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6. 학생운동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동맹휴학

 동맹휴학이란 학생들이 교육상 제문제나 또는 정치적 제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수단으로 학업을 거부하는 집단행동을 말한다.801) 1920년대의 동맹휴학은 학원내의 사소한 문제로부터 발단되어 일제식민지 노예교육에 대한 규탄, 나아가 총독정치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 발전하고 결국 민족독립을 절규하는 민족운동의 성격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특히 이 시기의 동맹휴학은 보통학교에서 전문학교에 이르기까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학교에서 산간벽지의 학교까지 전국적으로 일어났으며 한 학교, 한 지역의 운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국 학교, 전 민족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802)

 그리하여 일제당국자들은 동맹휴학에 대하여 예의주도한 감시와 그 대책을 강구하여 가차없이 주동자는 퇴학, 구속하고 학교는 폐쇄시키는 등 강경일변도로 탄압하였다. 더욱이 일제는 동맹휴학이 교육문제인 이상 學務局 소관이었으나 警務局에서 취급하여 강경하게 대처하였던 것이다.

 일제 경찰 당국은 이 시기의 동맹휴학을 성격적 측면과 사상적 측면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분석하면서 발생원인을 처음에는 무자격교원의 배척 등 3개 항목으로 보았으나 동맹휴학이 차츰 격화되자, 학교설비, 학교규칙, 학과 기타에 관한 맹휴 등 6항목으로 나누어 보았다.803) 맹휴건수도<표 1>에서와 같이 1920년 20건에서 1925년 55건, 1930년에는 107건으로 증가하였다.

연 도 건 수 연 도 건 수 연 도 건 수 연 도 건 수
1920 20 1924 24 1928 83 1932 33
1921 33 1925 48 1929 78 1933 38
1922 52 1926 55 1930 107 1934 39
1923 57 1927 72 1931 102 1935 36

<표 1>연도별 동맹휴학 건수

*朝鮮總督府 警務局,≪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1936), 106∼113쪽.

 그러나 학생들이 제시한 요구조건·진정서·건의서·결의사항 등을 분석하여 보면 이 시기의 동맹휴학은 1926년 6·10학생운동을 분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과 이후의 성격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6·10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은 주로 교내문제와 교육문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① 교장 및 교사배척, ② 교수방법 및 교과과정 시정, ③ 학교시설확충요구, ④ 학교승격 요구 등이었다. 그러나 6·10학생운동 이전의 동맹휴학이 식민지교육에 대한 저항이었다면 그 이후는 식민지통치에 대한 저항이었고 사회개혁을 도모하려 한 운동이었다. 동맹휴학의 결과 많은 학생희생자가 발생했고 그것은 상대적으로 민족운동가를 배출하는 산실의 역할도 했다. 일제 당국은 동맹휴학을 단순한 학생불만의 표시라 보지 않고 민족운동의 일환으로 판단하여 철저한 감시와 탄압을 가하였다. 1921년부터 1928년까지 동맹휴학 404건에 연루된 학생 수는 7,674명이었고 이 중 퇴학당한 학생이 1,560명, 재판에 회부되어 형의 언도를 받은 학생도 172명이나 되었다.804)

 1920년대 동맹휴학이 가장 격렬하게 전개된 배경에는 사회주의사상의 영향과 학생단체 및 비밀결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들어와 사회주의사상이 대두되고 많은 사상단체의 조직과 활동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학생회·조선학생과학연구회·신간회학생부 등 학생단체가 동맹휴학을 지도하고 각급 학교에 조직되어 있던 비밀결사 독서회·반회 등이 동맹휴학을 치열하게 전개시키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그것을 일제 당국자가 시기별로 사상동향을 분석하여 도표로 작성한 것이<표 2>의 내용이다.

연 대 맹휴의 색채 사상경향 비 고
구한국시대     한학·과학만능시대
한일합병

(1910∼19)
    신교육기지·서당만능시대
1919 배일맹휴시대 독립운동시대

관학기피·소극적

저항시대
3월 독립만세소요사건
1920 미국의원단의 내선
1921 실력양성운동과

향학열 발흥시대
워싱톤회의
1922  
1923 2월 조선학생회 성립

4월 민립대학기성회 성립
1924 주의적

맹휴시련기
좌경화시대 9월 조선학생과학연구회 성립
1925 4월 제1차 조선공산당사건 검거
1926 주의적

맹휴시대
6월 10일 이태왕 전하 국장
1927 민족·공산합류시대 2월 신간회 성립

1928

 
11월 대구에서 최초의 공산주의

비밀결사 적우동맹 및 경성에서

ㄱ당사건 검거
1929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1930 반전운동시대  
1931 단순한(사상

배경 없는)

맹휴시대
5월 신간회 해소, 하기문맹퇴치운

동 개시, 9월 18일 만주사변 발발
1932 전향시대

주의사상 침체시대
 
1933 3월 27일 국제연맹 탈퇴 통고
1934  
1935  

<표 2>시기별 학생운동의 변화 추이

*朝鮮總督府 警務局,≪高等警察報≫5(1936), 37∼38쪽.

 그리하여 1920년대 동맹휴학은 1926년 6·10학생운동과 1929년 광주학생운동을 일으키게 하고, 이를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 작용을 한 항일학생민족운동의 한 형태였다.

801) 李錫台 編,<同盟休學條>(≪社會科學大辭典≫, 文友印書館, 1946), 164쪽.
802)金鎬逸,<日帝下 學生運動의 一形態-1920年代 동맹휴학을 中心으로->(≪亞細亞學報≫11, 1975).
803)동맹휴학의 원인이 처음에는 ① 무자격교원의 배척, ② 시설충실, ③ 축제일의 식전 참여기피, 봉축가 불합창이었다(朝鮮總督府 警務局,≪高等警察報≫5, 1936, 37∼38쪽). 그러나 맹휴가 격화되자 그 원인분석을 ① 학과설비·교규교칙·학과 기타에 관한 맹휴, ② 교원배척에 관한 맹휴, ③ 학교 내부의 사실에 관한 맹휴, ④ 생도간의 사실에 관한 맹휴, ⑤ 지방문제에 관한 맹휴, ⑥ 민족의식 및 좌경사상의 반영에 기인하는 맹휴로 구분하였다(朝鮮總督府 警務局,≪朝鮮に於ける同盟休校の考察≫, 1929, 20쪽).
804) 李如星·金世鎔 共著,≪數字朝鮮硏究≫1(世光社, 1931), 9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