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광복 전후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2) 신탁통치 논쟁과 좌우대립
  • (4) 신탁통치 문제와 좌우의 갈등
  • 나. 우익세력과 반탁논리

나. 우익세력과 반탁논리

 우익세력은 1월 20일 김구 중심의 반탁세력들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잇고 과도정부의 모체를 위해 민중 지도자·정당·사회단체·해외교포단체 대표로 비상정치회의를 개최하여 비상국무회의를 설치하였다. 이 집회에서 인민당·독립동맹·공산당과 같은 좌익세력과 김원봉·김성수 등 임정내의 진보세력은 탈퇴하였지만 독립촉성중앙협의회와 합류해 비상국민회의라는 조직체로 새롭게 탄생되었다. 우익진영이 대체로 망라된 비상국민회의는 미·소 공동위원회가 제시하는 과도임시정부의 모체를 사전에 준비하기 위한 미군정의 의도로 미군정의 자문기구 성격인 남조선대한국민대표민주의원193)한태수,≪한국정당사≫(신태양사, 1961), 72쪽.으로 명칭을 달리하여 발족되었다. 이 기구는 우선 미·소공동위원회에서 논의의 대상이 될 우익진영의 통합기구로서의 위치, 그리고 일종의 입법기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미국은 미·소공동위원회에서 제기한 국내세력을 대표하게 될 대표 선출이 여의치 않을 경우 독자적인 남한만의 자문단체 설립을 통한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의도하고 있었다. 이것은 국내 반탁세력들의 결집체인 민주의원이 미군정의 영향력하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정국의 흐름을 미군정이 이끌어 나가게 되는 것이다.

 우익세력들의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서 남한내 좌익세력들도 그들의 입장과 논리를 대변할 대항 조직체 결성의 필요성이 현실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그리하여 1946년 1월 19일 조선인민당·조선공산당을 주축으로 하여 29개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자 회담을 개최하였다. 2월 15일 결성한 민주주의민족전선은 그 성격을 일부 소수계급의 이익을 위한 전횡물이 아닌 민족 전체의 이익을 위한 정신적 공동체이며, 정부수립의 공동적 준비기관으로 규정하였다. 또 모스크바 3상회담의 결정 원칙에 의한 미·소공동위원회의 조선임시민주주의의 정부조직에 있어 조선민족의 유일한 정식대표로서 발언권을 가질 것이라고 하여 미군정과 우익세력들에 의한 통일정부 수립에 대해 그들의 강한 입장을 강조하였다.

 민주주의민족전선은 적어도 1946년 11월 남조선노동당이 성립될 때까지 남한에서 가장 큰 규모의 좌파단체였고, 좌파세력의 통일전선체였으며 그런 의미에서 조선인민공화국의 계승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1차적 과제는 국내의 반탁 우익세력들과의 투쟁에 있었다. 이렇게 하여 국내의 정치상황은 좌우익이 완전히 다른 정치노선을 표출하는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