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오는 사신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중국과 일본 등과 친교를 하면서 지내 왔다. 이웃 나라와의 친교는 서로 간의 사신 왕래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는 사대교린(事大交鄰)이라는 외교 정책을 펼치면서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더욱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중국으로의 사신 파견과 조선을 방문한 중국 사신에 대한 접대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례 행위였다. 특히 중국에서 오는 사신은 조선 정부로부터 극진하고도 융숭한 대접을 받았다. 중국 사신을 소홀이 접대하는 것은 황제에 대한 예의를 잘못 갖춘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조정 상하가 단결하여서 최선의 접대를 베푼 것이다.
중국에서 오는 사신은 보통 칙사(勅使)라고 불렀으며, 이들은 황제의 조서(詔書)나 칙서(勅書) 또는 예부 자문(禮部咨文)이나 요동도사 자문(遼東都司咨文)을 가지고 조선에 왔다. 중국 사신들은 우선 중국 황실의 변동 사항을 알리기 위해서 조선을 방문하였다. 즉 황제가 사망을 했거나, 새 황제가 등극하였을 때, 또는 청년이었던 황제가 친정(親政)을 하게 되었을 때이다. 황제뿐만 아니라 황태자를 책봉하거나 황태후를 책봉하였을 때에도 황 제의 조서를 가지고 왔다.
다음은 우리나라의 일로 왔다. 즉 조선 국왕의 즉위를 승인하거나 조선 왕세자의 책봉, 왕후의 책봉을 승인하는 황제의 명을 받들고 방문하는 것이다. 또한 조선의 왕실 식구들에 대한 시호(諡號)나 고명(誥命)을 내릴 때에도 방문하였다. 이 밖에도 표류인 송환(漂流人送還), 도래인 송환(渡來人送還), 월경인(越境人) 문제, 처녀 진헌, 여러 가지 물품 청구 등의 참으로 다양한 임무를 띤 중국 사신들이 왔다.
중국 사신 일행은 주로 상사(上使)와 부사(副使) 밑에 서반(序班), 두목(頭目), 군관(軍官), 의원(醫員), 사자관(寫字官), 주자(廚子)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가운데 서반이 통역을 담당하였으며, 물화의 운반과 관리를 담당하는 두목은 대개 북경과 요동의 상인들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조선에 들어서면 조선 상인들과 교역하는 데 힘썼으며, 이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역 활동은 실제로 조선 산업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명나라 사신은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선에 자주 왔으나, 인조반정과 정묘호란을 겪은 이후로 줄어들었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명나라 사신 대신 청나라 사신이 조선에 들어오게 된다.104)
104) | 김경록, 「조선시대 사신 접대와 영접도감(迎接都監)」, 『한국학보』 117, 일지사, 20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