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Ⅵ. 가야의 성립4. 가야연맹의 형성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1. 건국신화와 시조신화
          • 1) 박혁거세 신화
          • 2) 석탈해 신화
          • 3) 김알지 신화
          • 4) 신라 신화의 특징
        • 2. 성립과 발전
          • 1)≪삼국사기≫초기 기록의 문제점
          • 2) 성립
            • (1) 사로 6촌의 위치와 성격
            • (2) 사로국의 형성
          • 3) 발전
            • (1) 내부체제의 정비
            • (2) 진한 소국의 복속
            • (3) 복속 소국에 대한 통제의 강화
      • Ⅱ. 신라의 융성
        • 1. 나제동맹의 결성과 정치적 발전
          • 1) 내물왕의 등장과 김씨 세습왕조의 성립
          • 2) 나제동맹의 결성
            • (1) 나제동맹 성립 이전의 대외관계
            • (2) 고구려의 남하와 나제동맹의 성립
          • 3) 마립간시대의 정치적 발전
            • (1) 왕권의 강화
            • (2) 축성사업
        • 2. 정치체제의 정비
          • 1) 배경
            • (1) 철제 농기구의 보급과 생산력의 발전
            • (2) 사회의 변동
          • 2) 부체제
            • (1) 부
            • (2) 6부의 기원과 성립
            • (3) 부의 구조와 기능
            • (4) 부대표자 회의-화백
          • 3) 지증왕대
            • (1) 지증왕의 등장
            • (2) 국호 및 왕호의 개정
            • (3) 지방제도의 정비
          • 4) 법흥왕대
            • (1) 율령의 반포
            • (2) 군사제도의 정비
            • (3) 불교의 공인
        • 3. 영토의 확장과 왕권강화
          • 1) 영토의 확장
            • (1) 한강유역의 확보와 백제·고구려와의 항쟁
            • (2) 가야의 병합
            • (3) 대지방민 정책
          • 2) 왕권의 강화
            • (1) 대왕호의 사용과 연호의 제정
            • (2) 상대등과 관부의 설치
            • (3) 화랑도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1. 중국과의 관계
          • 1) 조공의 의미와 대중국 교섭의 전개
          • 2) 수 이전의 중국과의 관계
          • 3) 당과의 관계
          • 4) 대당사행의 유형
        • 2. 왜국과의 관계
          • 1) 시기 구분
          • 2) 4세기 후반∼5세기 초 왜국과의 관계
          • 3) 5세기 왜국과의 관계
          • 4) 6세기 전반 왜국과의 관계
          • 5) 6세기 후반 왜국과의 관계
          • 6) 대수관계의 개시와 왜국과의 관계
          • 7) 대당관계의 개시와 왜국과의 관계
          • 8) 당과의 군사동맹 강요와 왜국의 동향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1) 관등과 관직
          • 2) 행정조직
          • 3) 화백회의
        • 2. 지방·군사제도
          • 1) 지방조직
          • 2) 군사조직
          • 3) 교통로 개척과 성곽시설
        • 3. 경제
          • 1) 농업
            • (1) 철제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
            • (2) 수전의 확대
            • (3) 맥류 재배의 확산
          • 2) 수공업
          • 3) 상업
          • 4) 토지제도와 조세·요역제도
            • (1) 토지제도
            • (2) 조세·요역제도
        • 4. 사회구조
          • 1) 신라사회의 대본이 되는 골품제도
          • 2) 골품제도의 형성 배경
            • (1) 왕경 6부의 성립과 그 전개과정
            • (2) 율령의 수용과 신분층의 결정화 과정
          • 3) 골품제도의 계층 구성
            • (1) 골제-성골과 진골-
            • (2) 두품제
            • (3) 불완전한 사회성층의 지표-화랑도
          • 4) 골품제사회의 권력구조
            • (1) 경위제-골품제도와의 대응관계-
            • (2) 외위제―지방촌락사회의 계층구조―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1. 가야사 연구의 개관
          • 1) 가야사 연구의 전통
          • 2) 임나 문제의 제학설
            • (1) 임나일본부설의 성격
            • (2) 임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경향들
          • 3) 가야관계의 제학설
            • (1) 문헌사학 계통의 가야사 연구
            • (2) 고고학 계통의 가야문화 연구
        • 2. 가야사의 범위
          • 1) 가야의 명칭과 6가야
          • 2) 변한 및 임나와의 관계
          • 3) 가야사의 시기 구분
      • Ⅵ. 가야의 성립
        • 1. 가야의 풍토와 지리
        • 2. 가야의 건국 설화
          • 1) 가락국 수로왕 신화
          • 2) 대가야국 이진아시왕 신화
        • 3. 가야 제국의 성립
          • 1) 성립 배경
          • 2) 성립 시기
          • 3) 존재 형태
        • 4. 가야연맹의 형성
          • 1) 가야연맹의 성립
          • 2) 전기 가야연맹의 영역
          • 3) 전기 가야연맹의 해체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1. 가야연맹의 발전
          • 1) 후기 가야연맹의 형성
          • 2) 대가야 세력권의 확립
          • 3) 후기 가야연맹의 영역
        • 2. 가야연맹의 약화
          • 1) 탁기탄국의 신라 투항
          • 2) 백제의 안라 걸탁성 진주
          • 3) 남가라국(금관국)의 신라 투항
          • 4) 백제의 구례모라성 축성과 안라 경영
        • 3. 가야의 멸망
          • 1) 대가야·안라 이원체제로의 분열
          • 2) 가야연맹의 자구노력과 백제 부용화
          • 3) 가야연맹의 신라 복속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1. 백제·야마토왜의 접근과 중개외교
          • 1) 4세기의 대신라관계
          • 2) 대백제관계의 시작
          • 3) 대야마토왜관계의 시작
          • 4) 대백제관계의 진전
        • 2. 대백제관계의 심화와 부용외교
          • 1) 신라·고구려의 침입과 대백제관계의 심화
          • 2) 야마토왜에 대한 군사기지 제공
          • 3) 백제군의 주둔
        • 3. 백제·신라의 각축과 분열외교
          • 1) 신라의 진출
          • 2) 백제의 직접지배 시도
          • 3) 가야의 멸망
      • Ⅸ. 가야인의 생활
        • 1. 산업의 발달
          • 1) 전기 가야의 산업
          • 2) 후기 가야시기
        • 2. 종교와 풍속
          • 1) 문헌에 보이는 가야의 종교
            • (1) 불교
            • (2) 유교
            • (3) 도교
          • 2) 가야의 신앙과 풍속
            • (1) 소도신앙
            • (2) 태양신앙
            • (3) 산악신앙
          • 3) 유물자료에 보이는 신앙과 풍속
            • (1) 장례 풍속
              • 가. 부장 풍속
              • 나. 순장풍속
            • (2) 점복풍속
            • (3) 기타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전기 가야연맹의 영역

 김해 가락국을 중심한 전기 가야연맹의 세력 범위는≪삼국사기≫초기 기록의 전쟁 기사와≪삼국지≫위서 한전의 변진 12국 관계 자료 및 해당 지역의 유적·유물 자료를 통해서 추정할 수 있다.

 우선≪삼국사기≫신라본기에 脫解尼師今 21년(77)부터 祇摩尼師今 5년(116)까지에 걸쳐 신라·가야 사이의 전쟁 기사가 나온다. 그 관계 기사에서 편년은 그대로 믿을 수 없으나, 가야와 신라 사이의 主戰場은 黃山津口·黃山河 및 加召城·馬頭城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황산하는 지금의 梁山郡 院洞面 院洞里 부근(옛 지명 玉池淵 즉 伽倻津)으로부터 낙동강 하구 을숙도(옛 지명 鷲島) 부근까지를 가리키며, 가소성과 마두성은 그 위치를 무리하게 비정하기보다 보류해 두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렇다면 이 관계 기사에서 신라·가야가 황산하 즉 양산·김해 사이의 낙동강을 경계로 하여 대치하던 시기(아마도 3∼4세기)가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당시의 김해 중심 가야연맹의 세력권은 대략 황산하까지였다고 추측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전기 가야의 공간적 범위를 살펴보기 위한 자료는 현재까지 알려진 이 시기의 토광목관묘 및 목곽묘 등에서 출토한 고고학적 유적·유물자료와 3세기 전반에 대한 기록인≪三國志≫韓傳의 弁韓관계 문헌자료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한전에서 변진한은 잡거하며 의복·거처가 진한과 같고 언어·법속도 서로 비슷하다는 기록이 있는 것처럼, 3세기까지의 영남지방에서 출토한 고고학적 유물·유적은 그 내용이 거의 구분할 수 없을 만큼 비슷한 공통 문화기반을 가지고 있어서, 지금까지 축적된 고고학자료만으로는 진한·변한 또는 초기 신라·가야문화권의 구분을 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앞으로 좀더 광범위한 발굴 자료가 축적되면 이 시기의 지역간 문화 양상의 미세한 차이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나, 그렇다고 해도 지금까지 나타난 결과에 보이는 전반적인 추세는 그리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진·변한의 문화 성격이 이처럼 공통적인 양식을 띠게 된 이유는 진·변한을 이루는 각 단위 정치세력인 소국들의 문화기반 및 수준이 서로 비슷하고 상호간의 정치적인 대립상이 그리 크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그 차이는 이 단계에서는 아직 그리 크지 않았을지 모르나 양 지역간에 각기 구심세력이 대두함에 따라 점차 증폭되어나갈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므로 1∼3세기의 변한 즉 전기 가야의 영역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서 현재 이용할 수 있는 것은≪三國志≫魏書 韓傳 소재 변진 12국의 위치밖에 없는데, 그 지명 비정 결과를 정리하면<표 4>와 같다.

번호 국 명 위 치 근 거
1 弁辰彌離彌凍國 밀양시 古名 密城郡·推火郡, 密陽市 內二洞 土壙墓유적
2 弁辰接塗國 함안군

칠원면
 
3 弁辰古資彌凍國 고성군

고성면
古名 固城郡·古自郡, 固城郡 固城邑 東外洞貝塚 및 下一面 松川里 솔섬 石棺7墓
4 弁辰古淳是國 산청군

단성면
古名 闕支郡·乞飡國(?)
5 弁辰半路國 고령군

개진면
半跛國의 잘못이라면, 伴跛·叛波와 관련하여 고령에 비정
6 弁辰樂奴國 ×  
7 弁辰彌烏邪馬國 창원시  
8 弁辰甘路國 김천시

개령면
古名 甘文國
9 弁辰狗邪國 김해시 古名 駕洛國·加耶國, 金海貝塚, 金海市 府院洞 貝塚, 金海市 酒村面 良洞里 土壙墓 유적
10 弁辰走漕馬國 함양군

함양읍
古名 卒麻國(?)
11 弁辰安邪國 함안군

가야읍
古名 阿尸良國·安羅國, 咸安郡 伽倻邑

沙內里 土壙墓 유적
12 弁辰瀆盧國 부산시

동래구
古名 東萊郡,「與倭接界」, 東萊貝塚, 釜山市 金井區 久瑞洞 土壙墓群, 老圃洞 土壙墓 유적

<표 4>변진 12국의 위치비정표

 위의<표 4>에 의거해 볼 때 거의 확실하게 위치 비정이 되는 곳은 밀양·고성·김해·함안·동래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일단 추정해 둔 단성·고령·개령·진주 등을 포함하여 보면, 변진 12국은 대체로 지금의 경상남도의 영역과 비교가 되면서 약간 차이가 나는 정도이다. 이를 좀더 세분하여 보면, 변한 즉 전기 가야의 영역은 김해·함안·밀양·동래 등의 낙동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고령·개령 등의 낙동강 중상류지역과 고성·단성·함양 등의 서부 경남지역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도면 1>참조).

<도면 1>전기 가야 12국의 위치비정도

 여기에다가 약간의 지역을 좀더 포함시킨다면, 옛 지명의 유사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어도 토광묘 관계 유적이 발견된 지역 중에서 위의 영역 안에 들어가는 창원과 합천·성주지역을 전기 가야(변한)의 공간적 범위에 추가해 넣을 수 있을 것이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