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5. 청년운동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청년단체의 출현

 3·1운동은 불완전하나마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져왔고, 그 결과 각 부문의 사회단체들이 우후죽순처럼 조직되었다. 어느 계층보다도 사회사정에 민감한 청년들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적으로 몰아친 세계개조사상에 고무되어 ‘조선 신문화 건설’을 내세울 중심기관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했다.

 1910년대부터 많지는 않았지만 지방마다 종교청년단체는 물론 구락부 또는 수양회 형태의 일반 청년단체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곳곳에 보통학교동창회가 있어서 그를 중심으로 청년들이 결합되어 있었다. 일본 유학생 출신을 비롯해 서울이나 기타 대도시의 중·고등학교에 취학한 학생도 많았다. 이들이 모두 청년단체의 주요한 인자였다.

 당시 조선의 현실이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으로 구분하기엔 조선총독부 자체가 학교시설로 청년들을 수용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경제적 곤란으로 수양의 기회를 갖는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청년회가 이러한 결함을 채워줄 사회적 수양기관이 되어야한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일본의 경우 이미 청일전쟁과 러일전쟁 과정에서 청년들의 역할에 대해 상당한 주목을 했다. 러일전쟁 직후 일본 정부는 청년단체의 발흥에 주목하고 1905년 청년단체에 대해 연구·조사했다. 1915년에는 청년단체를 수양기관으로 규정하고 연령제한(20세)·설치구역(행정구역)·지도자 및 원조자·경비·활동내용 등 청년단체의 설치기준까지 마련했다. 즉 국가가 직접 청년단체를 지도하고 통제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세계적으로 사상조류의 변화가 일본에 밀어닥치자 일본 정부는 청년단체의 ‘자치적 경영’을 장려하고 독지가나 유력자들은 고문의 지위에서 청년단체를 지도하거나 원조하도록 했다. 연령문제는 25세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했으며 지방의 실정에 맞게 실시하도록 했다.626)

 식민지 조선에서도 일본의 청년단체에 대해 알게 되었고, 영국과 독일의 청년단체에 대한 내용도 소개되었다. 1919년 말∼1920년 초에 걸쳐 청년회·靑年俱樂部·청년수양회 등의 명칭을 가진 청년단체가 군·면·리에 급격히 출현하였다. 평안남도 지사에 따르면 1920년 3·4월 경부터 종교관련 청년회 및 일반 청년회가 곳곳에서 출현하더니 그해 말 청년단체의 수가 124개에 회원이 1만 3,088명에 달했다고 한다.627)

 이처럼 청년단체가 급증할 수 있었던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는 1910년대 전국에 산재해 있던 비밀결사 형태의 반일 독립운동 경험과 3·1운동 당시 곳곳의 비밀 독립운동지도부 경험 등이다. 1919∼1920년 각 지역의 일부 청년단체들은 여전히 해외의 독립운동 세력과 합법 또는 비합법의 형태로 관계하고 있었다. 평안남도 도지사의 말대로 1920년 말 현재 124개 청년단체 가운데 온건한 27개 단체를 제외하고는 모두 ‘불온한’ 단체로 많은 지도자들이 ‘위험인물이거나 전과자들’로서 잦은 강연회 등을 통해 ‘인심을 미혹’하고 있었다.628) 그러므로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미즈노 렌타로(水野鍊太郞)는 1920년 9월 도지사회의에서 각 지방에 속출하는 청년회들이 겉으로는 인격을 향상하고 체육을 장려한다고 하지만 조직행동은 ‘독립운동을 삼으려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던 것이다.629)

 둘째는 1900년대 중반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계몽운동단체와 지방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청년지식인들의 실력양성운동 경험 등이다. 3·1운동이 실패하자 독립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실력양성과 문화향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세계적으로 몰아친 개조운동과 문화운동 조류와 함께 하면서 그를 지도할 상설적 기관의 필요성이 청년회의 결성으로 나타나게 되었던 것이다. 당시 청년회는 일반에게 ‘지방문화의 중추기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626) 玉井廣平,≪靑年團の新紀元≫(大日本雄辯會, 1922), 19∼48쪽. 청년단체의 기원은 영국의 보이스카우트에서 찾을 수 있으나 일본의 청년단에 직접 영향을 미친 것은 독일이었다. 특히 당시에 일본어로 ‘청년교양’으로 번역되었던 ‘유켄트플레게’는 일본의 청년단에 직접적인 자극이 되었다고 한다. 이때 청년교양은 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당시 독일은 조직의 형태가 단체 중심의 방침이었는데 일본은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청년단체를 조직하였다. 또한 당시 독일에서는 청년단체가 애국적이고 군사적으로 활용되었다(湯原元一, 앞의 책, 11∼12쪽).
627) 朝鮮總督府,≪道知事會議速記錄≫(1921년 4월), 44쪽(박찬승,≪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3, 234쪽에서 재인용).
628) 朝鮮總督府,≪道知事會議速記錄≫(1921년 4월), 44쪽(박찬승, 위의 책, 235쪽에서 재인용).
629) 朝鮮總督府,≪施政に關する諭告·訓示竝演說≫(1919∼1922), 43쪽(박찬승, 위의 책, 234쪽에서 재인용). 조선청년회연합회 집행위원장 吳祥根은<지방 청년단체 발전책>(≪동아일보≫, 1921년 2월 25일)이란 글에서 “재래로 당국자는 지방 청년단체를 일종의 독립단체로 간주하여 위험시하였다”라고 밝히고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