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
금융감독원, 삼성·LG·외환카드사 신규 모집 금지 명령
|
1998년
|
산업 전반에 걸친 구조 조정 본격화로 2월 중 실업자 100만 명 돌파
국제 노동 기구, 한국에 교직원 노동 조합 인정·공무원 직장 협의회 가입범위 확대 권고 보고서 채택
|
1991년
|
대구 ‘개구리 소년’ 5명 실종
|
1983년
|
문교부, 대학 졸업 정원제 운영을 완전히 대학 자율에 맡기기로 결정
재무부, 한국 자동차 보험이 독점한 자동차 보험을 6월 1일부터 10개 손해 보험 회사에 취급 허용
|
1973년
|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아이슬란드·핀란드 외무 장관, 북한과의 외교 관계 수립 합의
|
1963년
|
김현철 내각 수반, 경제 원조의 정치 도구화 금지 등 대미 경고
|
1957년
|
이기붕 장남 이강석, 이승만 대통령 양자로 입적
|
1956년
|
금융 통화 위원회, 이승만 대통령 81회 탄신 기념 신한국은행 5백 환 권 발행
|
1954년
|
이승만 대통령, ‘국민이 또 뽑아준다면 수락하겠다’고 성명
|
1951년
|
이승만 대통령의 77회 생일 기념식 거행
|
1946년
|
서울 운동장에서 안중근 선생 추도회 개최
|
1936년
|
평양 방송국 설립
안익태,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애국가 작곡 발행
|
1923년
|
연희 전문 학교 창립(학급수 11학급·학생수 241명·직원 31명)
|
1922년
|
학제 개혁으로 학령이 만 6세로 저하되어 입학 지원자가 증가. 입학난으로 군민 대회, 진정 소동 야기
|
1921년
|
김철 등, 중국 천진에서 한혈단(韓血團) 조직
|
1919년
|
김치댁·홍범도·유상교 등 16명,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노인 동맹단(단장 김치댁) 조직
|
1918년
|
경성 의학 전문 학교 김해로김영흥안수경 등 여의사 배출
|
1916년
|
박중빈, 전북 익산에서 법신불일원을 교지로 원불교 창설
|
1910년
|
안중근(1879∼1910), 여순 감옥에서 사형 순국
|
1861년
|
[음]과거 시험에서 뇌물을 주고받은 자를 처벌함
|
1821년
|
[음]호조의 경비가 부족하여 서울 각 관청의 돈을 쓰게 함
|
1808년
|
[음]사행 때 정경과 정사 및 선배 순유의 문집 등을 수입하도록 청함
|
1796년
|
[음]재변을 소멸시킬 방법을 논의함
|
1757년
|
[음]대왕대비 김씨(인원 왕후, 숙종 비)가 승하함
|
1742년
|
[음]반수교 위에 탕평 비를 세움
|
1741년
|
[음]경기·황해·강원도의 유민들이 도성에 많이 들어옴
|
1728년
|
[음]이인좌의 난에 관련된 이사성·이유익과 그들의 처자를 죽임
[음]반란을 꾀했던 태인 현감 박필현을 잡아 처형함
|
1703년
|
[음]5영의 군사 3,000명을 충청도 감영에 소속시킴
|
1694년
|
[음]폐출된 인현 왕후를 복위하려 한 소론 한중혁 등을 국문하는 국청을 의금부에 설치함
|
1611년
|
[음]《동국여지승람》을 개정함
[음]정인홍이 이언적과 이황의 문묘 배향을 논박함
|
1532년
|
[음]이종익이 처형됨
|
1513년
|
[음]중궁(장경 왕후)이 후원에서 내외 명부를 거느리고 친잠례(親蠶禮)를 함
|
1504년
|
[음]성종의 후궁 엄씨가 폐서인이 됨
|
1485년
|
[음]일본 사자가 후추를 바침
|
1434년
|
[음]광화문에 종을 닮
|
1429년
|
[음]경연에 쓰이거나 하사하는 책에 경연·내사 등의 표기를 하게 함
|
1409년
|
[음]대간 전원의 합의 없이도 상소할 수 있게 함
|
1405년
|
[음]금주령을 내림
|
1358년
|
[음]개경 외성을 수축함
|
1347년
|
[음]정치도감에서 심문받던 기삼만이 옥사함
|
1295년
|
[음]탐라 반환 이후에도 원이 탐라에서 말을 징발해감
|
1279년
|
[음]전민 관련 소송의 속결을 지시함
|
1258년
|
[음]유경과 김인준이 최의를 죽이고 왕정을 복구시킴
|
1131년
|
[음]벌목 금지 및 백성의 질병 구호 등을 명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