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Ⅰ. 구석기문화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가. 전기 구석기문화(<그림 1∼4>)

가. 전기 구석기문화(<그림 1∼4>)

 중국의 화북지방 북경 부근의 주구점유적, 泥河灣의 유적들, 남쪽의 元謀 유적, 그리고 황하의 중류지방의 구석기지점들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구석기지점들인 것이다. 특히 니하만의 유적들은 최근에 들어서 발견되어 조사되고 있는 유적들인데 동북아시아의 가장 오래된 유적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세계 고고학계의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가 동북아시아, 즉 북중국지역에서 인류의 서식이 어느 정도 올라갈 것인지, 그리고 이 지역이 당시로는 인류서식지로서는 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고위도에 해당되는데 어떻게 환경에 적응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현재 니하만의 유적들은 고지자기법이나 고동물화석에 의하여 100만년 이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유적으로 岑家灣, 東谷陀와 小長梁유적을 들 수 있다.247)吳汝康·吳新智·張森水 編,≪中國遠古人類≫(科學出版社, 北京, 1989). 동곡타유적에서는 많은 석기들과 함께 동물의 화석들이 호수퇴적층 또는 호수에 유입되는 하천에 의해서 퇴적된 토양 속에서 발견되었다. 여기에서 발견된 석기들은 석재가 나빠 작은 석편이나 박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공을 뚜렷이 보이는 것은 드물고 대부분이 불규칙한 가공을 하였다.248)Clark, J. D. & K. Schick, Context and Content : Impressions of Paleolithic sites and assemblage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 of Human Evolution 17, 1988, pp. 439∼448.

확대보기
<지도 1>중국 구석기 주요지점
<지도 1>중국 구석기 주요지점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그림 1>중국 早期 구석기
<그림 1>중국 早期 구석기
팝업창 닫기

 황하의 중류에서 발견된 전기 구석기유적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경우로 알려지고 있는 藍田유적은 약 80만년 전으로 보고 있다.249)Wu, Rukang, New Chinese Homo erectus and recent work at Zhoukoudian, Ancestors:The Hard Evidence, ed., by Wu and Olsen, Academic Press, Orlando., 1985, pp.76∼90. 아마도 이 지역의 전기 구석기문화들은 이보다는 연대가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 전역에 있어서 가장 오래되었다고 주장된 바 있던 西侯度유적은 석기의 형태나 그 출토상황이 애매하여 인공유적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고250)Shick, K., N. Toth, Wei Qi, J. D. Clark and D. Etler, Archaeological Perspectives in the Nihewan Basin China, J. of Human Evolution 21, 1991, pp. 13∼26. 세계구석기의 일반적인 양상으로 판단할 때도 2백만년 전에 이러한 석기문화가 중국의 북부지역에 존재하였다는 것은 수긍하기가 어렵다. 구석기유적이나 고인류가 발견된 지점들이 대부분 강안단구성 퇴적 속에서 발견되는데 석기의 집중현상이 없고 대부분이 유수에 의한 재퇴적된 상태로 드러나고 있어서 고인류의 행위의 복원이나 석기문화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그러나 이 지역의 석기들 중에서 이른 시기로 분류되는 匼河나 남전의 公王嶺유적 등에서 이른바 대형첨상기로 불리는 것들이 소수 발견된다. 이 석기들은 최근에 주먹도끼로 불리고 있는데 그 밖의 석기문화들은 다른 동아시아지역에서 흔히 발견되는 석기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일차적인 가공을 보이는 대단히 즉흥적인 석기들이 대부분이다.

 현재의 자료로 볼 때 주구점유적은 약 50만년 전부터 약 23만년 전까지 사용된 석회암동굴이라는 것이 알려졌으며 이 기간 동안의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엄청나게 많은 석기들 중 대부분이 석영암으로 제작되었는데 석재가 나빠서인지 대형석기는 많지 않고 대부분이 소형인데 일부의 석기는 양극타격법으로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것도 있다. 이 유적에서는 많은 동물뼈들 중에 불에 탄 뼈와 함께 재들이 발견되어 고인류, 즉 북경원인들이 불을 사용하고 있었다고 생각되었으나,251)Jia, Lanpo, Early Man in China. Foreign Language Press, Beijing, 1980. 근래 이 유적에서 발견되는 모든 불의 흔적들이 인간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화하여 동굴 내부를 태운 것으로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252)Binford L. R. & Chuan Kun Ho, Taphonomy at a distance : Zhoukoudian, “The Cave Home of Beijing Man?”, Current Anthropology V. 26-4, 1985, pp. 413∼442. 이 주장과 함께 모든 뼈의 변형이 사람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아마도 하이에나 등의 동물에 의해서 뼈가 반입되기도 하고 변형되기도 하였다고 보고 있다.

확대보기
<그림 2>중국 전기 구석기
<그림 2>중국 전기 구석기
팝업창 닫기

 요령성의 金牛山유적은 주구점유적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되는 유적인데 드러난 절대연대는 하부층이 우라늄법에 의해서 약 27만년 전후로 밝혀지고 있다.253)北京大學考古系,≪金牛山發掘和意義≫(1985). 이 유적의 하부층에서는 중부 홍적세에 속하는 동물뼈들과 함께 몸 전체를 복원할 수 있는 고인류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고인류의 화석은 현생인류, 즉 호모 사피엔스의 초기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보는 경우가 우세하다.254)Klein, R. G., The Human Carrier, Chicago, 1989. 이 고인류화석이 기본적인 퇴적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 생긴 공간을 메워 가는 과정에서 퇴적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학자들이 있어서 그 연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소수의 석영암제 석기들이 발견되었는데 형태적으로 별다른 특징이 없으며 주구점석기와 마찬가지로 즉시적인 성격을 가진, 즉 정형적인 가공이 없이 일시적 성격을 보이는 석기들이다. 요령성에서는 금우산 이외에 廟后山유적에서도 연대가 오르는 것으로 보이는 석기군이 나타났는데 금우산보다도 훨씬 더 많은 양의 석기가 발견되어 요동지방의 석기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확대보기
<그림 3>중국 전기 구석기
<그림 3>중국 전기 구석기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그림 4>중국 전기 구석기
<그림 4>중국 전기 구석기
팝업창 닫기

 남방지역에서는 광서의 百色유적에서 다량의 주먹도끼들이 발견되었다. 주먹도끼는 강돌을 박리작업으로 큼직하게 만들어진 양면가공석기이다. 이 석기들은 강의 단구면의 상부 점토퇴적물에서 발견되었는데 연대에 대한 논란이 있다. 화산탄의 연대를 계산하여 약 70만년 전으로 보는 견해와 단구의 형성과정으로 상부 홍적세의 어느 시기로 보는 견해가 대립되어 있다. 귀주의 觀音洞유적은 남방 전기 구석기의 대표적 지점으로 석회석 등의 박편을 가공하여 긁개날을 만든 것이 많은데 상부층에서는 소형의 첨두기들도 나타난다. 이 유적은 중국 남서부지역 석기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주장되고 있다.255)吳汝康·吳新智·張森水, 앞의 책. 이외에 호북성의 石龍頭도 20만년 전 전후에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 구석기문화의 특징으로 본다면 석기들이 전반적으로 불규칙하며 정형성이 적고 가공이 극히 제한되게 나타나고 있으며, 기본적인 기능만을 가지면 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가공으로 석기제작을 하였다는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며,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은 모비우스 이래의 서구의 구석기학자들이 동아시아구석기문화를 보는 견해와도 통하는 바 있다. 이러한 점에서는 중국의 구석기공작의 연대가 훨씬 앞서는 것이지만 전반적으로 중국과 한반도의 전기에 속하는 구석기공작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요소라고 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