이 경제학을 연구하여 일본의 기관지에 경제학관계의 전문논문을 발표하고 또한 귀국하여 경제학 교육에 종사한 기간이다.347)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근대적 의미의 법학 즉 서양법학의 수용은 일본과 중국을 매개로 이루어진다. 즉 한국이 서양법사상을 받아들이는 방법은 일본의 蘭學으로 시작된 명치법 문화와 청말 이른바 양무론의 서적들을 통한 간접 수용으로 시작되었다.348) 1895년 최초의 법학교육기관인 ‘법관양성소’가 설립되고 법관양성소의 교과목은 법학통론·민법·민사소송법·형법·형사소송법 및 기타 현행법률 등이었으며 그 후에 헌법·행정법·국제법·상법 등이 추가되었다.

 한국에서 최초로 영미법학서가 소개된 것은 중국에서 번역된≪만국공법≫이며349)≪만국공법요략≫(1909),≪國際公法志≫(1909) 등의 국제법에 관한 책자도 발간되었다. 한국 지식인들이≪만국공법≫중에서 흥미를 가졌던 것은 均勢외에도 ‘자주’의 문제가 있었는데 원래 ‘주권’이니 ‘자치’니 ‘자주’라는 말은≪만국공법≫에서 처음 사용된 것이었다.350)

 한국에서 서양법사상 수용의 특징으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중국의 양무론과 일본의 난학에서 출발한 명치법 문화에서 간접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이는 서구인문사회과학 수용의 일반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법적인 측면에서 한국이 서양국가와 접촉하는 정치적, 외교적 강도와 순서에 따라 미국의 영향이 제일 빠르고 컸지만 나중에는 일본 법학서를 통해 독일 법사상이 강하게 정착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는 서양인문사회과학 수용에서 일본의 역할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아 한말의 서양법 수용은 대체로 소극적 보수적인 면을 가지고 있었으며 따라서 서양적 민주주의와 법사상을 독특한 동양적 권위주의와 국가주의로 각색하여 받아들였고 뒤따른 일제하의 일본판 서양법학이 이것을 그대로 계속시켰다는 것이다.351)

342)유길준, 한석태 역주,≪정치학≫(경남대 출판부, 1998).
343)안용준,≪개화기 서구정치학의 도입에 관한 연구≫(경남대 박사학위논문, 1998), 208쪽. 서구 정치학의 수용에 관해서는 이 논문과 한석태,<개화기 정치학에 관한 연구>(≪사회과학연구≫4, 경남대 사회과학연구소, 1992) 참조.
344)이기준,≪한말 서구경제학 도입사연구≫(일조각, 1985), 238쪽.
345)이준식,<일제침략기 개량주의 사회학의 흐름>(≪사회학연구≫, 1986), 256∼257쪽.
346)최재석,<한국의 초기 사회학:구한말-해방>(≪한국사회학≫6, 1974).

박영신에 의하면 한반도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새로운 강자 일본의 번역어인 ‘사회학’이 쓰여졌고 학문과 사상의 중심부가 중국에서 일본으로 옮겨졌다(박영신,<한국 사회학의 사회학적 역사>,≪사회학 이론과 현실인식≫, 민영사, 1992, 425∼426쪽).
347)이기준, 앞의 책(1985).
348)이원순,<한국근대문화의 서구적 기초>(≪한국사학≫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75∼79쪽 참조.
349)최종고,≪한국의 서양법 수용사≫(박영사, 1982), 404쪽.
350)이광린,<한국에 있어서의 ‘만국공법’의 수용과 그 영향>(≪한국개화사의 제문제≫), 158쪽.
351)최종고, 앞의 책, 427∼42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