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신문≫·≪황성신문≫·≪대한매일신보≫·≪만세보≫·≪경향신문≫·≪대한민보≫등은 일제의 한국침략에 적극적으로 저항하거나, 아니면 소극적으로나마 저항하고자 한 신문들이었다. 그러나 이 밖의≪국민신보≫·≪대한신문≫·≪大同日報≫·≪時事新聞≫등은 친일세력들에 의하여 일제의 국권침탈을 합리화하기 위한 여론형성을 목적으로 발행된 것들이었다. 실제로 1904년 8월 이후 한국인 명의로 발간되는 신문들은 일제의 언론규제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즉 그것은 8월 20일 주한일본군사령부에서≪황성신문≫과≪제국신문≫의 주무원을 불러 군사상 사항의 신문게재 금지와 신문의 사전검열을 통고하였기 때문이다.055)≪大韓每日申報≫, 1904년 8월 23일, 잡보<신문검열>. 사전검열은 1905년 2월 이후 警務顧問部가 개설되자 그 곳으로 이관되었다.
1906년 이후 창간된 신문들은 외형적으로 농상공부의 허가를 받아야 했지만, 실제로는 일제의 통감부와 경무고문부가 관여하였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1906년 이후 창간된 신문들은 그 대부분이 비록 종교신문이 아니라 일반신문이라 하더라도 종교기관이나 친일세력에 의하여 발행된 것들이었다. 1906년 1월 6일자로 창간된≪국민신보≫는 바로 친일세력인 일진회의 기관지였다. 일진회는 잘 알려진 대로 1904년 8월 일제가 한국침탈에 필요한 한국민의 여론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宋秉畯 등을 내세우고, 그 해 12월 東學의 조직인 進步會와 합동한 친일정치단체였다.≪국민신보≫가 일제의 여론조작에 필요한 언론기관으로 출발하였음은 자명하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