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
신용 불량자, 263만 5천여 명으로 사상 최고(2002년 말 현재)
|
2001년
|
서울 지방 법원, “반민족 행위자의 재산은 헌법 정신에 어긋나 권리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결
상문고 교사 53명, 비리 재단 복귀 취소 요구하며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농성 시작
|
2000년
|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 경제 정의 실천 시민 연합의 제19대 국회 의원 선거(4·13 총선) 공천 부적격자 명단 공개는 위법이라고 유권 해석
|
1996년
|
서울 지검 특별 수사 본부, 유학성·황영시·장세동·이학봉·최세창에 12·12사건 관련 내란 및 반란 중요 임무 종사 등 혐의로 구속 영장 청구
전두환 전 대통령, <5·18 특별법> 위헌 법률 심판 제청 신청 제출
|
1995년
|
교육부, 교과서를 검정제로 전환하고 국어·국사만 국정 교과서 유지
|
1991년
|
노태우 대통령, 걸프 전쟁 발발에 따른 국가 안전 보장 회의 긴급 소집
|
1968년
|
보사부, 각 시도에 메탄올 1cc당 0.1% 초과한 삼학 등 5개 양조사 소주 폐기 지시
|
1963년
|
설 앞두고 전국 물가 폭등, 대구 쌀값 2천원 돌파, 설탕 가격 32원에서 40원으로 급등
|
1958년
|
이승만 대통령, 대법원장 김동현 제청 거부
|
1952년
|
〈대통령 직선제와 국회 양원제 정부 개헌안>, 국회 본회의 상정
|
1946년
|
해군병 학교(해군 사관 학교의 전신) 창설
북한, 청소년 사회 단체인 북조선 민주 청년 동맹(현 김일성 사회주의 청년 동맹) 결성
|
1943년
|
일제, 보국정신대(報國挺身隊) 조직
|
1930년
|
진주고보·진주제일보교·일신여고보생 1천여 명, 광주 학생 운동에 호응하여 만세 시위 운동 전개
|
1925년
|
불이 서선 농장(不二西鮮農場) 소작인 박창렬·이재근 등, 소작료 감면과 소작권 해제 취소 요구의 탄원서 제출
|
1906년
|
을사늑약 체결 후, 〈외부 관제 개정 건〉 공포, 외부 폐지와 의정부에 외사국 설치 관련
|
1905년
|
일제, 한국 경찰의 실권 장악을 위해 경무(警務) 고문 파견 등 대한 방침 수립
|
1896년
|
제천 의병장 이필희(李弼熙), 국모 시해의 원수와 단발령 주동자 응징을 촉구하는 〈격고 8도 열읍〉 격문 발포
|
1864년
|
[음]내수사(內需司)에서 징수하던 행주 강변과 각 도·읍·포구의 무명 잡세 혁파
|
1853년
|
[음]시관들에게 과거를 공정하게 처리하도록 함
|
1846년
|
[음]대궐 가까이에서 소란을 일으킨 무예 별감들을 처벌함
|
1795년
|
[음]혜경궁의 환갑을 경축하는 치사와 전문과 표리를 바침
|
1772년
|
[음]내시의 방자한 행동을 엄금함
|
1758년
|
[음]영조의 장녀인 화순 옹주 죽음
|
1733년
|
[음]부모의 상을 당한 죄수에게 휴가를 주게 함
|
1728년
|
[음]서소문 괘서의 변고에 대한 처리를 논함
[음]옹주방(翁主房)에 대한 절수(折受) 및 정미환국 관련자들의 처벌 등에 대해 의논
|
1725년
|
[음]임금의 행차 앞에서 흉언(凶言)을 한 이천해를 처형함
|
1713년
|
[음]즉위 40주년을 기념하여 왕자와 종친이 숙종의 존호 올리는 일을 계청하니 윤허함
|
1704년
|
[음]조운군의 제도를 개정함
|
1671년
|
[음]원양도(강원도)에서 전염병 사망자 67명 발생
|
1655년
|
[음]강화도 연안의 보(堡) 설치 등 국방 대책을 논의함
|
1627년
|
[음]정묘호란이 일어남
|
1625년
|
[음]전라도 장수에 여역으로 사망자 200여 명 발생
|
1604년
|
[음]평안도 희천에 있는 김굉필·조광조의 서원에 편액을 하사함
|
1594년
|
[음]기근으로 사람을 잡아먹는 일이 심각하므로 이를 엄금하게 함
|
1563년
|
[음]윤원형이 영의정이 되고, 상진이 영중추부사가 됨
|
1554년
|
[음]함경도에서 여진을 물리침
|
1500년
|
[음]김자정 등이 《일용 한어 번역초(日用漢語飜譯草)》를 편찬함
|
1425년
|
[음]《장자(莊子)》를 간행하여 문신들에게 나누어 줌
|
1394년
|
[음]고려 왕씨 일족의 유배지를 거제도로 옮기고, 왕화와 왕거는 안동의 옥사에 가둠
|
1362년
|
[음]고려군 20만 명이 개경을 포위함
|
1298년
|
[음]원 황제가 왕의 양위를 허락하고 세자를 고려국왕으로 삼음
|
1246년
|
[음]도난당한 내탕 옥대를 되찾음
|
1119년
|
[음]금에서 패근 출패를 고려에 파견하여 요의 영토 획정을 알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