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검색
39
  • 2005

    현대아산·북한, 금강산 관광 정상화에 최종 합의

  • 2002

    첫 개인 워크아웃 신청

  • 1999

    농림부, 미국산 쇠고기 절반 가량 O-157 감염 가능성 보도에 수입 쇠고기 검역 강화 조치

  • 1992

    울산대 의대 서울 중앙 병원, 뇌사자 심장의 여자 환자 이식 수술 첫 시행

  • 1991

    남북 고위급 회담 실무 대표,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합의 실패

  • 1983

    재무부, 10대 재벌이 총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었다고 국회 보고

  • 1977

    익산역 화약 수송 열차 폭발, 사망 59명·1158명 부상·1647세대 이재민

  • 1974

    통일당, 대통령 긴급 조치권 삭제와 통일 주체 국민 회의 해체 등 개헌안 성안. 김철·안필수 등 간부 20여 명, 당사에서 단식 농성 돌입

  • 1961

    박정희 최고 회의 의장·이케다 일본 수상, 재산 청구권 및 평화선 문제 회담

  • 1958

    민주당 의원 총회, <국가보안법> 개정 시행 강행시 당 소속 전의원 총사퇴 결의

  • 1954

    한국전 참전 16개국, 유엔 사무처장에게 〈제네바 회의 경위 보고서〉 제출

  • 1949

    경상남도 지역 좌익 지도자 박용선·윤일·노백용·박일형 등, 국민 보도 연맹에 가입

  • 1946

    전주 형무소 죄수 400명 탈주

  • 1922

    안창남, 도쿄∼오사카 간 장거리 비행에 성공

  • 1920

    동아일보 기자 장덕준, 혼춘 사건 취재 중 간도 용정에서 일군에 피살

  • 1885

    [음] 〈한일 해저 전선 조관 속약〉 조인, 서울∼부산 간 전선 가설

  • 1865

    [음] 러시아인 수십 명, 경흥부에 와서 통상 요구

  • 1849

    [음] 전계 대원군 내외의 신주와 제물을 봉상시에서 올림

  • 1810

    [음] 예조에서 통신 재판 차왜의 강정 절목 및 통신사의 응행 사건을 아룀

  • 1781

    [음] 영의정 서명선이 서북의 무변을 수용하는 방법을 아룀

  • 1769

    [음] 특별히 정관(政官)을 불러 친정을 행함

  • 1769

    [음] 유형원의 《반계수록》을 간행함

  • 1740

    [음] 지평 이구령, 정언 윤경주, 교리 이창의 등이 삼사의 합계를 정지함

  • 1724

    [음] 소론인 김일경을 절도에 안치함

  • 1667

    [음] 창덕궁 집상전을 짓도록 명함

  • 1622

    [음] 철산 부사가 모문룡의 가도 입도를 보고함

  • 1621

    [음] 집이 흔들릴 정도의 지진이 일어남

  • 1600

    [음] 명나라 통판(通判) 도양성(陶良性)이 국방 강화책을 건의함

  • 1519

    [음] 정국공신 70여 명의 위훈을 삭제함

  • 1513

    [음] 추쇄도감(推刷都監)을 설치함

  • 1480

    [음] 광산 부원군 김국광 죽음

  • 1415

    [음] 각 품 노비의 수를 정함

  • 1413

    [음] 향교의 노비 수를 정함

  • 1400

    [음] 정종이 이방원에게 전위하여 태종이 즉위함

  • 1395

    [음] 명에 국왕의 고명과 조선국의 인장을 청함

  • 1290

    [음] 태조의 소상을 강화로 옮김

  • 1280

    [음] 원 중서성에 공문 격식 등과 관련된 공문을 보냄

  • 1149

    [음] 팔관회를 열고 왕이 법왕사에 행차함

  • 1010

    [음] 강조가 요의 아율적로에게 사로잡힘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