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6권 신문화운동 ⅡⅡ. 근대 종교운동6. 대종교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1. 근대 신문의 효시
          • 2)≪한성순보≫의 창간
          • 3)≪한성주보≫의 발간
          • 4) 박문국의 운영
        • 2. 근대 언론의 발달
          • 2) 최초의 민간지≪독립신문≫
          • 3) 외국인의 신문 발행과 잡지
          • 4) 일간지 ≪일신문≫
          • 5) 새로운 신문들
        • 3. 언론의 구국투쟁
          • 1) 한말 언론과 계몽운동
            • (1) 국내신문
            • (2) 국외신문
          • 2) 한말 언론의 국권회복운동
          • 3) 일제의 언론규제
      • Ⅱ. 근대 종교운동
        • 1. 유교
          • 2) 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의 유교개혁사상
            • (1) 도학파의 유교개혁사상
            • (2) 애국계몽사상가의 유교개혁사상
        • 2. 불교
        • 3. 천주교
          • 6) 근대 천주교회의 사회적 기여
        • 4. 기독교
          • 1) 기독교의 수용과 정착
          • 2) 교회의 발전
          • 3) 기독교와 민족의식
          • 4) 기독교와 한국의 근대화
        • 5. 천도교
          • 3) 천도교의 민족운동
        • 6. 대종교
          • 2) 대종교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1. 서양과학에 대한 인식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1) 교통·통신·전기
            • (2) 사회간접자본의 전개과정
          • 2) 근대 의료기술
          • 3) 근대건축
            • (1) 19세기 말 양식건축의 이입
            • (2) 20세기 건축
          • 4) 근대 산업기술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3) 대한제국시기 방직기술의 이식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제2세 교주 김교헌시기의 교단조직과 포교활동

대종교의 총본사는 1914년 만주로 이전하였지만, 교조 나철이나 핵심 간부인 김교헌·오기호·유근 등은 이동하지 않았다. 그러나 1915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으로부터 대종교가 불법화되어 대종교에 대한 탄압이 심화되고, 1916년에는 나철교조가 사망하자 이에 지역을 옮겨 본래의 목적인 항일구국독립운동을 적극 추진하였다.

제2세 교주 金敎獻이 만주로 망명하여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미 만주에는 지사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대종교 총본사도 이전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종교의 활동은 아직 미미한 상태였다. 이와 같이 종리연구와 교사편찬에 전력을 경주하는 한편 敎政처리와 교무수행에 노력하고 포교활동에 힘쓰던 중, 1920년 일본군의 만주출병으로 많은 대종교인들이 희생되었다. 이에 김교헌은 화룡·寧安·密山 등지를 전전하며 대책에 부심하면서도 포교활동에 전념하였다.

제2세 교주 김교헌은 동지들과 함께 포교활동에 노력하여 46개소의 시교당을 설치하였다.372) 시교당을 지역별로 보면, 만주지역이 34개소, 한국지역이 6개소, 노령지역이 3개소, 중국본토가 3개소로 되어 있다. 시교당의 수가 확대되면서부터 이의 관리를 위한 여러 규정들이 만들어졌다. 즉 敎區分理·敎區分理條例·施敎堂分屬發佈案·誠金관리와, 誠捐모금·성금관리에 관한 倧諭文·誠捐募集文·蘇扶稧認施, 徐一에 의한 墓柵建立·육영사업과 청년운동·敎史저술과 교적간행이 제정되었던 것이다. 이로써 대종교의 敎德의 증가와 시교당의 확대에 따른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373)

1922년 倧經會에서≪신고강의≫·≪신리대전≫·≪회삼경≫·≪신사기≫·≪조천기≫·≪신단민사≫·≪신가집≫등 7종의 교적을 등사·간행하고 이어서 施敎會에서 성금을 모아 敎經을 인쇄·간행하였다. 또한 이듬해인 1923년에 와서는 종경회에서 倧理問答·重訂神歌集·增刪倧禮抄略·國漢文三一神誥·神理大全 등을 검정한 후, 시교회에서≪國文懸吐神誥講義≫·≪신리대전≫·≪신사기≫·≪국한문신단민사≫·≪배달족강역형세도≫등을 간행하였다. 이러한 간행 활동은 포교활동의 활성화와 교세확장에 이바지하였다. 이 중에서도 김교헌의≪신단민사≫와 李源臺의≪배달족강역형세도≫는 대종교인뿐 아니라 당시 항일독립운동자를 양성했던 사관학교 학생들에게까지 민족사의 교재로 이용되어 항일의식을 고취시키는 역할을 하였다.374)

김교헌교주는 渡滿 이후에도 계속해서 종리와 교사편찬 및 포교활동에 노력함으로써 시교당의 수를 확대시켰으며, 종리·교사의 연구, 시교당의 확대를 통해 항일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종리와 교사의 연구는 항일독립운동과 민족의식을 고취시켰고, 시교당 설치는 바로 항일독립운동의 교육장인 동시에 항일독립운동의 거점이 되었다. 김교헌 재임기간 동안 일본군의 만주출병이 있었으나 이에 대응하여 독립전쟁과 항일독립운동에서 많은 성과를 올릴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대종교를 중심으로, 특히 김교헌교주에 의한 노력으로 교단조직과 포교활동이 이루어진 데 힘입은 바가 컸다고 할 수 있다.

일본군의 만주출병으로 재만한국인의 희생도 또한 컸다(琿春大事件). 그 가운데 대종교의 지도급 인사들의 희생도 많았는데 1921년에 徐一이, 1922년에는 申圭植이 사망하였다. 김교헌은 이들의 희생에 크게 상심하던 중 1923년 11월 寧安縣에서 사망하고 말았다.375) 그는 죽음에 앞서 尹世復을 제3세 교주로 지명하였다.

1910년에 경남 密陽에서 상경한 윤세복은 교조 나철을 만나 대종교에 입교하였다. 그 후 1911년 가산을 정리하여 만주의 桓仁縣에서 東昌學校를 설립하고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러던 중 일제가 중국관헌을 사주함으로써 동창학교가 폐쇄되자 그는 撫松縣으로 가서 전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대종교의 시교당 설치에 헌신하면서 興業團 등에 관여하여 독립운동에도 이바지하였다.376)

윤세복이 나철교조를 만난 것은 1910년 12월의 일로 기간은 3일에 불과했다. 제2세 교주인 김교헌도 나철교조와 함께 윤세복을 한 번 만났으나 그와 대담한 적은 없었다. 서일은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었다. 그럼에도 제2세 교주로부터 후계자로 임명된 것은 평소 그가 대종교에 대한 신앙심이 깊었고 동창학교를 운영하여 민족교육에도 힘쓰고 또한 항일독립정신과 위인됨이 뛰어나다는 것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특히 학문과 종교적 신앙심, 그리고 가계를 통해 볼 때 당대에 명망 높았던 제2세 교주의 지명을 받았다는 사실은 윤세복의 탁월함을 그대로 입증하는 것이라 하겠다.377)

372)朴永錫,≪韓民族獨立運動史硏究≫(一潮閣, 1982), 165∼166쪽.
373)大倧敎倧經倧史編纂委員會,<茂園宗師의 佈敎>(앞의 책), 334∼356쪽.
374)大倧敎倧經倧史編纂委員會,<敎史著述과 敎籍刊行>(위의 책), 353∼354쪽.
375)大倧敎倧經倧史編纂委員會,<茂園宗師의 朝天>(위의 책), 362∼365쪽.
376)大倧敎倧經倧史編纂委員會,<奉敎와 入滿活動>(위의 책), 393∼394쪽.
377)大倧敎倧經倧史編纂委員會,<靈骸奉藏>(위의 책), 395∼396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