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46권  신문화운동 Ⅱ
  • Ⅲ. 근대 과학기술
  • 2. 근대 과학기술의 도입
  • 4) 근대 산업기술
  • (4) 1905년 이후 정미기술의 이식
  • 나. 정미기술의 수용

나. 정미기술의 수용

1890년대 이후 대한제국 정부는 황실재산을 바탕으로 정미소를 설립하여 근대의 정미기술을 일본으로부터 이식·수용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일본인의 기술과 경영에 의존하는 등의 근대화 의식이 부족했던 점과 1905년 일본의 방해로 성공하지 못하였다.581)조기준, 앞의 글(1965), 863∼864쪽. 그러나 1907년 이후 경강상인을 중심으로 원동기를 갖춘 정미공장이 등장함으로써 정미기술의 수용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당시 정미기술의 이식과 수용에 대한 노력은 조선인과 일본인의 정미공장에 고용된 조선인 직공들의 양적 증가를 나타내고 있는 다음의<표 8>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도/공장 조선인 정미공장 일본인 정미공장
공장수 조선인 직공 일본인 직공 공장수 조선인 직공 일본인 직공
1906 - - - 6 142 36
1907 1 33 1 16 280 219
1908 1 33 1 25 583 284
1909 - - 2 32 782 226
1910 6 59 0 41 914 338
1911 56 187 0 62 1406 375
1912 23 255 0 67 961 173
1913 30 267 0 89 1690 374
1914 62 632 4 85 3138 467
1915 70 813 2 99 5082 542

<표 8>1906∼1915년 조선인 및 일본인 정미공장의 직공수 변화

전거:≪조선총독부통계연보≫, 해당 연도.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인과 일본인 공장에 고용된 조선인 직공수는 1911년을 전환점으로 하여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 조선인 공장에 고용된 조선인 직공수는 1911년의 직공수가 1910년의 직공수에 비하여 대략 3배, 일본인 정미공장에 근무하는 조선인 직공수는 약 1.5배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증가는 한일합병 직후부터 정미공장에서 일하는 조선인 직공들이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써 정미기술에 대한 조선인들의 이해와 수용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경강상인들이 설립·운영한 정미공장은 조선 후기에 축적된 상업자본과 도정기술을 배경으로 경제적 개화운동의 자극에 의해 성립되었으며, 일본인 정미공장의 조선인 시장 침투로 인한 시장 상실의 위기 속에서 본격적으로 발흥하였다. 정미공장을 운영한 상업자본은 일본인 자본과 기술에 종속할 필요가 없었다.582)이헌창, 앞의 글(1984), 178∼179쪽. 이러한 점에서 민족자본으로 성장한 경강상인들과 일본인·조선인 정미공장에 고용된 조선인 직공들의 노력에 의해서 근대식 정미기술이 조선에 이식·수용되기 시작하였다고 이해할 수 있다.

대원군시기부터 시작된 서양의 근대 무기기술과 산업기계 기술을 도입·수용하려는 노력은 국가재정의 부족과 격변하는 정치적 상황의 변화로 체계적인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으며, 개항 이후 민족기업을 통하여 근대적 방직기술을 수용하려는 노력도 정부의 적극적 육성정책의 부족과 자본의 열세, 그리고 기술자의 부족 등으로 소기의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소규모 공장제 수공업형태의 방직회사 또는 방직공장들이 재래의 직기를 개량된 직기(배튼기·족답기 등)로 대체하면서 기계직기를 갖춘 공장제 기계공업으로의 발전을 위한 기초가 갖추어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일본인 정미공장에 대응하여 경강상인들이 중심이 된 조선인 정미공장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일본인 정미공장에서의 조선인 정미직공들의 노력으로 근대적 공업기술은 조선에 이식·수용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盧泰天>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