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1. 몽고 침입에 대한 항쟁
  • 3) 몽고의 침략에 대한 항전
  • (1) 살례탑군에 대한 항전
  • 다. 충주의 노비와 잡류의 항전

다. 충주의 노비와 잡류의 항전

 고종 19년(1232) 8월, 침략을 개시하였던 몽고군은 같은 해 12월 초하루에 개경 부근에 도달, 고려정부를 압박하였다. 이로써 여·몽간의 화의가 진행되는 동 12월 6일자≪고려사≫의 기록에는 적군이 충청도 방면으로 내려간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 몽고군의 별동대는 먼저 한강을 건너 광주를 포위하였으나 광주민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2월 초, 침략군이 개경을 포위하여 그 일부가 남하를 계속, 충주에 이르렀을 때 충주성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별초군이 조직되었다. 그 조직과 항전의 경과에 대한 기록을 그대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이보다 앞서 충추부사 于宗柱가 매양 문서의 처리에 있어 (判官) 庾洪翼과 틈이 있더니 몽고군이 곧 이를 것이라는 소문을 듣고 성을 지킬 것을 의논하는데 의견이 같지 않았다. 우종주는 양반별초를, 유홍익은 奴軍·雜類別抄를 거느리고 서로 시기하더니 몽고군이 들이닥치자 종주·홍익과 양반들은 다 성을 버리고 달아나 오직 노군과 잡류만이 협력하여 쳐서 물리쳤다(≪高麗史節要≫권 16, 고종 19년 정월).

 충주성싸움은 고종 18년 2월의 일로 성의 방어를 위하여 주의 관리가 중심이 되어 별초군이란 방어군을 편성하였던 사실을 말해준다. 별초군은 양반별초, 노군·잡류별초라는 신분별 편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노군은 아마 관청에서 사역하는 공노비를 주축으로 이들을 임시 무장시킨 것으로 생각되며 잡류란 관청에서 기술잡역에 종사하거나 관인을 시종하는 일종의 잡역인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막상 몽고군이 박두해 왔을 때 이들의 지휘관인 관리들과 양반별초들은 모두 성을 버리고 도망가 실제 전투에 참여하여 성을 방어한 것은 노군·잡류별초였다는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도망했던 지휘관과 양반들이 몽고군 철수 후 돌아와 적이 약탈해간 물건에 대한 책임을 씌워 노비를 죽이려 하였으므로 이 때문에 대대적인 반란이 그 후 일어나기까지 하였다.265) 忠州官奴들의 봉기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이 참고된다.
孫弘烈,<忠州奴軍의 亂과 對蒙抗戰>(≪湖西文化硏究≫1, 忠北大, 1981).
尹龍爀,<高麗 對蒙抗爭期의 民亂에 대하여>(≪史叢≫30, 1986).

 충주는 고려의 항몽전쟁사상 치열한 전투를 가장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던 지역이다. 충주의 항몽전쟁은 몽고의 6차 침략에 이르기까지 계속되는데, 이는 충주민의 치열한 항쟁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충주가 가지는 전략적 위치가 몽고군을 계속적으로 끌어들이는 요인이 되었던 것 같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