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대
  • 08권  삼국의 문화
  • Ⅵ.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2) 고구려의 의생활
  • (1) 관모
  • 나. 절풍(변·소골)

나. 절풍(변·소골)

 折風은 중국의 기록에 의하면 그 형태가 弁과 같다 하였다. 우리 말로는 변을「곳갈」또는「고깔」이라고도 하는데「곳」은 즉 尖角을 말하고「갈」은 즉 관모를 의미하여 정상이 뾰죽한 관모라는 뜻이며, 이것은 중국의 변의 형상과 대개 일치하는 것으로, 그 유사점을 閻立本筆 帝王圖 隋煬帝像에서의 변,≪三才圖會≫에서의 皮弁 및 武弁의 그림에서 찾아볼 수 있다.

 ≪周書≫와≪北史≫에서 보면 蘇骨이라는 것이 있다.≪주서≫異域 高麗條에 의하면 소골은 丈夫 즉 일반 남자의 冠으로 흔히 紫羅를 가지고 만들었고, 官品을 가진 자는 여기에 2개의 鳥羽를 삽식하여 관품이 없는 자와 구별을 하였다 하였으며,744)≪周書≫권 49, 列傳 41, 異域 上, 高麗.≪북사≫열전 고구려조에는 折風은 특수계급의 관모가 아닌데 士人은 여기에 2개의 조우를 꽂았고 貴子는 자라를 흔히 사용하여 그 관을 소골이라 불렀다고 되어 있다. 이로 볼 때 소골의 형태가 절풍과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변-절풍-소골의 형태는 고분벽화나 유물에서 찾아보면 쌍영총·무용총·감신총 등에 묘사된 인물의 관모에는 弁狀의 관모가 있고 그 위에 鳥羽를 삽식한 것이 있다.745)柳喜卿, 1989, 앞의 책, 56쪽. 또한 근래 각지에서 출토된 白樺皮製의 변상관모도 이와 동일한 형태의 관모라고 추측된다. 양산 부부총에서 나온 華皮冠帽를 보면 그 형태가 금관의 내관과 같아 대체로 烏帽子型으로 되어 있고 정면에는 은제의 矢羽形 前立飾이 삽식되어 있어 벽화에서 보이는 折風弁과 같은 계통의 형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