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이사국으로 진출
예금 보험 공사, 부실 채무 기업 조사 결과 김우중 은닉 재산이 1천 4백억 원에 이른다고 확인
대우자동차, 최종 부도
횡령 등 혐의 박태준 전 포항제철 회장, 건강상 이유로 불구속 기소
노동부, 1992년부터 총액 임금제·시간제 근로제 도입 발표
김대중·문익환 등 재야 인사 15명, 가택 연금 조치
김동조 외무부 장관, 반정부 데모 가담 주한 외국인 성직자의 국외 추방령 경고
주한 미군 사령부, 여수·순천 10·19 사건 진압에 미군은 개입하지 않았다는 성명 발표
사할린 천도(千島) 재류 동포 구출 위원회 결성
경찰관 대검(帶劍) 제도 폐지. 경찰봉 휴대 제도 실시
대학·전문학교·고보에 일제히 징집 영장 발급
압록강 수풍 저수지 완공
대한인 국민회, 샌프란시스코에 중앙 총회 설립
〈변호사법〉 제정
[음] 유생 8,000인이 서얼의 관직 진출 허용을 상소함
[음] 춘당대에 나아가 문·무과 정시를 행함
[음] 청 황제의 승하와 새 황제의 즉위를 알리는 칙사가 옴
[음] 토역 정시를 실시하여 문과에 3인, 무과에 11인을 선발함
[음] 김인후를 문묘에 배향하는 의식을 행함
[음] 서학 죄인 이승훈을 삭직하고 권일신을 위리안치 함
[음] 서학으로 인해 제례를 행하지 않은 윤지충과 권상연을 사형에 처함
[음] 장파에 진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 논의함
[음] 태학 유생 등이 청에서 금불상 받은 것을 비난함
[음] 인재의 천거를 하교함
[음] 소실되었던 인정문을 중건함
[음] 이의연이 반교문 글자를 날조한 일로 김일경이 사직을 청함
[음] 《숙종실록》을 편찬하게 함
[음] 지패법이 실시됨
[음] 전라·황해도에 도적들이 횡행함
[음] 연산군 사망(31세)
[음] 자수궁·수성궁 근처 민가를 헐게 함
[음] 숙의 윤씨가 왕비가 됨
[음] 권학절목을 제정함
[음] 언문청을 설치함
[음] 상호군 박순이 함주에 갔다가 조사의의 반란군에게 피살됨
[음] 왕이 백악의 신궁으로 거처를 옮김
[음] 상왕을 덕릉에 안장함
[음] 우산국에 농기구를 하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