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6권  신문화운동 Ⅱ
  • Ⅲ. 근대 과학기술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4) 근대 산업기술
  • (2) 개항 이후 기계기술의 도입정책
  • 라. 기타 산업기계의 구입

라. 기타 산업기계의 구입

개항과 더불어 기계로 생산되는 값싼 洋布가 들어와서 국내 직물업에 영향을 끼치게 되자 정부는 織造局을 설립하였다.542)김영호,<한말 서양기술의 수용>(≪아세아연구≫, 11-3(통권 31), 1968). 이리하여 1885년 7월에는 상해에서 紗機(4대)를 구입하였으며, 9월에는 중국에서 수입한 織錦機械(32건)를 인천에서 서울로 올려 보냈으며, 1886년에는 두 차례에 걸쳐서 經絲를 1000兩씩 들여왔으며, 1888년에는 別遣官 崔錫永이 직조기계와 綿絲 약간을 상해 등지에서 구입하여 인천항에 들여왔다고 한다.543)당시 수입된 직기는 왕실의 수요를 채우기 위한 고급 직물을 짜는 직기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권태억,<한말·일제 초기 서울지방의 직물업>,≪韓國文化≫1, 1980, 147∼148쪽). 그러나 직조국은 1891년에 이르러 중국인 직공에 대한 월급 등의 문제로 운영이 벽에 부딪혀 가동이 중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544)권태억, 위의 글, 148쪽.

또한 근대식 인쇄기계는 朴泳孝가 건의하여 신설된 博文局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는데, 박문국은 근대식 인쇄시설을 갖추고 첫사업으로 1883년 10월 1일자로≪漢城旬報≫를 간행하였다.≪한성순보≫는 체재상 관보와 신문을 겸하였으며, 갑신정변으로 폐간되고 박문국도 폐국되었다. 1885년 박문국은 다시 복원되고 김윤식이 총재가 되어 1886년에 국한문 혼용체로≪漢城周報≫가 발간되었으나, 박문국이 다시 폐국(1887)되면서 폐간되었다.545)조기준,≪한국기업가사≫(1973, 박영사), 210∼211쪽.

이상과 같이 개항 이후 조선정부는 서양의 산업기계를 도입하여 식산흥업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들 기계를 가동시켜 운영할 자금·기술자·경영인 등이 준비되지 않아서 실패하고 말았다.546)조기준,≪한국자본주의성립사론≫(1973, 대왕사), 340쪽. 당시 도입된 산업기계들을 정리하면<표 1>과 같다.

연 도 도입된 기계류(도입기관)
1882(고종19) 手動式 銅冒(뇌관)제조기 및 銃·砲수리기구
1883(고종20) 銅冒제조기 및 小銃수리기구,
담배제조기계(捲烟局), 인쇄기계(博文局)
1885(고종22) 彈丸제조기계, 動力式 銅冒제조기, 造幣기계(壓印機·壓延機·壓寫機·
旋盤·裁斷機·穿孔機·彫刻機·自動秤量機·磨機械·壓搾機·汽機·汽罐 등
12종 19대)(典圜局), 인쇄기계(博文局)
1888(고종25) 방직기계(織造局), 채광기계(鑛務局)
1889(고종26) 工作機械(運動機械·蒸氣機關·小銃제조기계·鑽冗(drilling)機·粗砲機·
細砲機 등 6종 8대)
1891(고종28) 造紙기계(造紙局)

<표 1>개항 초기 도입된 근대식 산업용 기계류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