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Ⅳ. 문학과 예술
  • 9. 무용·체육
  • 2) 체육
  • (2) 놀이
  • 나. 씨름

나. 씨름

 씨름의 기원을 농경시대부터의 제례행사의 하나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669)申宋浩,≪朝鮮思想史≫(鐘路書院, 1947), 54쪽. 확실하지는 않다. 이 시대의 씨름에 관한 자료로는 고구려의 角抵塚 현실의 벽화를 들 수 있다.

 <그림 6>은 큰 나무 아래에서 샅바만을 걸친 두 선수가 머리를 마주하고 힘을 쓰고 있는 그림이다. 한 사람은 어깨에 힘을 잔뜩 넣고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으며 상대편은 위로 향해 입을 약간 벌려 거친 숨을 내뱉고 있는 듯하다. 웅장한 체구의 두 선수의 모습이 약동하는 듯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두 선수 옆에 지팡이에 몸을 의지하고 두 사람을 주시하고 있는 백발수염의 노인은 심판관인 듯하다.

확대보기
<그림 6>씨름도(각저총 현실 벽화)
<그림 6>씨름도(각저총 현실 벽화)
팝업창 닫기

 벽화고분의 이 자료 이외에 삼국시대의 씨름을 언급한 문헌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씨름은 삼국시대로부터 오늘날까지 우리 민족이 즐겨하는 전통스포츠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