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검색
35
  • 2007

    김용철 변호사, 삼성그룹이 비자금으로 수백억 원대의 미술품 구입 폭로

  • 2003

    은행 연합회, 신용 불량자가 사상 최대인 359만 6,168명이라고 발표

  • 2002

    주한 미군, 여중생 사망 사건 가해자 미군 병사 무죄 판결은 공정한 재판에 따른 것이라고 성명

  • 2001

    국가 인권 위원회, 공식 출범 첫날 방문 65건을 포함한 122건 진정서 접수

  • 2001

    부시 미국 대통령, 북한에 대량 파괴 무기 개발·확산 중단 경고

  • 1986

    국방·건설·문공·국토통일원 장관, 북한 금강산댐 축조에 평화의 댐 건설 발표

  • 1980

    과외 중고생 47명 무기 정학·과외 교사 7명 구속·학부모 24명 직장 해고

  • 1979

    계엄 사령부, 함석헌 등 96명을 YWCA 결혼식 위장 시국 집회와 관련하여 포고령 위반으로 검거 조사

  • 1968

    국회 본회의, 〈국민 교육 헌장〉 채택

  • 1963

    제6대 국회의원 총선거 시행, 투표율 69.8%

  • 1962

    박정희 최고 회의 의장, 김종필 정보부장의 방일로 많은 의견 접근했으며 청구권은 큰 문제 안된다고 언명

  • 1945

    경성 시립 도서관(현 남산 도서관) 개관

  • 1935

    길선주(1869~1935) 목사 사망

  • 1922

    김정상·홍대권·강호준 등, 조선 학생회 창립(조선 학생 대회 후신)

  • 1905

    조병세·이근명 등, 대한문 앞에서 복합하여 을사늑약 파기 주장

  • 1904

    원직·나유석 등 보부상 규합, 진명회(공진회 전신) 조직

  • 1784

    [음] 비변사에서 북관의 교제창 절목을 올림

  • 1773

    [음] 혼기가 지난 자들의 혼수를 보조하게 함

  • 1755

    [음] 《천의소감》을 완성함

  • 1727

    [음] 선혜청에서 국고 고갈로 삼남·경기 감영의 관수(官需)를 감하기를 청함

  • 1725

    [음] 금오도에 백성들이 들어가 경작하도록 함

  • 1724

    [음] 신임사화를 일으킨 소론의 주동자를 축출하라는 상소를 올린 이의연을 국문함

  • 1671

    [음] 충청도 아산에 해일로 민가 100여 호 침수됨

  • 1666

    [음] 사학 유생 등이 이이와 성혼의 문묘 종사를 요구함

  • 1641

    [음] 국경을 넘어 삼을 캔 자들을 처형함

  • 1552

    [음] 왜인 접대 문제를 논의함

  • 1549

    [음] 생원·진사 등이 시관(試官)을 위하여 베푸는 은문연(恩門宴)을 혁파함

  • 1534

    [음] 관리의 조복을 중국 제도에 따라 개정하게 함

  • 1482

    [음] 영돈령 이상과 지변사재상을 불러 영안도의 여진 대책을 의논함

  • 1478

    [음] 하동 부원군 정인지 죽음

  • 1418

    [음] 강상인·박습 등이 처형됨

  • 1392

    [음] 조선 개국 공신 배극렴 죽음

  • 1371

    [음] 명에 육로 개방을 요청함

  • 1102

    [음] 동여진에 은그릇 제조 장인을 보냄

  • 1047

    [음] 패서와 산남도 지역의 관원 수를 본래대로 되돌림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