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Ⅱ. 신석기문화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라. 동해안지역

라. 동해안지역

 동해안지역에서 발견조사된 신석기유적은 다른 지역에 비해 그 수가 매우 적은 편이며, 정식으로 발굴이 실시된 유적은 양양의 오산리유적418)임효재·권학수,≪오산리유적≫Ⅰ(서울大 博物館, 1984).
김원용·임효재·권학수,≪오산리유적≫Ⅱ(서울大 博物館, 1985).
임효재·이준정,≪오산리유적≫Ⅲ(서울大 博物館, 1988).
과 지경리유적,419)白弘基,<東海岸 先史文化의 特性>(≪韓·日 先史文化의 交流와 襄陽 鰲山里遺蹟 新石器文化≫, 한국신석기연구회발표요지, 1995). 그리고 최근에 발굴한 가평리유적420)윤근일,<양양 가평리 신석기유적에 대하여>(≪동아시아에 있어서 양양 오산리 신석기문화의 위치≫, 양양문화원·한국신석기연구회, 1996), 29∼56쪽. 정도이다. 오산리유적 상층에서는 서해안 뾰족밑빗살무늬토기가, 하층에서는 납직밑토기류가 출토되어 층서에 의한 편년설정에 중요한 단서가 제시되었다. 또한 오산리 하층의 방사성탄소연대가 B.C.6,000∼5,000년으로 나와 우리 나라 신석기시대의 상한연대가 종래 생각했던 것보다 2,000년 이상 상회함은 물론, 기원전 6,000∼5,000년에 아가리부분에만 무늬를 새긴 납작밑토기 사용인들이 한반도 동해안과 중국 동북부지역 및 연해주 일대에 살면서 수렵·어로·채집 등 기술의 개선을 통해 독자적이고 자생적인 신석기문화를 정착시켰을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최근 발굴된 양양 가평리유적이나 지경리유적은 오산리 상층문화와 동일한 시기에 형성된 유적인데, 이 시기의 유적은 동해안을 따라 양양과 강릉 주변에 밀집·분포되어 있고421)지헌병,≪강원도지방의 선사문화연구≫Ⅰ(강원대 박물관, 1990). 북으로는 함경남도 성진에서도 출토된 바 있다. 또한 오산리 상층의 뾰족밑빗살무늬토기는 남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토기와도 유사한 문양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동해안을 따라 오산리 상층과 같은 뾰족밑토기문화가 널리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동해안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 신석기유적들은 해안가에 형성된 석호 주변에 위치한 것들이 많아 이들의 생계양식이 석호와 주변 산간지역에 의존한 채집·어로생활이었다는 것을 판단케 해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