鳥羽冠은 관모에 鳥羽를 삽식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절풍·皮冠·羅冠 등의 관모 좌우에 2개의 조우를 꽂아 貴賤을 가렸다고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상에 2개의 조우를 꽂고 있는 관모의 모습은 여기 저기 보이고 있는데 그 전형적인 것은 雙楹塚 羨道 東西壁의 人物圖像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쌍영총 主室 左右壁의 여러 騎馬人物의 관모에서는 2개의 조우 대신 多數의 鳥尾를 장식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조미를 修飾으로 삼았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으나 이러한 조우와 조미의 혼용은 다른 곳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조우가 金屬化된 수식으로 나타나는 것은 鎧馬塚 玄室 左方 寅方에 그려진 인물의 관모에서 볼 수 있는데, 이는 수식의 발달을 보여주는 것으로 남쪽에서 출토된 금속제 관모와 상통되는 성격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鳥羽飾의 풍속은 백제·신라에서도 보인다.≪北史≫列傳,≪周書≫異域 百濟條에 의하면, 백제에서는 朝拜나 祭祀지낼 때 加翅한 관모 즉 조우를 삽식한 관모를 착용하였다 하며, 신라에 있어서는 金冠塚의 금관과 부부총의 金銅冠 內冠 앞부분에 수식된 翼狀의 金具가 있고 이와 동시에 출토된 樺皮製 관모에서도 金屬製 前立飾이 보이고 있어 鳥羽冠帽의 존재를 알려주고 있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