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Ⅲ. 부여3. 부여의 정치와 사회1)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1. 한국 고대의 정치발전 단계론
        • 2. 국가 형성 이론의 한국사 적용문제
        • 3. 초기국가의 성격
          • 1) 국가 기원 및 형성이론
          • 2) 군장사회와 국가
      • Ⅱ. 고조선
        • 1. 고조선의 국가형성
          • 1) 고조선의 건국신화
          • 2) 동이족과 그 문화권
            • (1) 지석묘문화
            • (2) 비파형청동단검문화
          • 3) 고조선의 주민과 예맥
          • 4) 고조선의 건국연대
          • 5)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 (1) 고조선의 위치문제
            • (2) 문헌에 나타난 고조선의 영역
        • 2. 고조선의 변천
          • 1) 고조선사회의 국가적 성장
          • 2) 위만조선의 성립과 변천
            • (1) 위만조선의 성립
            • (2) 위만조선의 국가적 성격
          • 3)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 4) 한사군의 설치와 그 변천
            • (1) 한사군의 설치와 구성
            • (2) 한사군의 성격과 변천
        • 3. 고조선의 문화와 사회 경제
          • 1) 고조선 전기와 청동기문화
            • (1) 비파형동검 이전의 청동기문화
            • (2) 비파형동검시기의 고조선문화
          • 2) 후기 고조선과 철기문화(기원전 4∼2세기)
            • (1) 기원전 4세기 고조선지역
            • (2) 기원전 3∼2세기의 철기문화
          • 3) 고조선의 사회경제
            • (1) 사회성격
            • (2) 경제성격
      • Ⅲ. 부여
        • 1. 부여의 성립
          • 1) 부여사의 성격
          • 2) 부여의 기원과 건국설화
            • (1) 부여 명칭의 기원
            • (2) 부여족의 기원
            • (3) 부여의 선주민문화와 한대 부여문화
            • (4) 건국 연대
          • 3) 부여의 영역과 지리적 특성
            • (1) 3세기 부여의 영역
            • (2) 부여국 왕성의 위치
        • 2. 부여의 성장과 대외관계
          • 1) 부여의 성장
            • (1) 부여의 기원(부여·북부여·동부여)
            • (2) 부여의 성장
          • 2) 부여의 대외관계
            • (1) 고구려와의 관계
            • (2) 중국과의 관계
            • (3) 부여의 쇠퇴와 부흥운동
        • 3. 부여의 정치와 사회
          • 1)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
            • (1) 중앙통치조직
            • (2) 지방통치조직
          • 2) 사회와 경제
            • (1) 신분제도
            • (2) 법률과 형벌
            • (3) 경제생활
        • 4. 부여의 문화
          • 1) 신앙과 제의
          • 2) 생활 풍습
          • 3) 예술-건축, 공예, 기타
      • Ⅳ. 동예와 옥저
        • 1. 동예의 사회와 문화
          • 1) 동예의 위치와 변천
          • 2) 동예의 사회와 문화
        • 2. 옥저의 사회와 문화
          • 1) 옥저의 위치와 변천
          • 2) 옥저의 사회와 문화
      • Ⅴ. 삼한
        • 1. 삼한의 정치와 사회
          • 1) 진국과 삼한
          • 2) 삼한의 정치
            • (1) 소국의 정치권력
            • (2) 소국연맹체의 형성
          • 3) 삼한의 경제와 사회
            • (1) 농경생활
            • (2) 교역활동
            • (3) 계층 분화
        • 2. 삼한의 문화
          • 1) 삼한의 생활과 풍속
          • 2) 삼한의 유적과 유물
            • (1) 철기
            • (2) 토기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지방통치조직

 부여는 2천 리에 걸치는 방대한 영토를 동·서·남·북의 4개 지역으로 나누고 이 지역들을 ‘가’들이 관할하였으며, 중앙은 국왕이 직접 통치하였다.

 부여에서는 전국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기 위하여 온 나라를 5개 지역으로 나누어 통치하였다.≪삼국지≫의 기록에 의하면 부여의 지방에는 ‘四出道’가 있었다. 사출도라는 말은 단순히 지방을 네 개의 행정구역으로 구분했다는 의미보다는, 고구려의 五那部처럼 수도를 중심으로 대체로 동·서·남·북의 방위에 따라 사방을 나눈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道는 교통로 또는 그 교통로상에 위치하는 지역을 뜻한다.573) 따라서 사출도는 왕도로부터 사방에 통하는 길로서 고대국가의 지방지배의 기본이 되는 도로와 그 주변 읍락을 의미하는 말이며574) 완비된 행정구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사출도는 諸加에 의해 관할되었다. 제가는 중앙 관계인 마가·우가·구가·저가로만 한정하여 보는 견해575)가 있으나, 여기서의 제가는 이를 포함한 부족장 전체를 의미하는 범칭으로 생각된다. 이들 제가들은 당시에는 ‘鴨盧’라고 불렸던 것 같다.<광개토왕릉비>에는 고구려가 부여를 쳤다는 기사 뒤에 광개토왕을 따라서 고구려로 간 자들로 ‘味仇婁鴨盧’, ‘椯社婁鴨盧’, ‘肅斯舍鴨盧’, ‘卑斯麻鴨盧’가 나온다. 여기서 미구루·비사마 등 압로 앞에 붙은 명칭은 부여에 있던 특정 지역집단이나 부족의 거주지일 것이다. 따라서 지명 뒤에 표기된 압로는 ‘부족집단’을 의미하는 표현이거나 또는 이른바 사출도를 관할하는 ‘가’나 ‘干’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능비문에서는 부여성과 압로를 구분하여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그 실체가 다른 것으로서 부여의 수도를 부여성이라 불렀고,576) 압로는 일정지역의 가집단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577) 이 집단들은 국가가 고구려의 지배를 받게 되자 독자적으로 지역민을 이끌고 고구려에 투항하였다. 이는 부여사회의 지방세력이 중앙에 대해 독자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고, 중앙 부족은 지방세력을 인정하고 이와 연맹하여 국가체제를 유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5개 지역으로 구분된 지역집단 밑에는 邑落들이 있었다. 각 지방의 읍락들은 城柵으로 둘러 쌓여 있었는데 그 성책이 아주 높고 견고하기 때문에 고대 중국의 역사가들은 그것을 감옥과 같다고 하였다.578) 이러한 읍락의 구체적인 유적이 최근 길림시 교외의 蛟河縣 池水鄕 新街古城址와 松江村 福來東고성지에서 발견되었다.579) 신가·복래동 두 고성은 평지에서 높이 솟아 있는 곳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곳에서 홍갈색의 굽접시·시루 등이 많이 나왔고, 성의 평면은 圓角方形 즉 원형에 가깝다.580) 이러한 사실은≪삼국지≫부여조의 “(부여는) 먹고 마시는데 모두 俎豆를 사용하고 성책은 모두 둥근데 마치 牢獄과 같다”는 기사와 부합한다. 또한 西漢∼兩晋시대에 제2송화강유역은 부여의 영역으로 현재의 교하현 지수향과 송강촌은 부여국의 세력범위에 포함되어 있던 곳이다. 그리고 최근 동단산 南城子를 부여의 왕성으로 보는 학계의 통설을 따른다면,581) 신가·복래동 두 성지는 부여의 읍락유적이 분명한 것으로 생각된다. 신가고성은 주위 둘레가 200m(약 184m) 정도로 작은 범위 안에 읍락 지배를 위한 건물들이 있어 주로 각 읍락의 대표나 호민들이 거주하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두 고성은 모두 蛟河의 서안에 있으며 남북으로 서로 9㎞ 떨어져 있다. 두 성이 떨어져 있는 거리로 보아 당시에는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점은 부여 읍락의 존재양태와 관련하여 좀더 면밀한 고찰이 요구된다.

 이처럼 읍락은 부여연맹체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집단이었다. 그러나 이 읍락은 곧바로 중앙권력에 의해 파악되는 지방지배 단위는 아니었다. 중앙에서는≪삼국지≫부여조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방위에 따라 크게 네 개의 지역으로 구분한 일종의 국읍인 사출도를 두어 제가가 담당하게 하여 지방을 총괄하였던 것이다.≪삼국지≫동이전 鮮卑條에는 “(선비는) 右北平 이동으로부터 요동에 이르기까지 부여와 예맥의 20여 읍과 접하여 동부를 이루었다”582)라고 하였다. 여기서 읍락은 아마도≪삼국지≫위서 동이전 韓조에 나오는 國邑에 해당하는 것으로,<광개토왕릉비>의 ‘味仇婁鴨盧’ 등의 ‘△△△압로’에서 ‘△△△’에 대응되는 존재로 볼 수 있다. 이것이 부여의 중앙에서 지방을 파악하는 통치단위였다고 할 수 있다. 사출도연맹체제 내에서는 부여왕권이 각 국읍 내에 어느 정도 통제력을 발휘하였겠지만, 아직 제가들의 자치적 성격이 온존되는 상태였으므로 각 국읍 내의 단위집단(읍락)에까지는 중앙권력이 미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림 8>新街古城址 평면도와 채집유물 ①
1. 主城, 2. 衛城.

<그림 8>新街古城址 평면도와 채집유물 ②
1. 石斧, 2. 陶器耳, 3. 方格紋陶片, 4. 陶器口緣, 5. 橋狀耳, 6. 陶甑底, 7. 陶豆柱.

 이처럼 부여의 연맹체제에 의한 지방통치는 지역 단위집단인 읍락집단을 일원적으로 통제할 만큼 중앙집권체제가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재지수장층인 諸加의 자치력을 인정하는 가운데,583) 이들을 통한 간접 지배방식을 취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부여는 왕위의 부자상속 및 한과의 교류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강한 왕권을 유지하고 있었으므로, 이들 제가세력들을 통제·감시하는 지배력을 발휘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여의 지방지배 및 정복지역의 통치방식은 漢代 이래 부여에 예속되어 있던 읍루족을 통해 그 일단을 엿볼 수 있다.≪삼국지≫동이전 읍루조에는 읍루인들이 “한 이래로 부여에 臣屬하였는데 부여가 그 租賦를 과중하게 부과하자 그에 반발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당시 부여의 읍루에 대한 지배는≪삼국지≫의 기록처럼 읍락별로 복속시켜 그 族長을 통하여 공납을 징수하는 형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屬民-貢納에 의한 지배체제로 보기도 하는데,584) 이 체제는 각 읍락사회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이들을 종족적으로 묶어서 동옥저부락·읍루부락 등으로 집단적으로 파악하여 공납을 받는 지배방식이다. 대체로 부여의 정복지역에 대한 통제는 이런 식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믿어지며, 따라서 정복지역의 주민들은 모두 下戶계층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공납지배는 매우 가혹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읍루가 魏의 黃初연간(220∼225)에 공납징수가 가혹함에 저항하여 그 지배에서 이탈하였다는 사실에서585) 이를 잘 알 수 있다.

573)武田幸男,<牟頭婁一族と高句麗王權>(≪朝鮮學報≫99·100, 1981), 160쪽.
574)金哲埈, 앞의 책(1976), 63쪽.
575)李丙燾, 앞의 글, 212쪽.
576)<광개토왕릉비>에서는 新羅의 수도를 新羅城이라 한 것으로 보아 夫餘의 수도도 扶餘城이라 불렀을 것으로 생각된다.
577)鴨盧는 東扶餘의 각 지역을 대표하는 貴族과 같은 존재를 나타내는 ‘加’나 ‘干’과 같은 의미를 지닌 稱號로 보기도 하고(박시형,≪광개토왕릉비≫, 1966, 207쪽), 혹은 이동가능한 聚落으로 보기도 한다(武田幸男,≪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65쪽). 혹자는 막연히 城 또는 官名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나(千寬宇,<廣開土王陵碑再論>,≪全海宗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1979) 압로 앞에 지역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諸加집단이나 귀족의 칭호로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 같다.
578)≪三國志≫권 30, 魏書 30, 烏丸鮮卑東夷傳 30, 夫餘.
579)董學增,<吉林蛟河縣新街·福來東古城考>(≪博物館硏究≫2期, 1989), 69∼72쪽.
580)두 성지에서 출토되는 토기는 부여 都城의 한 유적인 길림시 帽兒山 漢代 목곽묘에서도 발견되고 있고, 토기의 바탕과 器形이 한대 유물의 바탕·기형과 다르기 때문에 부여 유물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다(馬德謙,<談談吉林龍潭山東團山一帶的漢代遺物>,≪北方文物≫2期, 1991).
581)武國勳,<夫餘王城新探>(≪黑龍江文物叢刊≫4期, 1983).
582)≪三國志≫권 30, 魏書 30, 烏丸鮮卑東夷傳 30, 鮮卑.
583)≪後漢書≫권 85, 列傳 75, 東夷 夫餘國.
584)林起煥, 앞의 책, 138쪽.
585)≪三國志≫권 30, 魏書 30, 烏丸鮮卑東夷傳 30, 挹婁.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