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검색
38
  • 2007

    서울 중앙 지방 검찰청, BBK 주가 조작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경준 구속

  • 2005

    유엔 총회, 〈북한 인권 결의안〉 채택

  • 2000

    북한 조선 중앙 텔레비전, 사상 최초로 EBS 제작 호랑이 관련 다큐멘터리 방송

  • 1999

    탈북 난민 보호 유엔 청원 운동 본부, 중국 체류 탈북자 10만~20만 명 추산·국제적 지원 호소

  • 1998

    금강산 관광 유람선 현대 금강호, 동해항서 북한 장전항으로 첫 출항(승객 1,418명)

  • 1985

    서울시 지하철 공사, 지하철 건설 총 투자비 2조 4,324억 원의 77%인 1조 8,819억 원이 부채성 자금이라고 국회 보고

  • 1982

    일본 정부, 역사 교과서 왜곡 일부 시정, 계속 검토 통보

  • 1978

    800만 원 짜리 밍크코트·300만 원 짜리 손목시계 등 자기 과시용 사치 극성

  • 1970

    고 전태일 노동 단체장 엄수·장례식 후 평화시장 노동자들, 중앙청과 국회의사당 앞에서 항의 시위

  • 1958

    자유당, 〈국가보안법 개정안〉 국회 제출, 국가보안법 파동 시작

  • 1957

    대한적십자사, 납북 인사 337명 명단 발표

  • 1949

    노진설 감찰위원장, 공무원의 요정 출입 근신 촉구

  • 1944

    〈노무 조정령〉·〈국민 근로 보국 협력령〉 공포(11.25. 시행)

  • 1932

    한인애국단원 윤봉길, 상해에서 일본으로 호송

  • 1925

    노동청년회, 경성 인공 동맹(京城印工同盟) 창립

  • 1905

    군중들이 대한문에 쇄도하여 을사늑약 파기 요구

  • 1882

    [음] 통리 내무 아문 신설

  • 1849

    [음] 전계 대원군과 은언군을 제사 지냄

  • 1834

    [음] 헌종이 즉위하고 왕대비(순원 왕후)가 수렴청정을 함

  • 1805

    [음] 강계부의 국경을 넘은 죄인을 엄중히 조사하게 함

  • 1779

    [음] 호조 판서가 세곡의 미납이 잦자 수운판관의 폐지를 상소함

  • 1778

    [음] 영종 대왕의 행록을 어제하여 내림

  • 1747

    [음] 강원도 고성에서 화재로 민가 100여 호가 연소되고 사람과 가축도 불에 타 죽음

  • 1747

    [음] 불에 타다 남은 《승정원일기》를 설청하여 개수하게 함

  • 1693

    [음] 울릉도에 일본인의 출입을 단속함

  • 1618

    [음] 관왕묘 비각을 보수하게 함

  • 1595

    [음] 누르하치에게 국경을 넘지 말라는 답서를 보냄

  • 1589

    [음] 황윤길·김성일이 일본 통신사로, 허성이 서장관으로 임명됨

  • 1565

    [음] 이이가 사간원 정언이 됨

  • 1565

    [음] 윤원형이 강음에서 첩 정난정의 죽음을 보고 분울해 하다가 죽음

  • 1524

    [음] 남곤·이항 등의 탄핵을 받고 김안로가 풍덕군으로 유배됨

  • 1516

    [음] 노산(단종)과 폐주(연산군)의 후손을 세우게 함

  • 1515

    [음] 중전 후보자 4명의 팔자를 점치게 함

  • 1479

    [음] 여진 토벌을 위해 서정군이 출발함

  • 1472

    [음] 경관의 인사 규정을 개정함

  • 1443

    [음] 일본이 《대장경》을 요청함

  • 1424

    [음] 악기도감에서 여러 악기를 만듦

  • 1076

    [음] 동짓날을 맞아 어획과 사냥을 금지시킴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