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3) 일본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우리 나라 청동기가 일본에 전파된 시기를 일본에서는 야요이시대라고 한다. 그런데 이 야요이시대는 지역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그 발생지인 규슈(九州)지방의 경우는 대략 기원전 350년경에 시작하여 기원후 250년경에 끝났다고 하고 있으며 이를 200년씩 구분하여 전·중·후기로 나누기도 한다.

 일본 최고의 청동기는 후쿠오카현(福岡縣) 이마카와(今川)遺蹟 출토의 銅鏃이다.0532) 이 동촉은 有莖式인데 재가공된 흔적이 있으며 板付Ⅰ式 토기와 함께 출토되었으므로 야요이시대 前期前半에 편년된다. 당시 청동끌도 함께 채집되었는데 이 끌은 古朝鮮式銅劍0533)의 莖部를 재가공한 듯하며 시기적으로는 이마카와 출토 동촉과 거의 같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야요이시대 초기 청동기는 그 출토 예가 적어서 보편적인 것이었다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본격적으로 우리 나라 청동기가 일본에 전파된 시기는 전기 말부터이며 甕棺 형식으로는 金海式단계이다. 이 때 청동기는 한국식동검·동모·동과, 그리고 다뉴세문경이 세트로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일본 최고의 동검은 사가현(佐賀縣) 우기쿤덴(宇木汲田) 18호 甕棺墓에서 출토된 것이다.0534) 이 옹관묘는 김해식으로, 鎬線이 抉入部 하단까지 있고 결입부 하단에서 關部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또 후쿠오카현 요시타게타가기(吉武高木) 3호 목관묘에서는 한국식동검·동모·동과·다뉴세문경이 출토되었다.0535) 동검은 전술한 우기쿤덴 18호 옹관묘 출토의 것과 동일한 형식이며 동모·동과도 세형이다. 이 청동기와 함께 죠노코시(城ノ越)式으로 추정되는 토기가 출토되어 시기적으로 중기초두에 해당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같은 중기초두에 해당하는 2·4호 목관묘에서도 한국식동검이 출토되었으나 이것은 호선이 관부까지 이어졌는데 이와 같은 세형동검들은 모두 우리 나라에서 전파되었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키타규슈(北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동검 용범이 후쿠오카현 시카노시미(志賀島) 가쯔바(勝馬)유적0536)·오타니(大谷)유적,0537) 사가현 소우자(惣座)유적0538)에서 출토되었고, 동모 용범이 사가현 소우자 및0539)와 요시노가리(吉野ケ里)유적0540)에서 출토되었다. 사가현 나베시마 모토무라미나미(鍋島本村南)유적0541)에서는 동과 용범이 출토되어 우리 나라에서 청동기를 받아들인 뒤 얼마 안되어 곧 일본에서 倣製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세형의 靑銅利器는 그 뒤 중세형의 靑銅祭器로 변화하는데 사가현 아네(姉)유적,0542) 효고현(兵庫縣) 타노우(田能)유적0543)에서 동검 용범이 출토되고 있어서 중기 중반경에 제작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중세형 청동제기가 부장된 예에서 그 존속 기간을 추정한다면 먼저 중세형동검은 후쿠오카현 수구오카모토(須玖岡本) D지점과0544) 미네(峰)유적0545) 옹관묘에서 출토되고 있어서 중기후반까지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중세형 동모는 후쿠오카현 타테이와(立岩) 10호 옹관묘에 부장되어 있으므로0546) 중기후반까지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후반이 되면 새로이 中國鏡이 부장되기 시작한다. 후쿠오카현 타테이와 10호 옹관묘에서는 重圈文淸白鏡 등 前漢 후기의 異體字銘帶鏡 6점, 중세형동모 1점, 철검 1점 등이 부장되어 있었고 옹관 형식은 타테이와식이며 중기후반으로 편년되는 기준 자료이다. 그 밖에도 이 시기의 중요한 유적으로서 후쿠오카현 미쿠모(三雲) 미나미쇼지(南小路)유적과0547) 수구오카모토유적을 들 수 있다. 미나미쇼지 1호 옹관묘는 옹관 형식은 알 수 없지만 여기에서 重圈彩畵鏡·四乳雷文鏡·連弧文淸白鏡 등의 이체자명대경 30면 이상, 세형동모 1점, 유병식세형동검 1점, 중세형동모 1점, 중세형동과 1점, 유리벽 8면 이상, 금동제사엽좌금구 8점 이상 등 대량의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그 가운데 중권채화경은 河南省 信陽縣 長臺關楚墓 출토품과0548) 유사하므로 戰國鏡이라고 추정되며 사유뢰문경은 地文을 가지고 있어 前漢 전기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나머지 이체자명대경은 전한 후기 것이므로 전자는 약 200년 가량 전세된 것이라는 점과 이 옹관이 전기한 타테이와 10호 옹관묘와 같은 형식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예는 수구오카모토 D지점 옹관묘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옹관묘도 형식은 알 수 없으나 草葉紋鏡·星雲紋鏡·이체자명대경 등 30면 이상의 동경, 多桶式銅劍 1점, 중세형동검 1점, 세형동모 4점, 중세형동모 2점, 중세형동과 1점, 유리벽 등 많은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그 중에서 초엽문경은 전한 전기, 성운문경은 전한 중기에 해당하고 중권문청백경 등의 이체자명대경은 전한 후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옹관묘의 시기도 立岩期, 즉 중기후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중국경의 출현기인 중기후반의 특징으로서는 ① 전한 후기경이 부장되는 점, ② 전한 후기경과 함께 전국∼전한 중기의 고식경도 포함되어 있는 점, ③ 대량의 동경이나 청동기를 부장한 옹관묘가 있는 점, ④ 철기를 부장한 분묘가 출현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야요이문화 후기전반이 되면 옹관묘에 方格規矩鏡이 부장된다. 후쿠오카현 이하라야리미조(井原鎚溝) 옹관묘0549)에서는 20면 이상의 방격규구경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서 18면이 복원 가능하였다. 이 방격규구경은 ‘漢有善銅’이나 ‘新有善銅’의 명문이 있는 전한 전기·新代의 동경이며 後漢代의 방격규구경은 포함되지 않는다. 또 사가현 사쿠라노바바(櫻馬場) 옹관묘0550)에서는 후기초두의 옹관에 방격규구경 2면과 철도·銅釧·把形銅器 등이 부장되어 있었다. 이 방격규구경 역시 후한대보다 약간 이른 신대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가 되면 분묘에 청동무기형 제기를 부장하는 예는 대부분 없어지고 생토 속에 매납하는 예가 늘어난다. 이들 청동제기의 연대결정은 용범이나 토기와의 동반 예에서 추정이 가능하다. 즉 중광형동모에 대해서는 사가현 야수나가타(安永田)유적0551)의 용범이 중기 말에서 후기초두로 편년되는 토기와 동반 출토되었으며, 對馬ハロウ A지점에서는 후기중엽의 5호 석관묘0552)에서 중광형동모가 출토되고 있어서 중기 말에서 후기중반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또 이 시기에는 한경을 모방한 방제경이 출현한다. 사가현 후타쯔카산(二塚山) 46호 옹관묘0553)에서는 철모와 함께 重圈文日光鏡系 방제경Ⅰb식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영천 어은동 출토거울0554)과 같아서 우리 나라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야요이 후기중반이 되면 한경을 부장한 분묘는 감소한다. 후기중반의 나가사키현(長崎縣) 카라카미(唐神)유적0555)에서 방격규구경이 출토되었으나 깨어서 구멍을 뚫은 破鏡이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후기전반에서는 전한 말∼후한 전기의 방격규구경·細線式獸帶鏡 등이 부장되고 있으므로 후기중반에서는 후한중기의 四葉座內行花文鏡의 출토가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엽좌내행화문경을 부장하는 분묘는 후기중반에는 거의 보이지 않고 후기후반에서 종말기 단계에 나타나므로 후기중반부터 전래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은 후한 세력의 쇠퇴와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경의 감소에 따라 키타큐슈에서도 방제경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방제경은 후쿠오카현 이이우지바바(飯氏馬場) 석관묘0556) 출토경과 같은 내행화문일광경계 및 중권문일광경계 방제경 Ⅱa식이다.

 청동 제기는 이 시기 중광형에서 광형으로 변화한다. 나가사키현 쓰시마 토우노쿠비(對馬塔ノ首) 3호 석관묘0557)에서 후기중반에서 후반의 토기와 함께, 쓰시마키사카(對馬木板) 5호 석관묘0558)에서는 후기후반에서 종말의 토기와 광형동모가 동반 출토되었다.

 야요이 후기후반에서 종말기가 되면 한경의 파경을 분묘에 부장하는 예가 많아진다. 종말기의 후쿠오카현 노카타나카바루(野方中原) 1호 석관묘0559)에서는 후한 후반의 半肉彫獸帶鏡이 출토되었다.

 그러나 후쿠오카현 미쿠모테라구찌(三雲寺口) 2호 석관묘0560)에서 蝙蝠座內行花文鏡, 바바산(馬場山) 41a호 토광묘0561)에서는 雙頭龍文鏡 등 후한 중기의 거울이 출토되고 있으므로 약 100년간에 걸쳐 전래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종말기의 양상을 잘 나타내는 예로서 후쿠오카현 히라바루(平原) 분묘를 들 수 있다.0562) 여기서는 박제방격규구사신경이나 방제내행화문경 등 모두 39면의 동경이 출토되었다. 즉 기원후 1세기 중반경의 것이므로 일괄 유입된 뒤 약 200년 가까이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야요이 후기중반부터 보이는 동경의 전래는 종말기에는 거의 끝나고 곧 三角緣神獸鏡이라는 새로운 동경이 출현하여 전방후원분에 부장되기 시작한다. 그 배경에는 큰 사회 변동이 예상되며 이 시기 일본은 야요이시대가 끝나고 古墳時代를 맞이하게 된다. 특히 삼각연신수경에 ‘景初三年’(기원후 239년), ‘正始元年’(기원후 240년)이라는 기년명이 있어 야요이시대가 기원후 3세기 중반경에는 끝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나이(畿內)지방에서는 중기 이후 특수한 청동제 銅鐸文化가 유행하였다.

0532)酒井仁夫·伊崎俊秋,≪今川遺跡≫(津屋崎町文化財調査報告書 4, 1981).
0533)沈奉謹·朴恩貞,<韓國 靑銅劍 系譜와 그 同伴遺物>(≪韓國上古史學報≫10, 韓國上古史學會, 1992).
0534)唐津灣周邊遺跡調査委員會編,≪末盧國≫(1982).
0535)福岡市歷史資料館,≪特設展圖錄早良王墓とその時代≫(1986).

福岡市敎育委員會,≪吉武高木≫(福岡市埋藏文化財調査報告書 143, 1986).
0536)森貞次郞·乙益重隆·渡邊正氣,<福岡縣志賀島の彌生遺跡>(≪考古學雜誌≫46-2, 東京;考古學會, 1960).

小田富士雄,<銅劍·銅矛國産開時期の再檢討-近年發見の鑄型資料を中心として2->(≪古文化談叢≫15, 九州古文化硏究會, 1985).
0537)佐士原逸男,≪大谷遺跡-福岡縣春日市大字小倉所在遺跡≫(春日市文化財調査報告書 5, 1979).
0538)小田富士雄, 앞의 글.
0539)小田富士雄, 위의 글.
0540)佐賀縣敎育委員會,≪環濠集落吉野ケ里遺跡槪報≫(1990).

佐賀縣敎育委員會,≪吉野ケ里遺跡發掘調査槪報≫(1990).
0541)小田富士雄,<銅劍·銅矛國産開始期の再檢討(2)-近年發見の鑄型資料を中心として->(≪古文化談叢≫23, 1990).
0542)堤安信,<佐賀縣千代田町姉貝塚出土の銅矛·銅劍の鑄型>(≪考古學雜誌≫70-2, 1984).
0543)尼崎市敎育委員會,≪田能遺跡發掘調査報告書≫(1982).
0544)島田貞彦·梅原末治,≪筑前須玖史前遺跡の硏究≫(京都大 文學部 考古學硏究報告 11, 1930).

岩永省三,<須玖遺跡D地點出土靑銅利器の再檢討>(≪MUSEUM≫372, 東京國立博物館, 1982).
0545)中山平次郞,<太宰府附近に於けゐ彌生式系統遺跡調査(1)>(≪考古學雜誌≫20-6, 1930).
0546)福岡縣飯塚市敎育委員會,≪立岩遺跡≫(1977).
0547)靑柳種信,≪柳園古器略考≫(1822).

柳田康雄,≪三雲遺跡-南小路地區篇-≫(福岡縣文化財調査報告書 69, 1985).
0548)樓宇棟,≪信陽楚墓≫(中國田野考古報告集考古學專刊丁種 30, 1986).
0549)靑柳種新, 앞의 책.

梅原末治,<筑前國井原發見鏡片の複原>(≪史林≫16-3, 京都大, 1931).
0550)杉原莊介·原口正三,<佐賀縣櫻馬場遺跡>(≪日本農耕文化の生成≫, 日本考古學協會 編, 1961).
0551)藤瀨 博·山田正,<佐賀縣安永田遺跡の本照射-銅鐸鑄型出土地點の性格解明->(≪考古學ジヤ-ナル≫195, 1981).
0552)豊玉町敎育委員會,≪對馬豊玉町ハロウ遺跡≫(1980).
0553)佐賀縣敎育委員會,≪二塚山-佐賀縣東部中核工業團地建設に伴う埋藏文化財發掘調査報告書-≫(佐賀縣發掘調査報告書 46, 1979).
0554)梅原末治·藤田亮策·小泉顯夫,<南朝鮮に於ける漢代の遺跡>(≪大正11年度古蹟調査報告書≫2, 朝鮮總督府, 1925).
0555)水野精一·岡崎敬,<長崎縣 壹岐郡カラカミ遺跡>(≪日本考古學年報≫ 10, 日本考古學協會, 1957).
0556)高倉洋彰,<彌生時代小形倣製鏡ついて>(≪考古學雜誌≫58-3, 1972).
0557)長崎縣敎育委員會,≪對馬-淺茅灣とその周邊の考古學調査-≫(長崎縣文化財調査報告書 17, 1974).
0558)坂田邦洋,≪對馬の考古學≫(繩文文化硏究會, 1976).
0559)柳田純孝,≪福岡市野方中原遺跡調査槪報≫(福岡市埋藏文化財調査報告書 30, 1974).
0560)柳田康雄,≪三雲遺跡 Ⅳ≫(福岡縣文化財調査報告書 65, 1983).
0561)小田富士雄,≪馬場山遺跡≫(北九州市埋藏文化財調査會, 1975).
0562)原田大六,≪平原彌生古墳-大日靈貴の墓≫(平原彌生古墳調査報告書編執委員會, 1991).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