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역대 국사교과서아홉째 가름 두 차례 세계대전과 우리나라의 관계는 어떠하였는가?둘째 조각 2차 세계대전의 시말은 어떠하였으며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방되었는가?

③ 세계대전 종결에 따라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방되었는가?

대한민국은 임시정부 성립 이래 일본에 대하여 꾸준히 항쟁을 계속하여 왔다. 태평양 전쟁 때에도 역시 일본에 대하여 선전포고하여 연합군을 도왔고 우리 광복군은 중국 각지에서 일병과 맹렬히 싸웠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일제의 무서운 눈을 피하여 가면서 지하운동을 계속한 지사도 많았다.

한편 승리가 확실하다고 본 미·중·영 3국은 카이로(Ciro)에서 회의를 열고(단기 4276년, 1943년 11월) 닥쳐올 여러 가지 일을 토의하였는데 그 중에 한국의 자유 독립을 도와줄 것을 결의한 조목이 있었다. 다음에 열린 포츠담(Potsdam) 회의에서도 다시 한국의 독립을 도와준다는 카이로의 결의안을 재확인하며 동시에 일본에 대하여 무조건 항복을 권하였다.(단기 4278년, 1945년)

미국에게 참패한 일본의 무조건 항복이 결정적으로 되었을 때, 그해 8월 9일 소련이 또 만주 국경과 조선 북쪽에 쳐들어오자 일본은 할 수 없이 14일 드디어 연합국 앞에 무조건 항복하고 이튿날 15일 오전 12시에 일왕 유인(裕仁)이 친히 “라디오”를 통하여 온 세계에 이를 발표하였다.

기원 4278년 을유년 8월 15일은 조선 민족으로서는 영원히 잊지 못할 기쁨의 날이다, 우리는 36년 동안 감기고 감겼던 쇠사슬이 풀리고 금수강산 삼천리의 강토를 도로 찾으며 문화 찬란한 반만 년 역사를 다시 이으려는 굳은 결심이 환희의 만세소리와 함께 다 같이 타 올랐다.

 [익힘]

1. 2차 세계대전 중 나라 안 모양은 어떻게 비참하였는가?

2. 2차 세계대전은 어떻게 종결되었는가?

3. 우리나라는 어떻게 하여 해방되었는가?

4. 우리가 앞으로 완전 자주 독립을 하려면 어떻게 노력하여야 할 것인가?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