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Ⅱ. 유순한 몸, 저항하는 몸-1 예와 수신으로 정의된 몸

04. 조선의 예교적 여성

[필자] 김언순

유교의 여성 수신의 원리와 조선 사회의 여성 몸에 대한 인식이 조선 여성의 수신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선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한 수신은 세 가지 성격을 갖는다.

첫째, 여성은 내조를 통해 남성을 보완하는 존재로 정의되었다. 즉, 여성의 수신은 자신의 완성보다는 남편의 완성에 초점을 두었다. 둘째, 여성의 수신은 남편과 가문을 위해 여성이 가진 생산 능력을 관리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가부장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기능들로 구성되었다. 셋째, 여성의 몸은 남편에게 귀속되며, 정절의 강조는 남편 사후 수절(守節)과 종사(從死)로 귀결되었다. 정절의 핵심은 바로 종(從)이다.

이와 같이 조선 여성에게 요구된 수신은 타자(남편, 아들, 가문)를 위한 수신의 성격을 가지며, 여성 자신의 완성보다는 종적인 삶을 요구받았다. 결국 여성의 수신은 가부장제 질서 유지라는 큰 틀 속에서 이해되었으며, 실제로 유교 가부장제 사회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조선 여성의 수신은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까? 조선 여성이 추구한 예교적 여성상은 무엇일까?

[필자] 김언순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