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6. 학생운동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한국 근대에 있어서 학생운동은 개항과 더불어 신교육이 실시되고 학생계층이 형성됨에 따라 이들이 교육개화·교육입국·교육구국의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교내외를 통하여 적극적인 사회활동을 전개한 데서 비롯되었다.

 대체로 개항에서 1910년 ‘한일합병’까지 개화·애국계몽운동기(1876∼1910)에는 協成會 등의 결사,≪매일신문≫등의 언론, 교내에서의 동맹휴학, 문화계몽운동과 체력단련을 위한 운동회를 통하여 학생 자신들의 민족의식과 실력을 양성하고, 일반 국민들을 위한 민족의식의 고취, 문맹타파, 생활개선을 위한 집회·강연 등을 활발하게 추진하였다.762)

 1910년 일본제국주의에게 나라를 빼앗긴 다음에는 항일민족운동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다방면에 걸쳐서 일제와 대항하기 위한 학생운동을 전개했다. 식민지시기의 학생운동은 대체로 일제통치정책의 변화와 짝하여 1910년대의 무단통치기(1910∼1919), 1920년대의 소위 문화정치기(1920∼1930), 1930년대 이후의 황국신민화통치기(1931∼1945)로 시대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일제하 항일학생운동의 체계화와 그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763)

 대체로 일제하 항일학생운동의 양상은 합법적인 결사, 문화계몽운동, 동맹휴학, 비밀결사, 가두시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합법적인 단체의 결성은 당시 기성세대들의 결사운동에 짝하여 1920년대 전국적인 단체로서 1923년 朝鮮學生會와 1925년 朝鮮學生科學硏究會, 1927년 新幹會學生部가 등장하여 민족주의·사회주의·좌우협동전선을 펴면서 학생운동을 이끌어 갔다.764) 이들의 조직은 고립·분산적인 학생운동을 조직화, 통일적인 운동으로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였다고 하겠다. 특히 1926년 6·10학생운동은 이들 단체의 힘이 작용한 것이다.

 동맹휴학이 본격적으로 사회화·여론화되고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그 성격이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20년대부터이다. 일제측 통계에 의하면 동맹휴학 회수가 1920∼1935년까지 866회나 되었다. 대체로 1926년 6·10학생운동 이전과 이후로 대별해서 본다면 전자가 민족주의적 색채를 띤 식민지 교육에 대한 반항이었다면, 후자는 사회주의의 영향 아래 식민지 자체를 부정한 항일민족운동으로 승화되어 갔던 것이다. 그 후 1930년대에 들어오면 동맹휴학은 비밀결사와 연계되어 전개된 특징을 엿볼 수 있다.765)

 비밀결사는 항일학생운동의 중추적 기능으로 작용했다. 합법적인 단체활동으로는 일제의 탄압에 의하여 제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 속에서 교내에서는 讀書會·班會를 조직, 소수정예부대를 양성하여 시위운동이나 동맹휴학에 앞장서게 하였다. 광주학생운동(11·3학생운동) 때의 醒進會, 1930년대 각급 학교의 독서회·반제반전동맹, 1940년대 黑白党·茶革党·無等會·조선독립당 등이 그러한 사례들이었다.766)

 가두시위의 형태로 학생운동이 전개된 것은 1919년 2·8학생운동에서부터이다. 비록 동경 시내로 진입하지는 못하였지만 분명히 가두시위를 통해서 그들의 의사를 표명하려고 하였던 것은 사실이다. 국내에 있어서는 같은 해 3·1운동시 서울 탑골공원에서부터 시위를 주도한 것은 학생들이었으며 3·5학생운동은 학생들의 계획과 추진에 의하여 실행된 항일시위운동이었다.767)

 1926년 6·10학생운동도 純宗의 인산일을 당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에 돌입한 실천운동이었고, 1929년 광주를 기점으로 한 광주학생운동은 항일학생운동의 꽃으로 광주시내에서 전개되었던 학생들의 울분이 전국의 都鄙를 막론하고 시위의 횃불이 꺼지지 않고 타올랐던 것이다. 그리하여 1929년 11월에서 다음해 1930년 1월 사이 전국적으로 참가교 194개교, 참가학생이 5만 4,000여 명이나 되었다. 또한 1940년 부산제2상고·동래중학생의 군사훈련 반대시위는 전시하 결전교육을 강요하던 시기에 일어났던 항일학생시위운동으로 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768)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학생들은 학교 안에서 식민지교육에 대한 저항운동을 전개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동원할 수 있던 모든 전략과 전술을 동원하여 적이 일본제국주의라는 명확한 판단 아래 항일민족독립운동에 앞장서기도 하였고 그 중심에 위치하여 운동을 이끌어 갔던 것이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이었다고 하겠다.

762) 金鎬逸,<韓國近代開化·愛國啓蒙期의 學生運動에 대한 一考察>(≪人文學硏究≫ 14, 中央大 人文科學硏究所, 1987).
763) 金鎬逸,<1910年代 學生運動에 대한 考察>(≪又仁金龍德博士停年紀念 史學論叢≫, 1988).
764) 김호일,≪일제하 학생운동≫(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1), 81∼83쪽.
765) 趙東杰,<韓國近代學生運動 組織의 性格變化>(≪韓國近代民族主義運動史硏究≫, 一潮閣, 1987).
766) 鄭世鉉,≪抗日學生民族運動硏究≫(一志社, 1975), 506∼542쪽.
767) 金成植,≪日帝下 韓國學生獨立運動史≫(正音社, 1974), 121∼122쪽.
768) 金義煥,<日帝下 釜山의 學生抗日獨立運動>(≪尹炳奭敎授華甲記念 韓國近代史論叢≫, 1990).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