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
중국·러시아 정상, 북한에 핵개발 포기 촉구
|
1997년
|
9개 부실 종합 금융 회사, 1997년 연말까지 업무 정지 명령
|
1994년
|
민주자유당, 1995년도 예산안 단독 변칙 처리
|
1988년
|
문화공보부, 1989년부터 영화관 애국가 상영 폐지 결정
|
1987년
|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신민주공화당 4당, 국내 최초 텔레비전 선거 유세 대결
|
1977년
|
해직 교수 협의회 창설. 〈민주 교육 선언〉 발표
|
1969년
|
경제기획원, 한국인 평균 수명을 64세(남 60·여 67)로 집계
|
1961년
|
군사정부 세제개혁 전면 단행, 〈국세와 지방세 조정에 관한 법률〉 〈국세심사청구법〉 공포, 〈호별세〉 〈교육세〉 폐지, 〈재산세〉 신설 등
|
1949년
|
국회 본회의, 〈국가보안법 개정안〉 통과, 단심제 골자
|
1947년
|
한민당 정치부장 장덕수(1895~1947) 피살
|
1946년
|
이승만, 남한 단독 정부 수립 주장
|
1929년
|
조선 의열단, 해체 선언
|
1928년
|
조선총독부, 경찰 보조 기관으로 조선 소방 협회 조직
|
1920년
|
조선 청년 연합회 결성
|
1902년
|
고종 황제 즉위 40주년 기념 축전, 10일간 거행
|
1894년
|
[음]전봉준, 순창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
1843년
|
[음]효현 왕후(헌종 비)를 경릉에 장사 지냄
|
1842년
|
[음]사한단에 화재가 발생하여 제관·제감·감찰에게 차등 있게 죄를 줌
|
1800년
|
[음]《양현전심록》을 간행하게 함
[음]이병모·홍양호·김재찬 등을 실록청의 관원으로 임명함
|
1773년
|
[음]인평 대군의 《연행록》을 간행하게 하고 그 후손을 등용함
|
1763년
|
[음]호남에 우역이 발생하여 소 1만 마리가 죽음
|
1762년
|
[음]날씨가 추워 죄가 가벼운 죄수를 풀어 줌
|
1697년
|
[음]영남의 면포를 쌀로 대신하여 쇄마 등의 값으로 활용하게 함
|
1638년
|
[음]조창원(趙昌遠)의 딸이 인조의 계비(장렬 왕후)가 됨
|
1604년
|
[음]각 도에서 간행한 경서를 성균관에 올려 보내도록 함
|
1600년
|
[음]서울에 새로 학교를 하나 세워 유학(幼學)을 소속시킴
[음]비변사에서 호인 및 북도 위무책을 건의함
|
1596년
|
[음]영중추부사 심수경이 나이 81세로 사직함
|
1593년
|
[음]임진왜란 때 왕세자의 행영을 무군사(撫軍司)라 칭하고 배행 재신의 2품 이상을 당상에 차임함
|
1514년
|
[음]성균관 존경각에 화재가 발생함
|
1428년
|
[음]영변 대도호부를 설치함
|
1411년
|
[윤]오부 학당에서 몽고학(蒙古學)을 익히게 함
|
1371년
|
[음]이부의 건의에 따라 응방을 폐지함
|
1231년
|
[음]몽고 사신이 고려 궁궐에 와서 항복을 권유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