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토석실분의 기원은 벽화고분의 기원과 함께 밝혀지고 있다. 그것은 기원을 밝힐 수 있는 자료가 벽화고분에서 많이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벽화고분의 기원문제는 두 가지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하나는 횡혈식 석실분의 기원이고, 다른 하나는 벽화고분의 기원이다. 전자는 가족 合葬을 실현하기 위한 묘실의 확장과 관계가 있고, 묘실 확장을 위하여서는 묘실의 天井架構 기술의 발전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이 기술이 중국의 漢代에 발전되었다. 따라서 고구려에는 요동지방에 들어와 있던 漢의 전축분 구조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여진다. 이 시기가 대체로 3세기경으로 추정되고 있다.518)李殿福, 앞의 글, 176쪽. 후자에 대하여서는 집안의 萬寶汀 1,368호가 발견되기까지는 375년의 묵서명이 있는 安岳 3호분이 始原 양식으로 추정되어 왔으나,519)金元龍,<高句麗 壁畵古墳의 起源에 대한 硏究>(≪震檀學報≫21, 1960). 현재는 대체로 3세기경의 만보정 1,368호분의 벽화가 가장 오래된 벽화로 추정되고 있다. 이 고분은 ‘ㄱ’자형의 단실묘로서 천정구조가 궁륭식 또는 四阿式으로 塼築墳을 모방한 데다가 벽화 내용에 목조건물의 간단한 枓拱 양식과 石製 부뚜막 등이 초기의 양식이란 점에서 고구려 최고의 벽화로 추정되고 있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