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2. 미군정기의 경제
  • 3) 공업생산의 소장과 귀속사업체 처리
  • (1) 공업생산의 소장
  • 나. 공업생산의 회복 추세

나. 공업생산의 회복 추세

 그런데 미군정 초기에는 공업생산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회복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월간 생산보고가 미군정에 제출된 것들 중 대표적인 품목의 통계인<표 9>에 의하면 대체로 1946년 중반부터 점진적인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다.514)이러한 경향은 실물통계를 부분적으로 밝히고 있는 다음 기술들에서도 확인된다.
조선은행 조사부,≪조선경제연보≫(1948),Ⅰ부-103∼114쪽 및≪조선경제연보≫(1949), Ⅰ부-43∼47쪽 참조.
더구나 생산 실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중소공장의 생산분까지 감안하면 생산 회복은 통계 이상으로 두드러졌으리라 짐작된다. 또한 미군정기를 포함하여 6·25전까지의 생산 추세를 고찰해보면 이러한 회복 경향은 더 분명하였다.

 이렇게 생산의 회복이 이루어진 데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하였다. 하나는 중소공장이 비교적 활발하게 가동되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조나 무역을 통해 부분적으로 원자재가 보충되었다는 점이다. 식민지적 종속이 상대적으로 덜했던 일제하의 중소공장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 대거 등장한 중소공장들이 공업의 피폐를 메워주는 역할을 수행했던 셈이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무역관계를 재개함으로써 생산의 회복이 진전되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이 전개된 공업생산의 위축과 점진적 회복이라는 두 측면을 어떻게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인가. 식민지가 제국주의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경제를 건설하는 데에는 많은 고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해방 이후의 공업위축도 이러한 고통의 불가피한 측면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축의 측면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자칫하면 제국주의에 대한 종속을 체념적으로 수용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실제 해방 이후 공업의 위축이 곧바로 공업의 전면적인 붕괴를 의미하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제국주의가 이식한 생산력은 일제와 동시에 파멸한 것이 아니라 8·15 이후 여러 가지 애로를 겪으면서도 한국민의 주체적 노력에 의해 점차 한국민 자신의 생산력으로 전환되어 갔던 것이다.515)다만 일제 생산력의 계승 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해방 이후 한국 공업발전의 주요 요인을 일제지배에서 찾는 일련의 시각이나 연구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밀가루(톤) 면사(톤)
월\년 1946 1947 1948 1946 1947 1948
1
2
3
4
5
6
7
8
9
10
11
12
275
427
577
346
786
2,683
3,018
3,458
2,576
2,648
3,160
2,082
2,171
1,925
2,598
2,424
871
2,571
1,409
269
452
3,592
2,637
1,344
1,039
2,315
2,386
2,633
1,023
1,653
707
1,782
2,797
1,993
-
-
70
87
156
235
279
295
344
403
476
551
632
437
498
459
492
541
636
605
502
433
359
427
370
266
367
405
522
604
569
411
502
564
495
539
-
-
  종이(톤) 못(톤)
월\년 1946 1947 1948 1946 1947 1948
1
2
3
4
5
6
7
8
9
10
11
12
118.5
159.5
228.0
250.8
378.5
369.4
383.4
403.8
486.2
481.1
380.0
245.3
196.2
128.8
199.0
230.5
245.2
321.4
362.3
312.9
375.1
320.6
249.2
171.8
225.7
391.9
533.4
435.5
166.9
186.7
205.6
185.5
208.9
184.6
-
-
-
-
-
-
-
-
-
-
-
71.3
122.6
91.3
77.9
77.8
66.7
126.2
141.1
161.1
173.8
140.9
189.2
200.0
188.9
161.2
150.4
124.8
148.9
127.2
143.2
133.4
195.1
154.9
179.1
178.3
-
-

<표 9>미군정기 주요품목의 생산통계

USAFIK, Republic of Korea Economic Summation, No.35, 1948. 9∼10, pp.30∼32.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