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선 철로, 1백년 만에 철거
아소 일본 외상,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 삼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뿐이라며 신경 쓸 필요 없다고 발언
부시 미국 대통령, 주한 미국 대사 통해 여중생 사망 사건 사과
북한, 개성 공단 경제 특구 지정
국어학자 이희승(1896~1989) 사망
홍수환, 카라스키아에 역전 KO승, 세계 권투 협회 주니어 페더급 타이틀 획득
윤보선·백낙준·유진오·이희승·김영삼·함석헌 등 71명, 민주 회복 국민 회의 발족
청계 피복 상가 등 종업원 5백여 명, 청계 피복 노동 조합 결성
재일 동포 북송 종료, 5년 동안에 2만 명
조선 미술 협회, 제1회 미술 전람회 개최
조선 독립을 보장하는 〈카이로 선언〉 발표
최초의 기자 단체 무명회 창립
전 참판 홍만식(1842~1905), 을사늑약 반발 자결 순국
세브란스 병원 기공
황성 기독교 청년회 YMCA, 서울에 개설
[음] 성균관 유생들이 권당하니 대사성 윤병렬을 파직함
[음] 난언으로 인심을 선동한 죄인을 효수하게 함
[음] 신의 왕후(태조 비) 탄강 터에 비석을 세우게 함
[음] 새로 인출한 선조의 지장을 친히 받아 나누어 줌
[음] 함흥부에 화재로 민가 400여 호가 연소됨
[음] 궁중용 자기를 일반에서 사용하지 않게 함
[음] 영우원 옛 터에 배봉진을 설치함
[음] 제주의 기근을 진휼하도록 정조 모곡 8,000석을 내림
[음] 용호영의 도시(都試)를 폐지한 것에 대해 조사하게 함
[음] 태복시 말안장에 구슬 다는 것을 금함
[음] 화협 옹주 죽음
[음] 귀인 이씨를 영빈으로 봉함
[음] 수어청 군보의 보액을 감축함
[음] 심정이 김근사·권예 등의 탄핵을 받아 유배됨
[음] 장악서를 악학도감에 속하게 함
[음] 유구국 문자를 해독하는 자를 사역원 훈도(訓導)로 임명하게 함
[음] 우마의 도살을 엄격히 금지시킴
[음] 각 고을의 신명색을 혁파함
[음] 조사의의 난이 평정됨
[음] 부녀들의 궁궐 출입을 제한함
[음] 왜구가 영주 등지의 조운선을 약탈함
[음] 일본 정벌군이 많은 전사자를 내고 돌아옴
[음] 왕이 나례에 희생 대신 토우를 사용하라는 조서를 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