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한국사

Ⅳ 고려 귀족 사회의 성립과 발전

단원 들어가기

고려

한국사
918 고려 건국
935 신라 멸망
936 후삼국 통일
1019 귀주 대첩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서경 천도 운동
1170 무신 정변
1231 몽골의 침입
1236 고려 대장경 제작(~1251)
1388 위화도 회군
세계사
960 송의 건국
1192 일본, 가마쿠라 막부 성립
1206 징기즈칸의 몽골 통일
1338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 전쟁(~1453)
1368 원의 멸망과 명의 건국
단원 요약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발해 유민을 받아들여 한민족 전체를 아우른 통일 국가로 발전하였다. 고려는 불교를 국가의 종교로 숭상하고 유교를 통치의 원리로 삼아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다. 고려는 거란, 여진, 몽골 등의 침입을 받아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면서, 고려 대장경, 고려청자와 같은 세계적인 문화 유산을 남겼다. 나아가 개방적인 대외 정책을 통해 고려(코리아)의 이름이 세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