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고려 시대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4. 홍건적과 왜구
  • 2) 왜구
  • (2) 왜구의 침구목적

(2) 왜구의 침구목적

 왜구의 침구목적에 대하여는 정치적 야심이나 문화적 욕구라는 견해도 있으나 경제적 목적이 가장 컸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당시의 일본 상황이 남북조의 혼란기였기 때문에 문물의 수입이라든지 정치적 야심보다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고 생활 필수품을 얻기 위해 침구했을 것이다.

 왜구는 고려 말에 해마다 여러 차례 침구해왔으나, 어떤 한 지방을 오랫동안 점거하여 그 곳에 정치적 조직을 만들거나 거점을 구축한 일이 없다. 이것은 임진왜란 당시 남해안 여러 지역에 倭城을 쌓은 것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왜구의 침구 목적이 경제적인 욕구 충족에 있었다면 약탈 대상은 무엇이었을까. 가장 중요한 대상은 米穀이었다. 따라서 미곡을 약탈하는 데 있어 주된 대상은 租穀을 운반하는 漕船과 양곡을 저장한 창고(특히 漕倉)였다.

 ≪고려사≫에 보이는 조선 약탈에 관한 몇가지 기사를 살펴보면, 공민왕 원년 2월에 왜적이 변방지방을 침략하여 백성들을 죽이고 주택에 불을 지르고 선박을 약탈하였다. 또 공민왕 10년 8월에는 왜적이 동래와 울주에 침입하여 불을 지르고 약탈하였으며 조운선을 빼앗아 갔다. 그리고 공민왕 13년 3월에는 전라도의 조운선이 왜적에 막히어 갈 수 없는 등 공민왕 때에만도 12회 이상 이러한 기록이 보인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왜구로 인하여 조운선이 약탈당하고 운항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특히 곡창지대인 서해안 일대 전라도의 조운선이 많은 습격을 당하였다. 왜구가 미곡을 약탈하기 위해 조운선을 습격한 것은 왜구들이 해상활동을 민첩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조운선을 발견하지 못하여 해상에서 약탈이 어려울 때에는 해안의 조창을 습격하여 미곡을 약탈하기도 하였다.≪고려사≫에 의하면, 공민왕 원년(1352) 3월에 喬桐 甲山倉에 불을 질렀으며, 공민왕 7년(1358) 4월에는 韓州와 鎭城倉에 침입하였다. 이에 전라도 鎭邊使 高用賢의 청에 따라 바닷가의 창고를 내륙지방으로 옮기기도 하였다. 그런데도 공민왕 21년 4월에는 왜적이 鎭溟倉까지 약탈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왜구들이 얼마나 심하게 쌀을 약탈하려 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와 같이 왜구들의 제일의 약탈 목표가 미곡이었다는 것은 당시의 일본 경제사정이 얼마나 어려웠는가를 반증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예컨대 왜구 근거지의 하나였던 대마도의 사정은 조선시대 尹趾院이 보고한 대마도에 관한 견문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자신이 일본에 사절로 갔을 때 日本通事에게 대마도는 오곡이 나지를 않는데 생계를 어떻게 꾸리는지를 묻자, 통사는 “자식을 기를 수가 없어 자식을 낳으면 바다에 던지기도 한다”고 대답하였다는602)幣原坦,<對馬問題>(≪朝鮮學報≫1, 1952), 2쪽. 것이다. 이것으로 고려 말의 일본사정이 얼마나 비참했는지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미곡을 약탈한 것은 당시의 일본사정과, 왜구들이 대개 갑옷을 입고 말을 타고 步卒을 거느린 점으로 보아 군사상의 보급에도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왜구의 약탈 대상은 사람이었다.≪고려사≫에 의하면, 공민왕 21년 10월에 왜구가 와서 백성을 잡아갔는데 이로 보면 왜구는 침입 초기부터 사람을 포로로 약탈했던 것이다. 또 많을 때는 강화에 침입하여 府使 金仁貴를 죽이고 1천여 명을 포로로 하기까지 하였다.603)≪高麗史≫권 114, 列傳 27, 羅世. 그러면 무엇때문에 왜구는 목숨을 걸고 많은 사람을 노략하는 비행을 감행했는가. 우선 포로는 노비로 삼아 값싼 노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었고, 노예로 팔기도 하며 적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송환하도록 하려는 이유에서 였다. 그 외에 군사상의 병력증가라는 이유도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노를 젓는 일이나 배의 잡역에 종사하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각종 의식과 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약탈해 갔는데 이와 같은 왜구의 약탈행위는 사람을 상품의 가치로 판단한 야만적이고 비인도적인 처사이었음이 분명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