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일찍이 발굴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진 지역이다. 뾰족밑빗살무늬토기를 특징으로 하는 유적들은 북으로는 대동강 하류와 인접한 해안지역에 밀집·분포하고 있고, 남으로는 한강 및 인접도서와 충남·전북해안지역까지의 넓은 지역에 걸쳐 유적이 발견되었다. 특히 대동강 하류 및 한강유역의 유적발굴에는 여러 기의 주거지가 중첩되어 있는 것이 많아서 장기간에 걸쳐 취락이 형성되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큰 강을 낀 유적들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정착생활을 영위하였음을 반영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서해안 도서지역에 있어서는 시도패총·별망패총 및 오이도패총의 발굴로 그 성격이 어느 정도 밝혀졌다. 대동강 하류나 한강유역과 비교한다면 장기간 점유된 유적이 적은 편이다. 도서라고 하는 특수한 자연조건 때문에 서해안 도서지역은 신석기시대의 사람들이 장기간 거주하기에는 안정적인 식량공급을 넉넉히 받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북지역은 신석기문화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군산 앞바다가 매립되어 공단으로 조성되게 됨에 따라, 파괴에 직면한 여러 섬들의 신석기시대의 패총들이 조사되었는데,417)群山大博物館,≪群山市의 文化遺蹟≫(1995).
忠南大博物館,≪群山 駕島 A貝塚發掘調査略報告≫(1994). 이들 패총유적에서는 남해안 전기에 속하는 압인문토기계열의 토기들과 서해안 빗살무늬토기들과 연결되는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