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Ⅴ. 의열투쟁의 전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1. 문화정치의 실상
          • 1) 경찰기구의 강화
            • (1) 보통경찰제의 확립
            • (2) 신간부의 선정과 보통경찰의 기능
          • 2) 지방제도의 개편
            • (1) 동화정책하의 참정권 문제
            • (2) 지방제도의 개편과 자문기구의 설치
            • (3) 면제의 운영과 촌락정책의 실상
          • 3) 친일세력의 양성
            • (1) 친일과 협력이란 개념
            • (2) 친일파의 육성과 이용책
            • (3) 친일단체의 조직
        • 2. 수탈체제의 강화
          • 1) 총독부 산업정책의 전환
          • 2) 농업―산미증식계획
          • 3) 공업
            • (1) 식민지 공업구조의 형성
            • (2) ‘민족자본’과 조선인 자본
          • 4) 재정·금융
            • (1) 재정
              • 가. 세출
              • 나. 세입
            • (2) 금융
              • 가. 식산은행
              • 나. 일반은행
              • 다. 금융조합
              • 라. 전근대적 금융기관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1. 임시정부의 수립과 초기 활동
          • 1)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
            • (1) 세계대전의 종전과 민족자결주의
            • (2) 정부수립운동과<대동단결선언>
          • 2)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1)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가.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선포
              • 나. ‘경성독립단본부’와 신한민국정부
            • (2) 상해 임시정부의 성립
            • (3) ‘통합’ 임시정부의 출범
          • 3) 임시정부의 초기활동
            • (1) 외교·선전활동
            • (2) 국내조직과 활동
              • 가. 연통제의 시행과 운영
              • 나. 임시교통국의 설치와 운영
            • (3) 군사외교와 독립전쟁 준비
              • 가. 군사외교의 강화
              • 나. 독립전쟁 방침과 군사제도의 정비
              • 다. 재만독립군과의 관계
        • 2. 임시정부와 국민대표회의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론과 ‘정부옹호파’의 반대운동
            • (1) 국민대표회의 소집배경과 참가세력
            • (2) 정부옹호파의 국민대표회 반대운동
            • (3) 제10회 임시의정원
          • 2) 국민대표회의의 전개 과정
            • (1) ‘비공식회의’와 제11회 임시의정원
            • (2) ‘삼방회의’와 국민대표회의의 결렬
          • 3) 국민대표회의에서의 쟁점
            • (1) 국민대표회의의 적법·부적법 문제
            • (2) ‘임정존폐’ 문제와 ‘임정법통론’
        • 3. 임시정부와 유일당운동
          • 1) 유일당운동의 배경과 계기
          • 2) 유일당운동의 추진과 임시정부의 개헌
            • (1) 임시정부 중심의 대당결성 주장
            • (2) 대독립당조직북경촉성회 결성
            • (3) 임시정부 개헌과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결성
            • (4) 의열단의 선언과 광동·무한·남경촉성회 결성
          • 3) 유일당운동의 발전과 임시정부 참여
            • (1)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의 결성
            • (2) 전위조직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의 성립
          • 4) 유일당운동의 중단과 임시정부의 여당 결성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1. 독립군의 편성과 국내진입작전
          • 1) 시대적 배경
          • 2) 독립군의 편성
            • (1) 북간도지역
              • 가. 대한군정서
              • 나. 대한국민군
              • 다. 대한군무도독부
              • 라. 대한북로독군부
              • 마. 대한의군부
              • 바. 훈춘한민회
              • 사. 대한광복단
              • 아. 대한신민단
              • 자. 대한의민단
            • (2) 서간도지역
              • 가. 서로군정서
              • 나. 대한독립단
              • 다. 대한독립군비단
              • 라. 광복군총영
          • 3) 국내진입작전의 전개
            • (1) 독립군의 전력강화
            • (2) 국내진입작전
        • 2. 봉오동승첩과 청산리대첩
          • 1) 봉오동승첩
            • (1) 삼둔자전투
            • (2) 봉오동승첩
          • 2) 청산리대첩
            • (1) 일본군의 간도 침공
            •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 독립군의 전투준비
            • (4) 청산리대첩
              • 가. 백운평전투
              • 나. 완루구전투
              • 다. 천수평전투
              • 라. 어랑촌전투
              • 마. 천보산전투
              • 바. 고동하곡 전투
            • (5) 청산리대첩의 전과와 의의
        • 3. 경신참변과 자유시사변
          • 1) 독립군의 북정
          • 2) 경신참변
          • 3) 자유시사변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1.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1) 통군부의 성립과 남만한족통일회의
          • 2) 통의부의 결성과 활동
        • 2. 3부의 성립과 활동
          • 1) 참의부의 성립과 활동
          • 2) 정의부의 성립과 활동
          • 3) 신민부의 성립과 활동
        • 3. 재만 독립운동단체의 민족유일당운동
          • 1) 민족통일전선운동의 대두
          • 2) 3부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 2. 의열투쟁 본격화의 배경과 계기
        • 3. 3·1운동 직후와 1920년대의 의열투쟁
          • 1) 3·1운동 직후와 1920년의 의열투쟁
          • 2) 1921년 이후의 의열투쟁 양상과 추이
            • (1) 의열단의 국내외 투쟁
            • (2) 재만 독립군의 국내외 의열투쟁
            • (3) 병인의용대의 의열투쟁
            • (4) 개인 단독의거의 흐름과 사례들
        • 4. 1930년대와 일제말의 의열투쟁
          • 1) 한인애국단의 의열투쟁
            • (1) 이봉창의 동경의거
            • (2) 상해거사의 추진과 윤봉길 의거
            • (3) 국내·만주거사 계획의 추진
          • 2) 재중국 아나키스트들의 의열투쟁
          • 3) 한국혁명당총동맹과 남자현의 의열투쟁
          •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 5) 한국독립당과 민족혁명당의 의열투쟁
          • 6) 국내 의열투쟁의 불연속성과 지구성
        • 5. 일제 강점기 의열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Ⅴ. 의열투쟁의 전개

1. 의열투쟁의 의미맥락

 ‘의열투쟁’은660) 의사와 열사라는 역사적 인물형과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는 개념이다.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지사적 기개로써 의로운 일의 실행에 용맹과감하게 나섰음을 강조하면 의사라는 호칭이 붙고, 대의를 좇아서 죽음의 길로 감연히 뛰어들었음을 강조하면 열사라는 호칭이 붙는다. 전자의 행위가 대체로 무기를 가지고서 대적거사를 벌이는 것으로 구체화된다면, 후자의 행위는 맨손의 항거나 자결로써 충절과 의분을 드러내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小我를 버리고 義를 취하며 자기희생을 마다않거나 자진해서 택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다를 바 없다.661) 그러므로 ‘의열’이란 生死不顧의 정신이 낳은 행동의 의로움과 그 행위에 뒤따르는 희생의 장렬함을 함께 기리는 뜻을 담은 용어인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이런 의미의 의열행위 양식은 일제 강점기 훨씬 이전에 생성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항쟁이나 論介의 행동이 다 그런 속성의 것이었다. 갑오년(1894) 이래의 반일 의병투쟁도 그 계선에 놓이면서 의열의 전통을 잇고 있었다. 그리고 이 전통은 한말에 와서 크게 꽃을 피웠다. <을사늑약>의 체결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일어난 후기 의병진들, 국운의 쇠퇴를 통탄하며 일본의 침략 야욕에 자결로써 항의한 전·현직 관료와 유생 및 군인들, 을사5적과 침략 원흉 및 침략행위 부조자를 암살 응징했던 奇山度·羅喆·吳基鎬·張仁煥·田明雲·安重根·李在明 등 여러 의사들의 행동이 의열의 전통을 되살린 것이다. 대한제국이 1910년에 일본에 강제 합병되자 많은 재야유생들이 잇따라 자결한 것 역시 그와 같은 선상에서 망국의 절통함을 표한 방식이었다.

 강점 이래 10년간의 일제 무단통치가 국토를 하나의 거대한 감옥처럼 만들어 짓누르고 있던 속에서도 여러 비밀결사와 그 성원들의 지하활동을 통하여 항일투쟁의 의지와 동력은 계속 재생산되었다. 특히 친일부호 처단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된 大韓光復會의 ‘義俠鬪爭’은 한말 의열투쟁의 정신과 방법을 부분적으로 재생·발전시킨 것임과 동시에, 3·1운동 이후의 의열투쟁의 한 원형이자 수원지가 되기에 충분했다.

 그러면서도 3·1운동 이후의 의열투쟁은 한말의 그것과는 초점과 의미구조가 사뭇 달랐다. 자결로써 의분을 표하는 것과 같은 행위양식이 사라지고, 그 대신 상황변개의 의지가 짙게 투영된 공격적 거사로 투쟁의 내용이 거의 채워진다. 다음으로, 단발적·일회적 개인거사의 수준을 넘어선, 집단적 차원의 연속적 거사가 하나의 전형으로 자리잡아 투쟁의 지속성을 담보해 간다. 그래서 의열투쟁은 이제 산발적인 항일행동의 단순집합 개념이 아니라 조직적이고도 계획적인 독립운동의 한 ‘방략’으로 새롭게 자리매김된다.

 이리하여 의열투쟁은 개인 또는 집단의 감투정신과 희생정신으로 뒷받침된 공격적 거사 양식의 독립투쟁이라는 것으로 그 의미가 굳어지게 된다. 의열거사의 규모가 확대되고 수단이 다변화하며 내용이 풍성해지는 추세도 나타나는데, 그것은 의열투쟁의 본격화와 궤를 같이한다. 1920년대 초에 ‘작탄투쟁’이나 ‘암살파괴운동’과 같은 용어가 새로 만들어져 널리 쓰이게 된 것도 그런 맥락에 비추어 조망하고 이해할 수 있다. 3·1운동 직후에 암살파괴운동의 선도자를 자임하며 탄생한 한 단체가 “천하의 정의로운 일을 맹렬히 실행”662)할 것이라 공약하고, 그 ‘정의’와 ‘맹렬’에서 한 자씩 따서 자기의 이름으로 삼음을 언명한 것-어쩌면 역설처럼 느껴질 법한 이 논리연관 짓기도 그런 맥락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것이었지, 그저 우연의 소치이거나 혼자만의 억지였던 것은 아니다.

 이제 폭력과 정의가 한몸이 될 수 있었던 우리 역사의 한 시기와 여러 국면을 찬찬히 살펴볼 차례이다. 하지만 지면상 개별 사례들을 강조하거나 부각시키기보다는 전체의 흐름 속에 그것들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서술해 갈 것이다.

<金榮範>

660)‘의열투쟁’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5년에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에서≪독립운동사≫제7권으로≪의열투쟁사≫를 펴내면서부터였다.
661)그래서인지 중국에서는 전자의 경우도 ‘열사’로 통칭하고 있다.
662)朴泰遠,≪若山과 義烈團≫(白楊堂, 1947), 27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