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이전 반대 시민 연합(대표 최상철 서울대 교수) 회원 222명, 〈행정 도시 특별법〉 헌법 소원 청구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6·15 공동 선언〉 발표
남북한 해군 함정, 서해상에서 교전(제1차 연평 해전), 북한 어뢰정 1정 침몰·북측 사망 17명(추정)·남측 7명 부상
서울 고등 법원, 회식 중 사망도 업무상 재해 인정 판결
3당 합당 반대한 통일민주당 의원들, 민주당 정식 출범. 이기택, 창당 준비 위원장 총재 선출
서울 지역 교사 8백여 명, 서울대학교에서 전국 교직원 노동 조합 서울 지부 기습 결성
소장 법관 102명, 대법원 전면 개편을 요구하는 〈새로운 대법원 구성에 즈음한 우리의 견해〉라는 성명 발표
서울 동아공업사 공원 13명, 직업병으로 전신 마비
학생 시위가 나흘째 이어지면서 고교생 1만여 명 거리 시위
국회 본회의, 〈내각책임제 개헌안〉 통과
정부·대한청년단 연석 회의, 대한청년단의 정부 건설 사업 인수 결의
각 가정에 수번제(輸番制) 송전 실시
남조선 경비 사관 학교, 조선 경비 사관 학교로 개칭
서울 시내 택시 요금, 3km 40원, 초과 km당 12원
〈조선신문〉·〈매일신보〉·〈조선일보〉·〈동아일보〉 등 6대 신문, 배영 국민 대회(排英國民大會) 개최
황해도 안악군 동화농장 소작 쟁의 6년 만에 협상 타결
전선 공직자 연합 간담회, 갑자구락부 조직, 일선인(日鮮人) 융화 정치 운동
〈경학원 규정〉 공포, 성균관 폐지
일본, 소네 아라스케(曾禰荒助)를 제2대 조선 통감으로 임명
[음] 군국기무처 설치, 갑오 개혁 시작
[음] 월식이 일어남
[음] 제주에 표류한 유구국(琉球國) 사람을 북경으로 호송함
[음] 황해도 신천·재령·안악·곡산에서 홍수로 민가 165호 유실
[음] 새 궁방(宮房)의 전결(田結)을 정하지 말게 함
[음] 각 도의 큰 고을에 계성사(啓聖祠, 공자·안자·자사·맹자·증자의 아버지를 모신 사당)를 건립하게 함
[음] 월식이 있고 달무리가 섬
[음] 병조에서 양정 사핵 절목(良丁査覈節目)을 올림
[음] 황해도에 홍수로 사망자 29명 발생
[음] 우의정 정유성(鄭維城)이 고부 정사(告訃正使)가 되어 중국으로 떠남
[윤] 황해·평안도의 노비 신공(奴婢身貢)을 통계함
[음] 명나라가 사신을 보내 임해군(臨海君)의 후사 적합 여부를 조사하고자 함
[음] 왜군이 평양을 점령함
[음] 남계 서원(濫溪書院)에 편액을 내림
[음] 실록을 다시 정비하게 함
[윤] 김극성(金克成)이 좌찬성, 윤은보(尹殷輔)가 우찬성이 됨
[음] 이계맹(李繼孟)이 좌찬성이 됨
[음] 전 홍문관 수찬 박은(朴誾)이 처형됨(갑자사화)
[음] 노공필(盧公弼)이 예조 판서가 됨
[음] 평안도에 수해 발생
[음] 한확(韓確)이 이조 판서가 됨
[음] 내약방(內藥房)을 내의원(內醫院)으로 고침
[음] 경흥군(慶興郡)을 도호부로 승격시킴
[윤] 공법을 연구하기 위해 공법 상정소(貢法詳定所)를 설치함
[음] 살리타이가 고려 사신들을 구금함
[음] 동진국을 정탐하던 전 별장 예작이 처형됨
[음] 개경·서경 군졸의 부역을 면제시킴
[음] 내부 문서를 추밀원에 보관시킴
[음] 후백제 장군 공직이 투항해 옴
[음] 태조가 즉위하여 국호를 고려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