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Ⅳ. 문학과 예술
  • 7. 고분
  • 4) 가야고분
  • (1) 토광묘
  • 다. 토광묘의 성격

다. 토광묘의 성격

 낙동강하류 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이들 토광묘는 축조 연대상으로 볼 때,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양동리 70호분은 가야의 전단계로서 초기철기시대로, 다음의 다호리와 양동리의 대부분의 토광목관묘는 早期 가야단계로, 대성동의 대형 목곽묘는 3세기 후반∼4세기 중엽대의 가야 전기의 묘제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기원직후에 이미 가야국을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출토 유물상으로 본다면, 조기가야단계에 한경과 그 방제품이 섞여 있는 점으로 미루어 낙랑·대방 등 漢系세력과 무역 등의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짐작하게 한다.597)林孝澤, 앞의 책.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